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의회
경상남도의회  Gyeongsangnam-do Provincial Council  | |
|---|---|
| 경상남도의회 | |
| 유형 | |
| 유형 | |
| 지도부 | |
최학범, 국민의힘    | |
부의장  | 유계현, 국민의힘    | 
부의장  | 박인, 국민의힘    | 
| 구조 | |
| 의석수 | 64석 | 
정당 구성  | |
임기  | 4년 | 
| 선거 | |
| 보통선거 · 평등선거 · 직접 선거 · 비밀 선거 | |
| 소선거구제 (58석) 비례대표제 (6석)  | |
최근 선거  | 2022년 6월 1일 | 
| 의사당 | |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사림동 | |
| 웹사이트 | |
| 경상남도의회 | |
경상남도의회는 대한민국 경상남도에 제출된 의견이나 법안을 처리하기 위해 설치된 의회이다.
조직
[편집]의장단
[편집]- 의장
 - 부의장 2명
 
위원회
[편집]- 상임위원회
 
- 의회운영위원회
 - 기획행정위원회
 - 교육위원회
 - 농해양수산위원회
 - 경제환경위원회
 - 건설소방위원회
 - 문화복지위원회
 
- 특별위원회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윤리특별위원회
 
사무기구
[편집]- 사무처[1]
 
