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한덕수
| |
![]() 한덕수(2024년) | |
대한민국의 제48대 국무총리 | |
---|---|
임기 | 2022년 5월 21일 ~ 2024년 12월 27일 2025년 3월 24일~ |
대통령 | 윤석열 한덕수 (권한대행) |
전임 | 김부겸(제47대) |
임기 | 2007년 4월 3일~2008년 2월 29일 |
대통령 | 노무현 |
전임: 한명숙(제37대) 후임: 한승수(제39대)
| |
대한민국의 대통령 권한대행
| |
임기 | 2024년 12월 14일~2024년 12월 27일 |
전임: 황교안 후임: 최상목
| |
임기 | 2025년 3월 24일~ |
전임: 최상목
| |
신상정보 | |
로마자 표기 | Han Duck-soo |
출생일 | 1949년 6월 18일 | (75세)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북도 전주부 |
국적 | 대한민국 |
본관 | 청주 |
학력 |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박사 |
경력 | |
정당 | 무소속 |
부모 | 한병호(부), 최다복(모) |
배우자 | 최아영 |
종교 | 개신교 |
![]() | |
웹사이트 | 페이스북 |
한덕수 | |
---|---|
한글 표기: | 한덕수 |
한자 표기: | 韓悳洙 |
개정 로마자 표기: | Han Deoksu |
매큔-라이샤워 표기: | Han Tŏksu |
예일 표기: | Han Tekswu |
공식 로마자 표기: | Han Duck-soo |
한덕수(韓悳洙, 1949년 6월 18일~)는 대한민국의 공무원으로, 대한민국 제38·48대 국무총리이다. 본관은 청주(淸州)이며 전북 전주 출신이다.
생애
[편집]1970년 서울대학교 상대 경제학과 재학 중 제8회 행정고등고시에 합격하고, 1971년 졸업 시 대법원장상을 수상했다. 1970년 12월 8일 관세청 가격조사담당관실 사무관이 되고 이후 경제기획원, 상공부, 상공자원부, 통상산업부에서 근무했었다. 1996년 12월부터 1997년 3월 제11대 특허청장, 1997년 3월 제4대 통상산업부 차관을 거쳐 1998년 3월부터 2001년 2월까지 제1대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 본부장을 역임했다. 2009년 2월부터 12년 2월 주미 대사, 2007년 4월부터 2008년 2월에는 제38대 국무총리를 역임했다. 2022년 5월 윤석열 정부에서 제48대 국무총리로 기용되었다. 2024년 12월 14일에 국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가결함에 따라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았으나, 2024년 12월 27일부로 국회에서 탄핵안이 가결되면서 현재 직무가 정지되었다.[1] 이후 2025년 3월 23일, 대한민국 헌법재판소가 탄핵을 최종 기각함에 따라 직무에 복귀했다.[2]
4월 14일, 국민의힘 일각에서 그에 대한 대선 출마설이 거론되자 그는 '국무위원들과 함께 저에게 부여된 마지막 소명을 다하겠다'라고 말하였다.[3][4]
논란
[편집]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지명
[편집]2025년 4월 8일 그가 그간 임명을 보류해 왔던 마은혁 헌법재판관(국회 추천), 대법원장 제청과 국회 동의 과정을 거친 마용주 대법관을 임명했다. 또, 대통령 권한대행인 그는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을 4월 18일 퇴임하는 문형배, 이미선 헌법재판관 후임으로 이완규 법제처장과 함상훈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를 지명했다.[5][6]
그러나 이는 위헌적 행위로 헌법학자들이 대통령 권한대행인 그가 헌법재판관을 지명한 것에 대해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후보자 지명은 권한대행이 할 수 없는 월권적·위헌적 행위'라고 비판한 바있다.[7] 또한, 지명된 이완규는 12.3 내란 직후 '안가회동'[8]에 참석하는 등 내란에 아주 직접적 공범일 가능성이 아주 큰 인물이다.[9]
박근혜의 탄핵, 파면 기간 동안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았던 황교안 전 국무총리도 박 전 대통령 파면이 결정된 후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을 임명하지 않고 차기 대통령에게 임명권을 넘겼다.[10]
4월 15일 그의 이완규, 함상훈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후보자 지명의 철회를 촉구하는 결의안이 더불어민주당의 주도로 국회 본회의(168명 전원 찬성)를 통과했다.[11] 국민의힘은 이에 반발하며 본회의장을 퇴장했다. 운영위는 이날 오전 전체회의를 열어 ‘헌법재판소 재판관 이완규, 함상훈 지명 철회 촉구 결의안’을 더불어민주당 등의 주도로 처리하였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이날 운영위에 참석하지 않았다.[12] 같은 날, 헌법재판소가 오전 10시에 재판관 평의를 열고 그의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후보자 지명이 위헌인지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13]
약력
[편집]학력
[편집]- 1961년 서울재동국민학교 졸업
- 1964년 경기중학교 졸업
- 1967년 경기고등학교 졸업
- 1971년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 학사
- 1979년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석사
- 1984년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박사
경력
[편집]- 전라북도 전주시에서 한병호와 전주최씨 최다복의 6남 3녀 중 다섯째 아들로 출생
