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야디 e6
| 차종 | 소형 MPV |
|---|---|
| 제조사 | 비야디 자동차 |
| 생산년도 | 2009년~현재 |
| 차체형식 | 5도어 미니밴 |
비야디 e6(영어: BYD e6)는 2009년부터 비야디 자동차에서 생산하는 배터리 전기차이다. 1세대 모델의 현장 시험은 2010년 5월 중국 선전시에서 40대가 택시로 운행되면서 시작되었다.[1]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판매는 2011년 10월 선전시에서 시작되었으며, 이는 원래 예정된 2009년 출시일보다 2년 이상 지연된 것이다.[2][3]
여러 대의 e6 차량이 중국, 콜롬비아, 벨기에, 싱가포르, 미국 (뉴욕 및 시카고), 네덜란드, 영국, 인도네시아에서 택시로 운영되는 플릿 서비스에 사용되었다.[4] 2010년부터 2016년 12월까지 중국에서 총 34,862대가 판매되었다.[5][6] BYD e6는 2016년 중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순수 전기차로 선정되었으며,[6] 2015년 아바나 국제 박람회에서 "최고 품질 제품" 금메달을 수상했다.[7]
1세대 (2009년)
[편집]| 생산년도 | 2009년~2021년 |
|---|---|
| 구동방식 | 전방 모터, 전륜 구동 듀얼 모터, 4륜구동 |
| 차대 | 비야디 e 플랫폼 1.0 |
| 축간거리 | 2,830 mm (111.4 in) |
| 전장 | 4,560 mm (179.5 in) |
| 전폭 | 1,822 mm (71.7 in) |
| 전고 | 1,630 mm (64.2 in) |
| 전비중량 | 2,020 kg (4,453 lb) |
1세대 비야디 e6는 2009년에 출시되었다. 제조사에 따르면 전기 주행 거리는 300 km (186 mi)이다.[8][9] 외관 디자인과 내부 디자인은 3세대 혼다 오디세이 (RB1/2)와 유사하며, 전면부 디자인이 변경되고 후면부가 짧아졌다.[10]
BYD는 e6 모델을 미국에 정부 인센티브 없이 US$35,000에 판매할 계획이었다.[11] 그러나 미국 출시 일정을 여러 번 변경한 후, 2011년 10월 BYD는 충전 인프라 부족으로 인해 일반 소비자 대상 판매를 최소 18개월 연기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2] 2013년 5월, BYD는 e6를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하지 않고, 대신 US$52,000에 플릿 고객에게만 판매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3] 이는 북미에서 전기 버스 판매에 집중할 계획이었기 때문이다.[14]
사양에는 최대 400 km (82-kWh 배터리 장착 시)의 주행 거리, 4000회 충전 사이클의 보증 수명,[15] 그리고 15분 만에 80% 용량까지 빠른 배터리 충전 기능이 포함된다.[16] 이 차량들은 택시, 경찰차 또는 렌터카와 같이 넓은 주행 거리 요구 사항이 있는 차량 플릿에서 자주 사용된다.
사양
[편집]초기 사양
[편집]BYD가 2009년 e6에 대해 처음 주장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17]
- 전력 소비량: 100 km (62 mi)당 18 kWh 미만
- 가속: 0-60 mph (97 km/h) < 8초
- 최고 속도: 100 mph (160 km/h)
- 일반 충전: 220V/10A 가정용 전원 소켓
- 고속 충전 (삼상 AC 사용):[18]
- 주행 거리: 186 마일 (300 km)[19]
- BYD는 Fe 배터리에 10년 보증을 제공한다[19]
이 주행 거리와 소비량은 72-kWh의 전지팩을 의미하며, 이는 2009년 생산되는 전기차 중 가장 큰 용량이었을 것이다.
수정된 사양
[편집]초기 버전 (60-70 kWh)
[편집]BYD는 2009년 북미 국제 오토쇼에서 e6에 대해 더 작은 48-kWh 전지팩을 언급했다.[20] (이러한 버전은 판매된 적이 없으며, 2010년 중국 선전시에서 출시된 차량은 모두 최소 60-kWh 용량의 배터리를 사용했다.[21]) 그러나 2010년 NAIAS에서 BYD는 e6의 충전당 주행 거리는 205 mi (330 km), 0-60 mph 가속 시간은 14초 미만, 최고 속도는 87 mph (140 km/h)로 추정된다고 밝혔다.[22]
이후 주행 거리가 줄어들고 소비량이 증가했다. BYD에 따르면, 중국 선전시에서 택시로 운행을 시작한 40대의 시범 차량은 300 km (186 mi)의 주행 거리, 최고 속도 140 km/h (87 mph), 100 km당 21.5 kWh를 소비한다.[1][21] 2011년 8월, BYD는 에어컨을 켜거나 언덕을 오르는 등 더 까다로운 조건에서 e6의 주행 거리가 230 to 240 킬로미터 (140 to 150 mi)라고 명확히 밝혔다. 정지 및 출발이 많은 도시 주행과 같은 더 유리한 조건에서는 주행 거리가 290 to 320 킬로미터 (180 to 200 mi)로 증가한다. 그러나 이 주장은 독립적인 제3자 테스트를 통해 검증되지 않았다.[23]
2011년 1월 BYD는 미국 소비자의 선호에 따라 미국 버전은 중국 버전보다 더 강력하며, 160 kW 전기 모터가 장착된 60-kWh 전지팩을 탑재하여 8초 미만에 0-60 mph에 도달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11]
미국에서 일반 대중에게 차량을 판매하려는 계획은 철회되었으며, 2016년 2월 현재 100대 미만의 차량이 플릿용으로 미국에 수입되었다.[24] 중국은 이 차량의 주요 시장으로 남아있었다.