역대 경상남도의회의원 선거 결과
[편집]제1대 경상남도의회
[편집]1952년 5월 10일에 실시된 1952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60명의 제1대 경상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 정당 | 합계 | |
|---|---|---|
| 자유당 | 19 | |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1 | |
| 대한청년단 | 3 | |
| 민주국민당 | 1 | |
| 대한노동총연맹 | 1 | |
| 무소속 | 25 | |
제2대 경상남도의회
[편집]1956년 8월 13일에 실시된 1956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67명의 제2대 경상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 정당 | 합계 | |
|---|---|---|
| 자유당 | 21 | |
| 민주당 | 6 | |
|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4 | |
| 무소속 | 36 | |
제3대 경상남도의회
[편집]1960년 12월 12일에 실시된 1960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80명의 제3대 경상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 정당 | 합계 | |
|---|---|---|
| 민주당 | 42 | |
| 신민당 | 2 | |
| 무소속 | 36 | |
제4대 경상남도의회
[편집]1991년 6월 20일에 실시된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89명의 제4대 경상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 정당 | 합계 | |
|---|---|---|
| 민주자유당 | 73 | |
| 신민주연합당 | 1 | |
| 민주당 | 1 | |
| 무소속 | 14 | |
제5대 경상남도의회
[편집]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94명의 제5대 경상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85명과 비례대표 의원 9명이 선출되었다.
|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
| 민주자유당 | 52 | 6 | 58 | |
| 민주당 | 0 | 3 | 3 | |
| 무소속 | 33 | - | 33 | |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 민주자유당 | 738,597 | 
  | 
6 | |||
| 민주당 | 139,676 | 
  | 
3 | |||
| 자유민주연합 | 1,896 | 
  | 
0 | |||
| 무소속 | 777,626 | 
  | 
- | |||
한 정당이 비례대표 의석의 2/3를 초과하여 배분받을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민주자유당에 6석, 민주당에 3석이 배분되었다.
제6대 경상남도의회
[편집]1998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51명의 제6대 경상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46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
| 한나라당 | 41 | 3 | 44 | |
| 새정치국민회의 | 0 | 2 | 2 | |
| 무소속 | 5 | - | 5 | |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 한나라당 | 644,941 | 
  | 
3 | |||
| 새정치국민회의 | 95,503 | 
  | 
2 | |||
| 자유민주연합 | 33,765 | 
  | 
0 | |||
| 국민신당 | 12,285 | 
  | 
0 | |||
| 무소속 | 352,801 | 
  | 
- | |||
한 정당이 비례대표 의석의 2/3를 초과하여 배분받을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한나라당에 3석, 새정치국민회의에 2석이 배분되었다.
제7대 경상남도의회
[편집]2002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50명의 제7대 경상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45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
| 한나라당 | 44 | 3 | 47 | |
| 새천년민주당 | 0 | 1 | 1 | |
| 민주노동당 | 0 | 1 | 1 | |
| 무소속 | 1 | - | 1 | |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 한나라당 | 906,750 | 
  | 
3 | |||
| 새천년민주당 | 131,285 | 
  | 
1 | |||
| 민주노동당 | 108,999 | 
  | 
1 | |||
| 자유민주연합 | 40,721 | 
  | 
0 | |||
| 사회당 | 29,201 | 
  | 
0 | |||
한 정당에 비례대표 의석 2/3를 초과하여 배분할 수 없다는 공직선거법 조항에 따라 한나라당에 4석, 새천년민주당과 민주노동당에 각 1석이 배분되었다.
제8대 경상남도의회
[편집]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53명의 제8대 경상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48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
| 한나라당 | 44 | 3 | 47 | |
| 민주노동당 | 1 | 1 | 2 | |
| 열린우리당 | 0 | 1 | 1 | |
| 무소속 | 3 | - | 3 | |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 한나라당 | 855,777 | 
  | 
3 | |||
| 열린우리당 | 242,988 | 
  | 
1 | |||
| 민주노동당 | 241,877 | 
  | 
1 | |||
제9대 경상남도의회
[편집]2010년 6월 2일에 실시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59명의 제9대 경상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49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 교육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
| 한나라당 | 35 | 3 | 38 | |
| 민주노동당 | 4 | 1 | 5 | |
| 민주당 | 2 | 1 | 3 | |
| 진보신당 | 2 | 0 | 2 | |
| 국민참여당 | 1 | 0 | 1 | |
| 무소속 | 5 | - | 5 | |
| 교육의원 | - | - | 5 | |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 한나라당 | 722,880 | 
  | 
3 | |||
| 민주당 | 268,630 | 
  | 
1 | |||
| 민주노동당 | 218,999 | 
  | 
1 | |||
| 국민참여당 | 103,857 | 
  | 
0 | |||
| 친박연합 | 86,268 | 
  | 
0 | |||
| 진보신당 | 57,532 | 
  | 
0 | |||
| 자유선진당 | 35,022 | 
  | 
0 | |||
| 사회당 | 7,909 | 
  | 
0 | |||
제10대 경상남도의회
[편집]2014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55명의 제10대 경상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50명과 비례대표 의원 5명이 선출되었다.
|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
| 새누리당 | 47 | 3 | 50 | |
| 새정치민주연합 | 0 | 2 | 2 | |
| 노동당 | 1 | 0 | 1 | |
| 무소속 | 2 | - | 2 | |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 새누리당 | 913,467 | 
  | 
3 | |||
| 새정치민주연합 | 445,514 | 
  | 
2 | |||
| 통합진보당 | 81,717 | 
  | 
0 | |||
| 노동당 | 44,589 | 
  | 
0 | |||
| 정의당 | 38,766 | 
  | 
0 | |||
| 녹색당 | 19,214 | 
  | 
0 | |||
제11대 경상남도의회
[편집]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58명의 제11대 경상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52명과 비례대표 의원 6명이 선출되었다.
|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
| 더불어민주당 | 31 | 3 | 34 | |
| 자유한국당 | 19 | 2 | 21 | |
| 정의당 | 0 | 1 | 1 | |
| 무소속 | 2 | - | 2 | |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 더불어민주당 | 799,593 | 
  | 
3 | |||
| 자유한국당 | 685,824 | 
  | 
2 | |||
| 정의당 | 135,339 | 
  | 
1 | |||
| 바른미래당 | 93,965 | 
  | 
0 | |||
| 민중당 | 23,435 | 
  | 
0 | |||
| 녹색당 | 14,437 | 
  | 
0 | |||
| 대한애국당 | 12,011 | 
  | 
0 | |||
제12대 경상남도의회
[편집]2022년 6월 1일에 실시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64명의 제12대 경상남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58명과 비례대표 의원 6명이 선출되었다.
|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
| 국민의힘 | 56 | 4 | 60 | |
| 더불어민주당 | 2 | 2 | 4 | |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 국민의힘 | 913,845 | 
  | 
4 | |||
| 더불어민주당 | 461,473 | 
  | 
2 | |||
| 정의당 | 62,803 | 
  | 
0 | |||
| 진보당 | 12,309 | 
  | 
0 | |||
| 기본소득당 | 7,517 | 
  | 
0 | |||
| 녹색당 | 7,374 | 
  | 
0 | |||
정당별 의석 수
[편집]| ↓ | ||
| 4 | 60 | |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
교섭단체
[편집]경상남도의회는 총 정원의 10퍼센트 이상을 확보한 정당, 또는 교섭단체에 속하지 않은 의원이 총 정원의 10퍼센트가 모여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4]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외부 링크
[편집]- 경상남도의회 
 -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