함경남도지사 (咸鏡南道知事)는 이북5도 가운데 하나인 함경남도 의 행정사무를 관장하는 단체장이자 차관급 고위공무원이다. 이북5도는 대한민국 의 실효 지배 구역이 아니기 때문에 다른 광역자치단체장과 달리 대한민국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지 않으며, 대통령 이 임명 권한을 갖는다. 행정자치부 산하 이북5도위원회 가 해당 사무를 관할한다.[ 1]
호적
이름
한자 표기
재임 기간
비고
조선인
신응희
申應熙
1910년 10월 1일 - 1918년 9월 23일
함경남도 장관
조선인
이규완
李圭完
1918년 9월 23일 - 1924년 12월 1일
장관, 1919년 8월부터 함경남도지사
조선인
김관현
金寛鉉
1924년 12월 1일 - 1926년 8월 14일
내지인
나카노 다사부로
中野 太三郎
1926년 8월 14일 - 1929년 1월 21일
내지인
마노 세이이치
馬野 精一
1929년 1월 21일 - 1929년 12월 11일
내지인
마쓰이 후사지로
松井 房治郎
1929년 12월 11일 - 1930년 11월 12일
내지인
세키미즈 다케시
関水 武
1930년 11월 12일 - 1933년 8월 4일
내지인
하기와라 히코조
萩原 彦三
1933년 8월 4일 - 1935년 2월 4일
내지인
유노무라 다쓰지로
湯村 辰二郎
1935년 2월 4일 - 1936년 10월 16일
내지인
사사가와 교자부로
笹川 恭三郎
1936년 10월 16일 - 1940년 9월 2일
내지인
신가이 하지메
新貝 肇
1940년 9월 2일 - 1941년 5월 31일
내지인
단게 이쿠타로
丹下 郁太郎
1941년 5월 31일 - 1942년 4월 7일
내지인
세토 미치카즈
瀬戸 道一
1942년 4월 7일 - 1943년 12월 1일
내지인
야규 시게오
柳生 繁雄
1943년 12월 1일 - 1945년 2월 14일
내지인
기시 유이치
岸 勇一
1945년 2월 14일 - 1945년 8월 15일
광복
대수
이름
임기 시작
임기 종료
비고
1
강기덕
1949년 2월 15일
1951년 1월 일
1951년 한국전쟁 때 납북
?
전호엽
1951년 6월 17일
19??년 월 일
현직 중앙도민회장으로 납북된 강기덕 지사의 후임으로 임명됨, 이북5도위원회 에서는 기사까지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재하지 않고 있음
2
이윤식
1959년 11월 24일
1961년 10월 일
3
한보용
1962년 4월 30일
1965년 4월 일
4
서남용
1965년 8월 10일
1967년 1월 7일
5
이신득
1967년 4월 1일
1979년 4월 일
6
이상선
1979년 4월
1981년 3월 일
7
이재석
1981년 4월 9일
1988년 6월 일
8
고황
1988년 7월 1일
1990년 4월 일
제6대 함경북도지사 , 관선 경기도 송탄시장
9
김태서
1990년 4월 10일
1993년 3월 일
10
전창선
1993년 3월 22일
1995년 9월 일
11
전용진
1995년 9월 19일
1997년 9월 19일
일신상의 이유로 사직 후 사표수리됨
12
류준형
1997년 9월 26일
1999년 7월 일
13
유재만
1999년 7월 12일
2003년 5월 일
14
김기형
2003년 5월 1일
2006년 6월 21일
15
김 청
2006년 6월 23일
2008년 7월 일
16
한원택
2008년 7월 7일
2011년 12월 5일
17
황덕호
2011년 12월 13일
2014년 11월 30일
18
김덕순
2014년 12월 10일
2018년 2월 일
19
한정길
2018년 2월 26일
2021년 4월 일
20
이진규
2021년 4월 17일
2023년 8월 30일
21
손양영
2023년 8월 31일
-
현직
↑ 대한민국 국회 (2015년 8월 19일). “이북5도에 관한 법률” . 《국가법령정보센터》. 대한민국 법제처. 2015년 8월 28일에 확인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