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안창호급 잠수함
보이기
![]() | |
개요 | |
---|---|
함종 | 잠수함 |
함급명 | 안창호 |
제작자 | 현대중공업, 대우조선해양 |
운용자 | ![]() |
이전 함급 | 손원일급 잠수함 |
발주일 | 2012년 12월 |
기공일 | 2016년 5월 17일 |
진수일 | 2018년 9월 14일 |
취역일 | 2021년 8월 13일 |
계획수 | 9척 |
가격 | 8,500억 원 (디젤추진) |
특징 | |
배수량 | 기준 3,358톤, 수중 3,705톤[1] |
전장 | 83.5m |
선폭 | 9.6m |
흘수 | 7.62m |
추진 | 디젤엔진 AIP 시스템 또는 SMART-P 65MWt 경수로 |
속력 | 수상 12노트, 수중 20노트 |
항속거리 | 10,000 해리(18,520 km) |
승조원 | 50 명 |
무장 | 533mm 어뢰관 6문 VLS 6문 (배치1) 잠대지 순항미사일 또는 SLBM VLS 10문 (배치2) 잠대지 순항미사일 또는 SLBM |
작전일수 | 50 일 |
도산안창호급 잠수함(島山安昌浩級潛水艦)은 장보고 III 사업(KSS-III)으로, 대한민국 해군이 2020년에 실전배치한 3,000 ~ 3,500톤급 잠수함 함급이다. 이 개발 사업으로 대한민국은 잠수함 독자설계와 건조기술을 보유한 12번째 국가가 됐으며[2] 세계에서 8번째로 3000t급 이상 잠수함을 독자적으로 개발한 나라가 됐다.[3]
역사
[편집]총 9척을 계획 중이다. 2021년부터 2029년까지 척당 8,500억여원의 중잠수함 6척을 추가로 확보할 예정이다.[4]
2018년 9월 14일, 1번함 SS-083 도산 안창호가 진수됐고, 2번함인 안무함, 3번함인 신채호함까지 모두 취역까지 완료했다.
수직발사관
[편집]SLBM을 탑재하는 콜드런치 방식인 국산 수직발사관(KVLS) 6문을 장착했다. 수직발사관의 제원은 알려진 것이 없다.
2021년, 도산안창호함에서 세계에서 8번째로 SLBM의 수중 시험발사에 성공하였다. 사거리 500km인 현무-2B를 기반으로 개발한 현무 4-4로 알려졌다. SLBM은 잠수함 특유의 잠함 능력과 수중발사체계가 가지는 은밀성에 탄도미사일이 가지는 파괴력이 더해져 전장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게임 체인저’라는 평가를 받는다.[5]
장보고-III 사업
[편집]- 장보고-III 배치-I
- 3척, 기준배수량 3300톤, 수중배수량 3700톤, SLBM 6발, 국산화율 76.8%, 도산안창호급 잠수함
- 장보고-III 배치-II
- 3척, 기준배수량 3600톤, SLBM 10발, 국산화율 80%
- 장보고-III 배치-III
- 3척, 기준배수량 4000톤, SLBM 10여발
동급함정
[편집]함번 | 이름 | 기공일 | 진수일 | 취역일 | 제작사 |
SS-083 | 도산안창호 | 2016년 5월 17일 | 2018년 9월 14일 | 2021년 8월 13일 | 대우조선해양 |
SS-085 | 안무 | 2018년 4월 17일 | 2020년 11월 10일 | 2023년 4월 20일 | 대우조선해양 |
SS-086 | 신채호[6] | 2019년 | 2021년 9월 28일 | 2024년 4월 5일 | 현대중공업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해군사관학교 전시관 제원
- ↑ 이세영 (2007년 5월 17일). “올 3000t급 重잠수함 개발 착수”. 《서울신문》. 2010년 3월 31일에 확인함.
- ↑ 노성수 (2021년 8월 13일). “[도산안창호함] ‘마침내 우리 손으로’ 국내 첫 3000톤급 잠수함 취역”. 《국방일보》. 2023년 4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정충신 (2007년 5월 17일). “3,000t급 잠수함 독자개발 착수”. 《문화일보》. 2010년 3월 31일에 확인함.
- ↑ 박은경 (2021년 9월 7일). “군, 도산안창호함 SLBM 시험발사 성공…세계 8번째”. 《경향신문》. 2022년 4월 15일에 확인함.
- ↑ 신규진 (2021년 8월 9일). “3000t급 잠수함 3번함 이름은 '신채호함'”. 《동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