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대왕함
DDG-995 정조대왕 | |
---|---|
대략적인 정보 | |
함명 | 정조대왕 |
이름유래 | 조선 정조 |
함종 | 구축함, 이지스함 |
함번 | DDG-995 |
제작 | 현대중공업 |
운용 | ![]() |
발주 | 2019년 10월 |
기공 | 2021년 10월 5일 |
진수 | 2022년 7월 28일 |
취역 | 2024년 12월 2일 |
가격 | 1조 3000억 원[1] |
일반적인 특징 | |
함급 | 광개토-III Batch-II |
배수량 | 8,200 t |
전장 | 170 m |
선폭 | 21 m |
추진 | 가스 터빈 엔진 4대 + 전기추진체계 2대 |
속력 | 30 노트 (시속 55 km) |
승조원 | 약 200명 |
무장 | 5인치 함포, 한국형 수직발사체계-II, CIWS, SM-6, 함대공·함대지 미사일, 홍상어, 어뢰 등[2][3] |
장갑 | 스텔스 성능 강화 |
탐지 장비 | 통합소나체계, 다기능 위상배열 레이더[4] |
전자전 | 적외선 및 전자광학 탐지추적장비 |
항공장비 | MH-60R 시호크 |
기타 정보 | 최신 이지스 전투 시스템 |
정조대왕함(DDG-995)은 대한민국 해군의 4번째 이지스 구축함으로 광개토-III Batch-II의 1번함이다. 2022년 7월 28일에 진수하였으며 2024년 12월 취역하였다.[5][6]
역사
[편집]군은 2013년 12월 제282차 합동참모회의에서 북한의 탄도미사일 대응 및 대잠전 능력이 향상된 이지스급 구축함을 국내 건조로 확보하기 위한 소요결정을 했으며, 2014년 9월에 오는 2028년까지 동급의 함정 3척을 건조하는 사업추진기본전략을 수립했다.
이에 따라 '광개토-Ⅲ 배치-Ⅱ'로 불리는 한국형 구축함 3단계 두번째 사업(KDX-III Batch-II)이 본격 추진되어 1번함과 2번함은 2019년 10월, 2021년 11월 현대중공업이 각각 수주·계약했으며 3번함은 22년 하반기에 결정될 예정이다.
1번함은 2021년 2월 16일 착공식을 통해 철판을 처음으로 절단하면서 함 건조 공정에 들어갔다. 이어 2021년 10월 5일에는 함정을 조립하는 첫 블록을 건조용 선대에 거치하는 기공식을 가졌다.[4]
2022년 4월 29일, 함명제정위원회에서 조선 제22대 왕인 조선 정조를 광개토(KDX)-III 배치-II 사업 '1번함' 명칭으로 쓰기로 결정했다.[7]
2022년 7월 28일, 울산광역시 현대중공업에서 정조대왕함의 진수식이 열렸다. 정조대왕함은 시험평가 기간을 거쳐 2024년 11월 해군에 인도된 후 전력화 과정을 마치고 실전 배치된다. 동급 이지스함 2척이 추가 건조될 예정이다.[5]
특징
[편집]정조대왕함은 기존 가스 터빈 엔진 4대에 전기추진체계 2대가 추가되어 일방 항해때는 연료를 절감해 효율적으로 기동할 수 있다. 대잠 능력은 장거리 및 경어뢰를 탑재하고 국내 기술로 개발한 첨단 통합소나체계가 적용되어 잠수함과 어뢰 등 수중 위협에 대한 탐지 능력이 향상됐다. 2024년부터 도입될 MH-60R 시호크 탑재도 가능해 강력한 대잠 작전 능력을 보유하게 된다.
또한 한국형 수직발사체계-Ⅱ를 설치해 SM-6 등 장거리 함대공 미사일과 함대지 탄도 미사일을 탑재할 예정으로 주요 전략표적에 대한 원거리 정밀 타격 능력뿐 아니라 탄도미사일에 대한 요격 능력도 한층 향상되었다.[5]
세종대왕급과 비교
[편집]정조대왕함은 기존 7600톤급 세종대왕급 구축함에 비해 600톤 커졌지만 함정 보호를 위한 스텔스 성능은 강화되었다. 세종대왕급의 SM-2는 항공기와 순항 미사일에만 대응이 가능하며 북한의 탄도미사일은 탐지·추적만 가능했지만 정조대왕함은 SM-6로 북한 탄도미사일 요격이 가능해진다. 또한 북한의 핵심 시설에 대량응징보복이 가능한 함대지 미사일도 배치된다.[3]
- SM-3 탑재가능. 탄도미사일 '탐지·추적'만 가능했던 세종대왕급과 달리 '탐지·추적·요격'이 가능하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송영조 (2022년 6월 16일). “한 척에 1조3000억…대한민국 바다 지킬 전투함의 정체”. 《조선일보》. 2022년 7월 29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유용원·김동하 (2022년 7월 29일). “정조대왕함, 1800㎞ 밖에서 1800개 표적 탐지… 北 핵시설도 타격 가능”. 《조선일보》. 2022년 7월 29일에 확인함.
- ↑ 가 나 신규진·정주영 (2022년 7월 29일). “정조대왕함, 北탄도미사일 해상서 요격… 지휘부 원점타격도”. 《동아일보》 (네이버). 2022년 7월 29일에 확인함.
- ↑ 가 나 신인호 (2022년 6월 13일). “차기 이지스구축함 정조대왕함은 ~”. 《국방일보》. 2022년 7월 29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가 나 다 하채림 (2022년 7월 28일). “SM-6 탑재 이지스함 정조대왕함 진수…北미사일 해상서 요격”. 《연합뉴스》 (네이버). 2022년 7월 29일에 확인함.
- ↑ 이철수 (2023년 7월 30일). “바다 위의 거대한 성…'탄도미사일 킬러' 정조대왕함이 떴다 [이철재의 밀담]”. 《중앙일보》. 2023년 10월 6일에 확인함.
- ↑ 노민호 (2022년 6월 12일). “8200톤급 차세대 구축함 1번함 '정조대왕함' 명명”. 《뉴스1》. 2022년 7월 2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