후기 버전 (82 kWh)
[편집]
2016년 현재, 이 차량은 82-kWh 배터리로 판매되고 있다.[25] 이는 테슬라 모델 S 초기 장거리 버전에 탑재된 81-kWh 배터리보다 더 크다.[26] 그러나 테슬라는 2015년 이후로 더 큰 전지팩을 제공해 왔다.
제조업체는 주행 거리가 400 km (249 mi)라고 주장한다.[8] 싱가포르 리뷰어들은 실제 주행 거리를 370 km (230 mi)으로 추정했다.
독일에서는 Fenecon이라는 에너지 저장 회사가 유통업체 역할을 하고 유럽 자동차 저널리스트들에게 테스트용으로 차량을 제공하면서 차량에 대한 관심을 되살리려고 노력하고 있다.[27][28]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아시아는 BYD e6의 주요 시장으로 남아있다.
배터리 및 파워트레인
[편집]e6에 동력을 공급하는 BYD의 "Fe" 리튬 인산철 배터리는 회사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이다. 배터리에 사용되는 모든 화학 물질은 재활용할 수 있다. e6에는 101 hp (75 kW), 101+54 hp (75+40 kW), 215 hp (160 kW), 215+54 hp (160+40 kW)의 4가지 전력 조합이 있다.[29] 대부분 (또는 적어도 일부)의 e6 전지팩은 차량의 하부 패널에 위치한다.[30] 두 개의 전기 모터 옵션은 전방 및 후방 모터를 사용하여 차량을 사륜구동으로 만든다. 제조업체에 따르면 차량의 리튬 인산철 배터리는 급속 충전소에서 15분 이내에 80%까지, 40분 후에는 100%까지 충전된다.[31]
안전
[편집]- 충돌 및 화재
2012년 5월 26일 선전시에서 음주 운전자가 180 km/h의 속도로 닛산 GT-R을 몰고 비야디 e6 택시에 충돌한 후, 전기차는 나무에 부딪힌 후 화재가 발생하여 탑승자 3명 모두 사망했다.[32] 중국 조사팀은 화재의 원인이 "고전압 분배 상자의 고전압 라인 단락으로 인한 전기 아크가 차량 내부 재료 및 일부 전지팩을 포함한 가연성 물질에 불을 붙였다"고 결론지었다. 또한 조사팀은 탑승자 사망의 원인은 화재가 아니라 충돌이라고 밝혔다. 그들은 또한 전지팩이 폭발하지 않았고, 단일 셀 배터리의 75%가 불에 타지 않았으며, 차량 안전 설계에서 결함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33]
비용
[편집]비야디 자동차는 웹사이트에서 비야디 e6 (택시)가 5년의 만기로 에너지 비용, 즉 휘발유 소비 대신 전력 소비에서만 약 74,000달러를 절약했다고 계산한다.[34]
내부
[편집]
e6는 최신 차체/프레임 일체형 구조를 특징으로 하며, 전지팩은 차량에 완전히 통합된 칸에 보호되어 있다. 전지팩의 외부 치수는 길이 175 cm (69 in), 너비 95 cm (37 in), 높이 30 cm (12 in)이다.
5인승 e6는 가족 지향적인 크로스오버 차량으로 판매된다.