- 1970년: 제8회 행정고등고시
- 1970년 12월 8일: 관세청 가격조사담당관실 사무관
- 1971년 5월 27일: 논산 육군훈련소 제29연대에 입대[14]
- 1971년 5월 27일~1974년 3월 28일: 현역병 복무, 육군 병장 전역
- 1974년 4월 ~ 1974년 6월 : 관세청 감시국 심리과 사무관
- 1974년 6월 경제기획원 예산국 예산총괄과 사무관
-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관 비서관
- 경제기획원 경제협력2과 사무관
- 1976년 5월 11일 ~ 5월 23일: 제1차 구미경협사절단 단원
- 1977년 3월 11일 ~ 3월 31일: 제9차 IECOK 회의 대표단 단원
- 1979년 7월: 경제기획원 경제협력국 경협총괄과 사무관
- 1980년 9월: 경제기획원 정책조정국 조정3과장, 행정서기관
- 1981년 7월: 경제기획원 정책조정국 조정2과장
- 1981년 11월: 한국은행 파견
- 1982년 2월: 상공부 본부 근무
- 1982년 2월: 상공부 통상진흥국 미주통상과장
- 1984년 7월: 상공부 통상진흥국 아주통상과장
- 1984년 12월: 상공부 산업정책관실 산업정책담당관
- 1985년 7월: 상공부 산업정책국 산업정책과장
- 1987년 2월: 상공부 기계공업국 수송기계과장
- 1989년 1월: 상공부 중소기업국 국장, 행정부이사관
- 1990년 4월: 상공부 산업정책국장, 이사관
- 1993년 1월: 상공부 전자정보공업국장
- 1993년 4월~1994년 5월: 대통령비서실 경제비서국 통상산업비서관
- 1994년 5월~1994년 12월: 상공자원부 기획관리실장, 관리관
- 1994년 12월~1996년 12월: 통상산업부 통상무역실장
- 1996년 12월~1997년 3월: 제11대 특허청장
- 1997년 3월~1998년 3월: 제4대 통상산업부 차관
- 1998년 3월~2001년 2월: 제1대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 본부장
- 1999년 12월: 제3차 세계무역기구(WTO) 각료회의 대한민국 대표단 수석대표
- 2001년 2월~2001년 11월: OECD 대표부 대사
- 2001년 11월~2002년 1월: 대통령비서실 정책기획수석비서관
- 2002년 1월~2002년 7월: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 비서관
- 2002년 11월~2003년7월: 김앤장 법률사무소 고문
- 2003년 7월~2004년 2월: 제15대 산업연구원장
- 2004년 2월~2005년 3월: 제8대 국무총리실 국무조정실장(장관)
- 2005년 3월~2006년 7월: 제5대 경제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
- 2006년 3월~2006년 4월: 국무총리 직무대리
- 2006년 8월~2007년 3월: 한미FTA체결지원위원회 위원장
- 2006년 8월~2008년 2월: FTA국내대책위원회 위원장
- 2007년 4월~2008년 2월: 제38대 대한민국 국무총리
- 2009년 2월~2012년 2월: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
- 2012년 2월~2015년 2월: 제28대 한국무역협회 회장
- 2012년 5월~2012년 12월: 녹색기후기금 민간유치위원회 위원장
- 2015년 6월: 청소년적십자 사업후원회 고문
- 2015년 11월~2017년 12월: 제3대 기후변화센터 이사장
- 2016년 5월~2016년 12월: 청주세계무예마스터십 조직위원회 공동위원장
- 2016년 10월~2018년 12월: 지속가능전력정책연합 의장
- 2017년 6월: 대법관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
- 2017년 12월~2022년 3월: 김·장 법률사무소 고문
- 2018년3월~2020년 2월: 사단법인 서울국제포럼 영산외교인상 위원장
- 2020년 3월~2022년 4월: 사단법인 서울국제포럼 이사
- 2021년 3월~2022년 3월: 에쓰오일 사외이사
- 2022년 5월 21일~: 제48대 대한민국 국무총리
- 2022년 9월~: 국가데이터정책위원회 위원장
- 국가지식재산위원회 공동위원장
-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위원회 공동위원장
- 기후변화센터 고문
- 2024년 12월 14일~2024년 12월 27일: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
- 2025년 3월 24일~: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
수상 경력
[편집]수훈
[편집]홍조근정훈장(1992년 12월 31일), 우수 공무원 표창
황조근정훈장(2003년 2월 3일)
칠레 대십자 공로장(2007년 6월 29일)
청조근정훈장(2012년 6월 30일)
국민훈장 무궁화장(2013년 2월 13일), 경제위기 극복 유공
가족
[편집]- 할아버지: 한규철(韓圭哲, 1867년 ~ 1922년 8월 28일), 대한제국 때 중추원 의관 역임
- 할머니(전처): 황주 변씨(1867년 ~ 1886년 12월 26일)
- 할머니(후처): 경주 이씨(1870년 ~ 1930년 6월 14일)
- 큰아버지: 한태호(韓台鎬), 한기호(韓璣鎬)
- 아버지: 한병호(韓炳鎬, 1907년 ~ 1982년 4월 28일)
- 어머니: 전주 최씨 최다복(1913년 12월 27일 ~ 1994년 8월 14일)
- 형제자매: 형 4명, 남동생 1명, 자매 3명
- 배우자: 최아영(1948년 ~ , 화가), 최현식의 딸
- 자녀: 양자 1명
- 어머니: 전주 최씨 최다복(1913년 12월 27일 ~ 1994년 8월 14일)
각주
[편집]- ↑ “한덕수 탄핵안 가결, 찬성 192표… 사상 초유 ‘대행의 대행’ 체제로”. 2024년 12월 27일. 2024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 “[속보] 헌재,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 기각…87일 만에 직무복귀”. 2025년 3월 24일에 확인함.
