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이디톨 2-탈수소효소
보이기
L-이디톨 2-탈수소효소(영어: L-iditol 2-dehydrogenase) (EC 1.1.1.14)는 다음과 같은 화학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다.
- L-이디톨 + NAD+ ⇄ L-소르보스 + NADH + H+
L-이디톨 2-탈수소효소의 2가지 기질은 L-이디톨, NAD+이며, 3가지 생성물은 L-소르보스, NADH, H+이다.
L-이디톨 2-탈수소효소는 산화환원효소 부류에 속하며, 특히 공여체가 CH-OH기이고 수용체가 NAD+ 또는 NADP+인 효소에 속한다. L-이디톨 2-탈수소효소는 과당 대사 및 만노스 대사에 참여한다.
명명법
[편집]L-이디톨 2-탈수소효소의 계통명은 L-이디톨:NAD+ 2-산화환원효소(영어: L-iditol:NAD+ 2-oxidoreductase)이다.
다음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이름들이다.
- 폴리올 탈수소효소(영어: polyol dehydrogenase)
- 소르비톨 탈수소효소(영어: sorbitol dehydrogenase)
- L-이디톨:NAD+ 5-산화환원효소(영어: L-iditol:NAD+ 5-oxidoreductase)
- L-이디톨 (소르비톨) 탈수소효소(영어: L-iditol (sorbitol) dehydrogenase)
- 글루시톨 탈수소효소(영어: glucitol dehydrogenase)
- L-이디톨:NAD+ 산화환원효소(영어: L-iditol:NAD+ oxidoreductase)
- NAD+-의존성 소르비톨 탈수소효소(영어: NAD+-dependent sorbitol dehydrogenase)
- NAD+-소르비톨 탈수소효소(영어: NAD+-sorbitol dehydrogenase)
구조 연구
[편집]2007년을 기준으로 이러한 부류의 효소에 대해 PDB 접근 코드 1K2W, 1PL6, 1PL7, 1PL8의 4가지 구조가 해결되었다.
같이 보기
[편집]참고 문헌
[편집]- Bailey JP, Renz C, McGuinness ET (1981). “Sorbitol dehydrogenase from horse liver: pur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comparative properties”. 《Comp. Biochem. Physiol.》 69B: 909–914.
- Burnell JN, Holmes RS (1983).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sorbitol dehydrogenase from mouse liver”. 《Int. J. Biochem.》 15 (4): 507–11. doi:10.1016/0020-711X(83)90124-6. PMID 6852349.
- Leissing N, McGuinness ET (1978). “Rapid affinity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rat liver sorbitol dehydrogenase”. 《Biochim. Biophys. Acta》 524 (2): 254–61. doi:10.1016/0005-2744(78)90162-6. PMID 667078.
- Negm FB, Loescher WH (1979).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orbitol Dehydrogenase from Apple Callus Tissue”. 《Plant Physiol.》 64 (1): 69–73. doi:10.1104/pp.64.1.69. PMC 543026. PMID 16660917.
- O'Brien MM, Schofield PJ, Edwards MR (1983). “Polyol-pathway enzymes of human brain. Partial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sorbitol dehydrogenase”. 《Biochem. J.》 211 (1): 81–90. doi:10.1042/bj2110081. PMC 1154331. PMID 687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