정책
[편집]2012년 11월 4일, BYD는 베이징에서 열린 기자 회견에서 순수 전기차 e6 및 전기 버스 판매 촉진을 위한 새로운 전략인 "차량 구매 가격 제로, 비용 제로, 배출 제로"를 발표했으며, 이는 국가개발은행의 재정 지원을 받았다.[35][36] 현재 300억 위안 이상이 이 금융 프로그램에 준비되어 있다.[36] 대중교통 운영자/회사를 specifically 대상으로 하는 이 계획에 따르면, 고객은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세 가지 운영 모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세 가지 운영 모델은 다음 표와 같다.[37][38]
| 모델 | 금융 기관 | 리스 기간 | 소유권 |
|---|---|---|---|
| 금융 리스 | 금융 회사 | 완전한 전기차량 운영 수명 주기 (예: 5년) | 리스 기간 동안 금융 기관은 전기차량을 소유한다. 택시 회사는 할부로 리스 비용을 지불한다. 리스 기간이 끝나면 택시 회사가 차량을 소유한다. |
| 운용 리스 | 제3자 차량 리스 회사 | 완전한 전기차량 운영 수명 주기 (예: 5년) 또는 더 짧은 기간 (예: 1년) | 리스 기간 동안 및 리스 기간이 끝난 후에도 차량 리스 회사가 차량을 소유한다. 택시 회사와 차량 리스 회사는 리스에 대한 운용 리스 계약을 체결한다. |
| 구매자 신용 | 택시 회사 | 택시 회사가 차량 소유권을 갖는다. 택시 회사는 금융 기관에 월별 할부금을 지불한다. |
이 정책은 선전시의 연료 택시와 완전 전기 택시 간의 5년간의 비용을 비교하여 "제로 비용" 개념을 설명했으며, 일련의 계산 후 "만약 렌터카가 5년 동안 운행된다면, 5년간의 총 절약액에서 차량의 더 높은 비용과 여러 결제에 대한 이자를 공제하면 326,400 위안을 절약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36][37][38] 또한 회사는 충분한 주행 거리를 달성하면 "차량 대금이 전액 상쇄될 것"이라고 말했다.[36] BYD는 또한 "e6 전기 택시는 연간 14,120리터의 연료를 절약하며, CO2 배출량은 32톤 감소한다"고 말하며, 모든 중국 택시가 자사의 EV로 대체되면 "연간 1억 6,900만 리터의 연료를 절약하고 CO2 배출량을 3,862만 톤 줄일 수 있다"고 밝히며 재생 에너지 차량의 "제로 배출" 기능을 강조했다.[37][38]
현재 이 정책은 중국 시장에만 적용된다.[36]
시장
[편집]벨기에
[편집]브뤼셀 지방 정부는 비야디 자동차를 전기 택시 공급업체로 선정했다. 2014년, 35대의 비야디 e6 택시가 브뤼셀에서 운행을 시작했다.[39]
캐나다
[편집]퀘벡에서는 80-kWh BYD가 택시로 사용된다. 한 전기 택시 수입 회사는 2019년에 첫 25대 차량이 도착하면서 이 차량들을 출시하기 시작했으며, 이 차량들은 택시 운전사에게 리스 구매 방식으로 제공된다. 이 회사는 2년 이내에 2,000대까지 도로에 배치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40]
중국
[편집]

2010년 3월,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는 BYD가 2010년 중국에서 순수 전기차 대량 생산 계획을 연기하고, 대신 덜 비싼 F3DM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를 중국 시장에 마케팅하기 위해 2010년 선전시에서 택시로 사용될 100대의 e6 차량만 현장 테스트용으로 생산할 것이라고 보도했다.[9][41]
선전시의 현장 시험 프로그램은 2010년 5월 BYD 자회사인 펑청 전기 택시 회사에서 운영하는 40대의 e6 전기차가 택시로 운행되면서 시작되었으며,[21] 2010년 후반에 배치될 예정이던 100대 중 일부였다.[21][41] 이 확장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결국 50대가 사용되었다. BYD는 투자자 워렌 버핏의 9월 방문과 함께 테스트 프로그램의 성공에 대한 낙관적인 발표를 했지만, 테스트 차량이 달성한 주행 거리, 가속 또는 속도에 대한 정보는 공개하지 않았다.[42]
2011년 4월, 택시 시범 운행이 시작된 지 1년 후, BYD는 선전시의 e6 택시 fleet가 총 1,730,000 마일 (2,780,000 km)를 누적했다고 보고했다. 전기 택시는 급속 충전 조건에서도 주행 거리 감소나 배터리 성능 저하 없이 20~30분 안에 연속적으로 급속 충전되며, 이는 BYD에 따르면 "리튬 인산철 배터리 기술의 입증된 실적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BYD는 또한 2011년 8월 이전에 250대의 e6가 선전 국제 대학에 인도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43] 2011년 6월 BYD는 e6 택시 fleet가 1,864,114 마일 (3,000,001 km)를 초과했다고 발표했다.[44]
2011년 10월, BYD는 선전시 일반 대중에게 e6 판매를 시작했으며, 정부 보조금 적용 전 가격은 369,800 인민폐, 보조금 적용 후 가격은 249,800 인민폐였다. 생산된 e6에는 BYD의 i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어 소유자가 스마트폰으로 차량의 일부 (예: 에어컨 및 도어 잠금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3] 2013년 초, BYD는 선전시 공안국에 500대의 배터리 전기 e6 경찰차를 공급하는 대규모 계약을 따냈으며, 이 도시에서 총 1,860만 마일을 주행한 기존 300대의 BYD e6 택시에 추가되었다.[45][46]
2010년에는 33대만 판매되었고,[47] 2011년에는 401대, 2012년에는 1,690대, 2013년에는 1,544대가 판매되었다.[48][49] 2014년에는 3,560대로 판매량이 크게 증가했고, 2015년에는 7,029대,[50][51] 2016년에는 20,605대가 인도되어 e6는 2016년 중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완전 전기 플러그인 승용차가 되었다.[6] 2016년 12월까지 중국에서 누적 판매량은 34,862대였다.[5][6]
홍콩
[편집]
2012년 5월, BYD Co. Ltd.의 회장 겸 사장인 왕 푸는 이 도시의 자동차 배출량을 56%까지 극적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BYD의 "전기화된 운송 솔루션" 기자 회견에서 홍콩에 45대의 BYD e6가 전기 택시로 예정되어 있다고 밝혔다. 홍콩의 BYD e6 택시 수는 내년에 1,000대, 2015년에는 3,000대로 크게 증가할 수 있다. 현재 이 45대의 BYD e-택시를 위한 첫 번째 충전소 배치가 건설 중이며, 두 번째 충전소 배치는 5월 이전에 설치되어 각 e-택시가 하나의 충전 장치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52][53][54][55]
e-택시 프로젝트의 2년간의 시험 운행은 홍콩 정부에 의해 중단되었는데, 이는 세 명의 시험 운영자가 낮은 성능으로 인해 차량을 개인 차량으로 등록을 전환했기 때문이다.[56] 이 프로젝트는 BYD에 의해 실패로 낙인찍혔다.[57]
BYD는 Carshare.hk 및 기타 렌터카 매장과 협력하여 개조된 e6의 렌탈 서비스를 제공했다. Carshare.hk와 함께 e6는 3년 동안 월 약 4500 홍콩 달러로 렌탈-소유 모델을 채택하여 렌탈러가 차량의 완전한 소유권을 갖게 된다.
