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자일룰로스 환원효소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영어: L-xylulose reductase) (EC 1.1.1.10)는 사람에서 17번 염색체에 위치한 DCXR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효소이다.
구조
[편집]DCXR 유전자는 크기가 대략 34 kDa이고, 22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막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단백질은 콩팥에서 고도로 발현되며, 세포질 막에 국한된다.[1]
기능
[편집]L-자일룰로스 환원효소는 L-자일룰로스 뿐만 아니라 다수의 오탄당, 사탄당, 삼탄당, α-다이카보닐 화합물의 환원을 촉매한다.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는 탄수화물 대사, 포도당 대사, 우론산 회로에 관여하며, 자일리톨을 생성함으로써 콩팥의 근위 세뇨관에서 수분 흡수 및 세포 삼투압 유지에 역할을 할 수 있다.[2]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EC 1.1.1.10)는 다음과 같은 화학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다.
- 자일리톨 + NADP+ L-자일룰로스 + NADPH + H+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의 2가지 기질은 자일리톨, NADP+이며, 3가지 생성물은 L-자일룰로스, NADPH, H+이다.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는 산화환원효소 부류에 속하며, 특히 공여체가 CH-OH기이며 수용체가 NAD+ 또는 NADP+인 효소에 속한다.
명명법
[편집]L-자일룰로스 환원효소의 계통명은 자일리톨:NADP 4-산화환원효소 (L-자일룰로스 형성)(영어: xylitol:NADP+ 4-oxidoreductase (L-xylulose-forming))이다.
다음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이름들이다.
- 자일리톨 탈수소효소(영어: xylitol dehydrogenase)
임상적 중요성
[편집]L-자일룰로스 환원효소의 결핍은 오탄당뇨증과 관련이 있다.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의 활성 부족은 L-자일로스의 과도한 소변 배설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성 대사 이상을 일으킨다.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의 과발현 및 이소성 발현은 전립선암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3]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Nakagawa J, Ishikura S, Asami J, Isaji T, Usami N, Hara A, Sakurai T, Tsuritani K, Oda K, Takahashi M, Yoshimoto M, Otsuka N, Kitamura K (2002).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mammalian dicarbonyl/L-xylulose reductase and its localization in kidney”. 《J. Biol. Chem.》 277 (20): 17883–91. doi:10.1074/jbc.M110703200. PMID 11882650.
- ↑ Zhao HT, Endo S, Ishikura S, Chung R, Hogg PJ, Hara A, El-Kabbani O (2009). “Structure/function analysis of a critical disulfide bond in the active site of L-xylulose reductase”. 《Cell. Mol. Life Sci.》 66 (9): 1570–9. doi:10.1007/s00018-009-9065-y. PMID 19337691.
- ↑ Cho-Vega JH, Tsavachidis S, Do KA, Nakagawa J, Medeiros LJ, McDonnell TJ (2007). “Dicarbonyl/L-xylulose reductase: a potential biomarker identified by laser-capture microdissection-micro serial analysis of gene expression of human prostate adenocarcinoma”.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16 (12): 2615–22. doi:10.1158/1055-9965.EPI-07-0684. PMID 18086765.
외부 링크
[편집]- 의학주제표목 (MeSH)의 L-xylulose+reduct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