2018년에 BYD는 무료 충전 서비스를 축소하기 시작했고 결국 중단했다. 다양한 주차장에 설치된 충전기는 여전히 있지만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다.[58]
콜롬비아
[편집]BYD e6로 구성된 남미 최초의 완전 전기 택시 fleet는 2013년 초 콜롬비아의 수도 보고타에서 출시되었으며, 콜롬비아 교통부의 운영 승인을 받아 번호판 제한 없이 지역 대기 질 개선 및 이 녹색 에너지 추구 국가의 다른 도시에 모범을 보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출시되었다.[59][60][61] 2013년 9월, 이 시범 프로그램의 e6 택시 총 45대가 인도되었다. e6 fleet는 콜롬비아의 "BIOTAXIS 프로젝트"의 일부이다.[62] 이 e-택시 fleet는 콜롬비아의 비야디 자동차 유통업체인 Praco Didacol의 책임 하에 운영되기도 했다. 또 다른 3대의 BYD e6는 보고타의 기술, 과학 및 혁신 관리 기관인 Colciencias에 보내졌다.[61]
코스타리카
[편집]2013년 1월, BYD Auto의 현지 대표는 코스타리카 환경, 에너지 및 통신부와 "친환경 택시"로 사용될 200대의 BYD e6 전기차를 배치하기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이 전기차는 수입 관세가 면제되며, 정부는 산호세 (코스타리카)의 전략적 위치에 충전소를 배치하기로 합의했다.[63] 2013년 5월부터 e6는 택시용으로만 판매되고 있다.[64]
인도네시아
[편집]1세대 e6 25대는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운송 회사인 블루버드 그룹이 e-블루버드 (처음 출시되었을 때는 블루버드 e-택시) 일반 택시 서비스로 국내에 수입 및 운영되었다. 이 택시는 2019년 4월 22일에 처음 공개되었으며, 실버버드 e-택시 (이후 e-실버버드) 임원 택시로 운영되는 테슬라 모델 X 75D 5대와 함께 공개되었다. e6와 모델 X 택시는 2019년 5월 1일에 블루버드 그룹의 47주년 기념일에 맞춰 서비스를 시작했다.[65] 1세대 e6 fleet는 5년간의 서비스 후 2024년 3분기에 단계적으로 폐지되었다.[66] 이들은 2세대 e6로 대체되었다.[67][68]
네덜란드
[편집]2011년 6월, BYD와 로테르담시는 택시용으로 인도될 e6 차량 수량에 대해 구속력 있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 거래는 도시가 75대의 대체 에너지 차량을 구매하기로 약속한 75-EV-RO라는 더 큰 계획의 일부이다.[44] 2013년 12월, 네덜란드 최대 택시 운영업체 중 하나인 로테르담 택시 센터는 성공적인 시범 기간을 거쳐 두 대의 e6 택시를 서비스에 투입했다. 이 회사는 향후 19개월 이내에 e6 fleet를 25대로 확장할 계획이다.[69]
뉴질랜드
[편집]E6의 대규모 수입은 없었으며, 이 차량들은 싱가포르에서 택시 fleet가 해체된 후 현지 경매장을 통해 개인적으로 수입 및 판매되었다. 많은 차량이 싱가포르를 떠나기 전에 재도색 및 정비되었다. 각 차량은 현지에서 도로 테스트를 거쳤으며 배터리 범위와 상태가 기록되었다.
싱가포르
[편집]2022년, ComfortDelGro Taxi는 100대의 BYD e6를 택시 fleet에 추가했다. [70]
대만
[편집]BYD 홍콩과 대만 솔라 에너지 (Taiwan Solar Energy Co.)의 합작 회사인 BYD 대만은 현지 택시 협회로부터 1,500대 이상의 e6 차량 주문을 받았으며, 2014년 1분기에 인도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회사는 규제 검사 및 승인을 가속화하기 위해 대만에서 판매될 첫 BYD e6 차량 조립을 현지 자동차 제조업체에 위탁했다고 밝혔다.[71]
영국
[편집]
BYD는 런던에서 두 번째로 큰 고급 미니캡 서비스 업체인 그린 토마토 카즈 (Green Tomato Cars)와 50대의 BYD e6 fleet를 도시에 인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이 인도는 2013년 2분기에 이루어질 예정이었다.[72][73] 2014년 2월, 그린 토마토 카즈는 BYD와의 계약이 취소되었다고 발표했다.[74] 그러나 2014년 2월, 20대가 런던의 Thriev라는 새로운 회사에서 미니캡으로 운행되기 위해 인도되었다.[74][75]
미국
[편집]2009년 BYD는 e6가 2010년 미국에서 40,000달러가 조금 넘는 가격으로 출시될 것이라고 밝혔으며,[76] 남부 캘리포니아를 시작으로 여러 미국 도시에서 출시될 계획이었다.[77] 2010년 10월 BYD는 계획을 연기하고 미국 판매를 2011년으로 재조정한다고 발표했다.[78] 2010년 12월, 자동차 제조업체는 2011년 말까지 로스앤젤레스 시 정부를 포함한 남부 캘리포니아의 fleet 고객에게 최대 50대의 BYD e6 전기차를 선적할 계획을 발표했다.[79] BYD는 e6 모델을 미국에 정부 인센티브 없이 US$35,000에 판매할 계획이다.[11] 가장 큰 장애물 중 하나는 미국 충돌 테스트 통과가 될 것이며, BYD는 2011년에 이를 완료할 계획이다.[11] 2011년 8월 현재, 판매는 2012년 2분기에 시작될 예정이었다.[23] 그러나 2011년 10월 BYD는 예정보다 1년 늦게 로스앤젤레스에 본사를 열고 충전 인프라 부족으로 인해 소매 판매가 최소 18개월 연기될 것이라고 발표했다.[12]
일부 평론가들은 BYD가 아직 미국 소비자 시장에 단 한 대의 완전 전기차도 출시하지 않았고 출시 기한을 계속 놓쳤으며, 이는 BYD의 노동 집약적인 셀 생산 공정이 전기차 배터리에 필요한 품질 균일성을 달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추측을 낳았다.[80]
2010년 로스앤젤레스 시의회는 10대의 e6 전기차를 구매하고 20대를 추가로 리스하기로 합의했다. 시 공무원들은 또한 BYD의 K9 전기 버스 5대를 운영하는 시범 프로그램을 시작할 계획이다.[81]
2013년 2월 19일 현재, 11대의 BYD e6가 중국에서 미국으로 도착하여 로스앤젤레스에 위치한 BYD 북미 본사로 향했다. 그러나 이 fleet의 목적은 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았다.[82] 2013년 5월, BYD는 e6를 미국에서 fleet 고객에게만 판매할 것이며, 일반 대중에게 차량을 제공하는 대신 북미에서 전기 버스 판매에 집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4]

2015년 3월까지 시카고에서 우버 운전자가 약 25대의 BYD e6를 테스트 프로그램의 일부로 사용하고 있었다. 이 도시의 BYD 딜러는 e6에 관심 있는 운전자에게 전통적인 리스 또는 리스-소유 프로그램을 포함한 여러 옵션을 제공했다. 가장 인기 있는 프로그램은 우버 운전자가 주당 US$200에 e6를 리스하고 운전 교대 근무에 사용한 다음, 차량이 딜러 주차장으로 반환되어 다시 사용될 때까지 충전되는 방식이었다.[83] BYD 아메리카 부사장에 따르면, 2016년 02월 기준[update] 약 80대가 미국에 수입되었으며, 그 중 약 50대가 뉴욕으로 차량 호출 회사용으로 도입되었다.[24]
우루과이
[편집]2018년 1월 현재 우루과이 몬테비데오에서는 최소 25대의 BYD e6 택시가 운행 중이었다. UTE는 몬테비데오에 11개의 충전소를 설치했으며 2019년에 4개를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84]
태국
[편집]BYD e6는 2018년 9월 태국 시장에 출시되었다 (K9 전기 버스와 함께).
2018년 EV Society Co에 50대가 인도되었으며, 이 회사는 방콕 수완나품 공항에서 택시 fleet를 운영한다. 2019년 초에는 돈므앙 국제공항에서의 운영을 위해 같은 회사로부터 50대의 추가 예약이 접수되었다.[85]
2세대 (2021년)
[편집]| 생산년도 | 2021년~현재 |
|---|---|
| 조립 | 중국 선전시[86] |
| 변속기 | 고정 기어비 |
| 축간거리 | 2,800 mm (110.2 in) |
| 전장 | 4,695 mm (184.8 in) |
| 전폭 | 1,810 mm (71.3 in) |
| 전고 | 1,670 mm (65.7 in) |
| 전비중량 | 1,930 kg (4,255 lb) |
| 관련차량 | 비야디 송 맥스 / M6 / e맥스 7 |

2세대 BYD e6는 BYD 송 Max를 기반으로 하며, 드래곤 페이스 디자인 언어를 적용한 재설계된 전면부 덕분에 송 Max보다 길이와 높이가 증가했다. 성능 면에서 2세대 e6는 BYD의 블레이드 배터리를 사용하며 70 kW (95 PS; 94 hp) 전기 모터로 구동된다. 넉넉한 트렁크 공간을 갖춘 5인승 모델이다.
이 모델은 GL 트림과 GLX 트림 두 가지로 제공된다. GL 트림은 CCS2를 통한 DC 충전만 지원하며 AC 충전은 지원하지 않는다. GLX 트림은 동일한 DC 충전을 지원하며 1상 충전 (6.6 kW)도 지원한다. 최대 40 kW의 3상 AC 급속 충전은 새로운 EV 중 독특한 기능이다. 이 기능은 1세대 e6에서 이어받았으며, 3상 AC 급속 충전 (40 kW, 60A) 인프라에 투자했던 택시 서비스에 중요한 기능이다.
BYD e6는 우측 핸들 시장인 싱가포르, 호주, 홍콩, 태국, 네팔, 인도에서 출시되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BYD E6 Taxis Hit Roads in South China City”. Electric Vehicle News. 2010년 5월 18일. 2010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Keep Dangling the Carrot: BYD Postpones General Release of the All-Electric e6 Yet Again”. ChinaAutoWeb. 2010년 9월 3일.
- ↑ 가 나 “First Pure-Electric Vehicle now available for Consumers in China”. 《BYD Energy》. 2011년 10월 27일. 2011년 11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 Tian Ying and Chua Kong Ho (2014년 1월 14일). “Buffett-Backed BYD Says Chinese Cars to Debut in U.S.”. 《Bloomberg News》. 2014년 5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Cobb, Jeff (2016년 11월 7일). “China's BYD Becomes World's Third-Largest Plug-in Car Maker”. 《HybridCars.com》. 2016년 11월 1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Staff (2017년 1월 19일). “Best-selling China-made EVs in 2016”. 《China Auto Web》. 2017년 1월 25일에 확인함. Three BYD Auto models topped the Chinese ranking of best-selling new energy passenger cars in 2016. The BYD Tang SUV was the top selling plug-in electric car in China in 2016 with 31,405 units sold, followed by the BYD Qin with 21,868 units sold, and ranking third overall in 2016 was the BYD e6 with 20,605 units.
- ↑ Automotive World (2015년 11월 13일). “BYD e6 Gets Golden Medal for "Best Quality Product" in Havana International Fair 2015”. 《Automotive World》.
- ↑ 가 나 “Archived copy” (PDF). 2019년 12월 3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5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Tian, Ying; James, Stanley (2010년 3월 16일). “BYD Scales Back Its Electric-Car Plans, Morning Post Reports”. 블룸버그닷컴. 2010년 3월 19일에 확인함.
- ↑ “Beijing 2008: BYD e6 electric MPV, possible production EV in two years” (영어). 《Autoblog》. 2008년 4월 17일. 2021년 6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Brad Berman (2011년 1월 9일). “BYD Announces Breakthrough US Pricing for Chinese Long-Range Electric Cars”. PluginCars.com. 2011년 1월 11일에 확인함.
- ↑ 가 나 Alan Ohnsman and Christopher Palmeri (2011년 10월 24일). “Buffett-Backed Carmaker Arrives in L.A. Late With Fewer Jobs”. 《블룸버그 마켓》. 201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 Woody, Todd (2013년 10월 29일). “From China to Los Angeles, Taking the Electric Bus”. 《뉴욕 타임스》. 2013년 11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Antony Ingram (2013년 4월 8일). “BYD e6 Chinese Electric Car Won't Be Sold To Consumers In US”. Green Car Reports. 2013년 5월 11일에 확인함.
- ↑ sonnewindwaerme.de Elektroautos von BYD: FENECON startet Verkauf des e6; retrieved, 17 February 2016.
- ↑ byd-auto.net 보관됨 2016-02-06 - 웨이백 머신 Webseite von BYD: 40(min) / 15(min 80%)
- ↑ “Showroom/e6”. 비야디 자동차. 2009년 8월 23일. 2009년 9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Charging Solution (The battery that powers BYD cars, buses, and forklift trucks)”. 비야디 자동차. 2018년 2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2월 8일에 확인함.
- ↑ 가 나 byd-auto.net 보관됨 2016-02-06 - 웨이백 머신 Website of BYD
- ↑ Paul Evans (2009년 1월 14일). “BYD target US launch for electric cars in 2011”. Gizmag. 2009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40 BYD e6-Based Electric Taxis Enter Service in Shenzhen City”. Green Car Congress. 2010년 5월 18일. 2010년 5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5월 23일에 확인함.
- ↑ Ben Coxworth (2010년 1월 13일). “BYD e6 EV goes 205 miles between charges, coming to the US in 2010”. Gizmag. 2010년 3월 19일에 확인함.
- ↑ 가 나 Alysha Webb (2011년 8월 4일). “BYD Says It's On Track to Deliver Electric Car In Q2 2012”. PluginCars.com. 2011년 8월 6일에 확인함.
- ↑ 가 나 King, Danny (2016년 2월 27일). “BYD plug in sales grow globally, but US future remains cloudy”. 《오토블로그닷컴》. 2016년 2월 27일에 확인함.
- ↑ BYD Singapore. “BYD E6 Singapore Brochure” (PDF).
- ↑ “Tear down of 85 KWH Tesla battery pack shows it could actually only be a 81 KWH pack [Updated]”. 2016년 2월 3일.
- ↑ “Electric cars: BYD E6 with range of up to 400 kilometers - 80 KWH battery - pv Europe”. 2017년 3월 24일.
- ↑ “BYD e6 80Wh - Eure Fragen BEANTWORTET! 🚖”. 《유튜브》. 2018년 2월 27일.
- ↑ “BYD Shows Production F3DM PHEV and F6DM in Detroit; Introduces Battery-Electric e6 Crossover”. Green Car Congress. 2009년 1월 13일. 2009년 8월 24일에 확인함.
- ↑ “Static Evaluation BYD e6 Electric Car”. Xincar. 2011년 7월 22일. 2012년 3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9월 13일에 확인함.
- ↑ byd-auto.net 보관됨 2016-02-06 - 웨이백 머신 Website of BYD: 40(min) / 15(min 80%)
- ↑ China Autoweb (2012년 5월 28일). “Initial details on fiery crash involving BYD e6 that killed 3”. Green Car Congress. 2012년 8월 13일에 확인함.
- ↑ “Investigation concludes fire in BYD e6 collision caused by electric arcs from short circuit igniting interior materials and part of power battery”. Green Car Congress. 2012년 8월 10일. 2012년 8월 13일에 확인함.
- ↑ byd-auto.net 보관됨 2016-03-19 - 웨이백 머신 Highlights of BYD e-taxi in Public Transportation: Energy saving& Low cost; retrieved, 17 February 2016.
- ↑ “BYD to sell electric cars with zero down payment”. ChinaDaily.com. 2012년 11월 5일. 2012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From Free Phones to Free Taxis, BYD and China Development Bank Offer Break-Through Financing on Electrified Public Transportation”. Businesswire.com. 2012년 11월 8일. 2012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BYD To Offer Electric Vehicles With Zero Down Payment”. electriccarsreport.com. 2012년 11월 8일. 2012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BYD launches "Zero vehicle purchase price, Zero costs, Zero emissions" city electric public transport solution”. bydcompany.wordpress.com. 2012년 11월 6일. 2012년 11월 13일에 확인함.
- ↑ Le taxi électrique BYD fait son arrivée à Bruxelles
- ↑ “Electric taxis return to Montreal streets”. 2019년 12월 5일.
- ↑ 가 나 “China's BYD seems to be Losing Momentum on Electric Cars”. TreeHugger. 2010년 3월 18일. 2010년 3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4월 4일에 확인함.
- ↑ “BYD e6 Achieves Fleet Distance Milestone – Over 600,000 Kilometers Logged”. BYD Auto Press. 2010년 9월 27일. 2011년 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19일에 확인함.
- ↑ “BYD reports plug-in fleet test results; rapid charging not diminishing capacity”. Green Car Congress. 2011년 4월 29일. 2011년 5월 8일에 확인함.
- ↑ 가 나 Loveday, Eric. “Europe's first BYD e6 shows up in the Netherlands”. 《AutoblogGreen》. Autoblog Green. 2011년 6월 3일에 확인함.
- ↑ Milikin, Mike. “BYD delivers 500 battery-electric e6 police cars to Shenzhen Public Security Bureau”. Green Car Congress. 2013년 1월 14일에 확인함.
- ↑ “BYD Reports 500 More EVs for Shenzhen”. fleetsandfuels.com.
- ↑ “BYD Delivered Only 33 Units of e6, 417 F3DM in 2010”. ChinaAutoWeb. 2011년 2월 23일. 2014년 9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Mat Gasnier (2013년 1월 14일). “China Full Year 2012: Ford Focus triumphs”. Best Selling Car Blog. 2013년 1월 22일에 확인함.
- ↑ Mat Gasnier (2014년 1월 14일). “China December 2013: Focus on the all-new models”. Best Selling Cars Blog. 2014년 1월 16일에 확인함.
- ↑ Staff (2015년 1월 14일). “2014 EV Sales Ranking”. China Auto Web. 2015년 1월 15일에 확인함. During 2014 BYD e6 sales totaled 3,560 units in China..
- ↑ “Sales Ranking of China-made Pure-electric Cars in 2015”. 《China Auto Web》. 2016년 1월 14일. 2016년 1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월 18일에 확인함. A total of 7,029 BYD e6s were sold in China in 2015.
- ↑ “56% Reduction Anticipated In Hong Kong Vehicle Emissions Through Electrified Public Transportation”. HKM Holding Ltd. 2013년 4월 2일.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22일에 확인함.
- ↑ “Asia Briefing: Hong Kong cabbies go electric in effort to cut emissions”. Irishtimes. 2013년 3월 25일. 2013년 4월 22일에 확인함.
- ↑ “BYD charges ahead with Hong Kong e-taxi plans”. SCMP-South China Morning Post. 2013년 3월 22일. 2013년 4월 22일에 확인함.
- ↑ “45 BYD e6 Heading For Hong Kong Taxi Fleet”. HYBRIDCars. 2013년 3월 22일. 2013년 4월 22일에 확인함.
- ↑ “Long charging times put brakes on Hong Kong's electric taxis” (영어). 《South China Morning Post》. 2018년 2월 25일에 확인함.
- ↑ “Electric taxi project in Hong Kong goes belly up: China's BYD brands 2-year campaign a 'failure'” (영어). 《South China Morning Post》. 2018년 2월 25일에 확인함.
- ↑ “比亞迪香港充電站服務全停 林卓廷:BYD 無理會車主實際需要 比亞迪香港充電站服務全停. 林卓廷:BYD 無理會車主實際需要”. 《ezone》. 2019년 7월 15일. 2021년 1월 10일에 확인함.
- ↑ “BYD Supplying 46 EV Taxis To Bogota, Colombia”. CleanTechnica. 2012년 12월 14일. 2013년 4월 22일에 확인함.
- ↑ “Bogotá Launches All-electric Taxi Fleet Using Long-Range BYD e6 Cross-over Sedan”. YAHOO FINANCE. 2012년 12월 11일. 2013년 4월 22일에 확인함.
- ↑ 가 나 “Bogota Taxi Fleet to Get 46 BYD E6 EVs in 2013”. autoevolution. 2012년 12월 14일. 2013년 4월 22일에 확인함.
- ↑ Kane, Mark (2013년 9월 13일). “Thanks to BYD e6, Colombia Now Has the Largest Electric Taxi Fleet in South America”. InsideEVs.com. 2014년 5월 24일에 확인함.
- ↑ Garcia, Daniela (2013년 1월 21일). “MINAE anuncia convenio para insertar taxis "verdes" en el país” [Ministry of Environment and Energy announces agreement to introduce "green" taxis] (스페인어). Costa Rica Hoy. 2013년 12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11일에 확인함.
- ↑ Cori Motors. “BYD ECO - Ficha técnica” [BYD ECO - Technical Specs Sheet] (PDF) (스페인어). BYD Auto Costa Rica. 2013년 5월 11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Ardani, Febri (2019년 4월 22일). “Tesla Model X dan BYD e6 Resmi Jadi Taksi Listrik Blue Bird” (인도네시아어). 《CNN Indonesia》. 2024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Nuar, Gemilang Isromi (2023년 7월 25일). “Bluebird Jual 25 Mobil Listrik BYD E6” (인도네시아어). 《Oto Driver》. 2024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 “Mobil Listrik Bekas Armada Blue Bird Bakal Dijual, Berapa Harganya?” (인도네시아어). 《kumparan》. 2024년 5월 7일. 2024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 Satria, Gilang (2024년 10월 15일). “Mobil Listrik BYD e6 Bekas Taksi Blue Bird Dijual, Cek Harganya” (인도네시아어). 《Kompas》. 2024년 10월 23일에 확인함.
- ↑ “Rotterdam chooses BYD e6 for its new electric taxi fleet”. BYD Auto. 2013년 12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14일에 확인함.
- ↑ “Electrification is the next big thing in the taxi industry”. ComfortDelGro. 2024년 3월 1일에 확인함.
- ↑ Tien Yu-pin and Sofia Wu (2013년 10월 9일). “Electric car from China's BYD to debut in Taiwan early next year”. Focus Taiwan. 2013년 10월 20일에 확인함.
- ↑ “greentomatocars and BYD to debut 50 pure electric vehicles in 2013”. 《Green Tomato Cars》. Greentomatocars. 2014년 1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5월 24일에 확인함.
- ↑ Ingram, Antony (2012년 10월 24일). “BYD e6 Electric Crossover Will Be London Taxi, Still MIA In US”. Green Car Reports. 2014년 5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Nick Gibbs (2014년 2월 17일). “Britain's largest electric taxi deal collapses”. 《The Telegraph》. 2014년 5월 24일에 확인함.
- ↑ Henry Foy (2014년 2월 10일). “Buffett-backed BYD behind first all-electric London cab fleet”. 《파이낸셜 타임스》. 2014년 5월 24일에 확인함.
- ↑ Korzeniewski, Jeremy (2009년 8월 23일). “REPORT: BYD pushes American EV launch ahead to 2010”. Autoblog Green. 2009년 10월 26일에 확인함.
- ↑ Shirouzu, Norihiko (2009년 12월 10일). “Hollywood Beckons China's BYD: Auto Maker Expects to Make Los Angeles Its First US Market for Planned Electric-Car Sales; a Focus on Fleet Customers”. 《월스트리트 저널, Asia》. 2009년 12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Liza Lin (2010년 10월 26일). “Buffett-Backed BYD Tumbles After Profit Plunges 99%”. 블룸버그 비즈니스위크. 2010년 10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1월 21일에 확인함.
- ↑ “BYD Looks to Charge Its US Business”. 《월스트리트 저널》. 2010년 12월 12일. 2010년 12월 18일에 확인함.
- ↑ Forney, Matthew; Kroeber, Arthur (2009년 12월 10일). “A Look Inside Buffett's Battery Bet”. 《The Wall Street Journal》. 2010년 3월 19일에 확인함.
- ↑ Los Angeles Business Journal (2010년 9월 6일). “Sticker Shock?”. Labusinessjournal.com. 2010년 1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 “Feb. 19th, 11 BYD e6s arrived in US”. BYD.com. 2013년 4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4월 22일에 확인함.
- ↑ Groom, Nichola (2015년 3월 13일). “Exclusive: Uber in deal with China's BYD to test electric cars”. 《로이터》. 2016년 1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2월 27일에 확인함.
- ↑ El Observador staff (2016년 1월 13일). “Así es la nueva estación de servicio para autos eléctricos de UTE”. 《El Observador newspaper》. 2016년 1월 15일에 확인함.
- ↑ Maikaew, Piyachart (2019년 3월 8일). “Rizen undeterred by light EV deliveries”. 《Bangkok Post》.
- ↑ “All about BYD”. 《www.marklines.com》. 2025년 3월 3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그림 자료 | |
|---|---|
| 영상 자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