- ↑ 김무연 (2025년 4월 14일). “대선 불출마? 한덕수 “국무위원과 함께 부여된 마지막 소명 다할 것””. 2025년 4월 14일에 확인함.
- ↑ https://www.yna.co.kr/view/AKR20250414075400001.
|제목=
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 머니투데이 (2025년 4월 8일). “한덕수 헌법재판관 지명에..."헌법쿠데타" "게다가 尹측근" 野 반발”. 2025년 4월 8일에 확인함.
- ↑ 조선일보 (2025년 4월 8일). “이재명 “韓, 헌법재판관 지명 권한 없어... 대통령 된 걸로 착각””. 2025년 4월 8일에 확인함.
- ↑ 뉴시스 (2025년 4월 8일). “헌법학자들 "한덕수 헌법재판관 지명 월권·위헌…즉시 철회해야"”. 2025년 4월 8일에 확인함.
- ↑ 안가 회동은 2024년 12월 4일 밤, 서울 삼청동에 위치한 대통령 전용 안전가옥(안가)에서 주요 정부 인사들이 비밀리에 모임을 가진 사건이다. 이 모임에는 박성재 법무부 장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이완규 법제처장, 김주현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 등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韓대행, 헌법재판관 후보자에 ‘尹 안가회동’ 이완규 지명 논란”. 2025년 4월 8일. 2025년 4월 8일에 확인함.
- ↑ 김남일 (2025년 4월 8일). “한덕수, 황교안 대행보다 더 바닥…“새 대통령 재판관 인사권 침해””. 2025년 4월 8일에 확인함.
- ↑ https://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7395.
|제목=
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 기민도 (2025년 4월 15일). “‘이완규·함상훈 지명철회 촉구 결의안’ 국회 운영위 통과”. 2025년 4월 15일에 확인함.
- ↑ https://www.yna.co.kr/view/AKR20250415050500004?input=1195m.
|제목=
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 ↑ 한덕수 총리 입대 52년 만에 육군(논산)훈련소 방문…"병영시설 지속 개선" 이투데이 2023-12-07
외부 링크
[편집]![]() |
대한민국 대통령 | ![]() |
---|---|---|
전임 윤석열 |
2024년 12월 14일~2024년 12월 27일 2025년 3월 24일~ (권한대행) |
후임 최상목(권한대행) |
전임 정해주 |
제11대 특허청장 1996년 12월 24일~1997년 3월 6일 |
후임 최홍건 |
전임 강만수 |
제5대 통상산업부 차관 1997년 3월 7일~1998년 3월 8일 |
후임 선준영(외교통상부 차관) 최홍건(산업자원부 차관) |
초대 통상교섭본부장 1998년 3월 3일~2001년 2월 21일 |
후임 황두연 |
전임 양수길 |
제3대 주 OECD 대표부 대사 2001년 3월 5일~2001년 12월 26일 |
후임 이경태 |
전임 이영탁 |
제8대 국무조정실장 2004년 2월 11일~2005년 3월 14일 |
후임 조영택 |
전임 이헌재 |
제13대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 2005년 3월 14일~2006년 7월 18일 |
후임 권오규 |
전임 이해찬 |
국무총리 권한대행 2006년 3월 16일~2006년 4월 19일 |
후임 한명숙 |
전임 한명숙 (권한대행)권오규 |
제38대 국무총리 2007년 4월 3일~2008년 2월 28일 |
후임 한승수 |
전임 이태식 |
제22대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대사 2009년 2월 16일~2012년 2월 20일 |
후임 최영진 |
전임 사공일 |
제28대 한국무역협회 회장 2012년 2월~2015년 2월 |
후임 김인호 |
전임 김부겸 (권한대행)추경호 |
제48대 국무총리 2022년 5월 21일~2024년 12월 27일 2025년 3월 24일~ |
후임 (직무대리)최상목 |
전임 윤석열 |
한반도의 국가원수 2024년 12월 14일~2024년 12월 27일 2025년 3월 24일~ |
후임 (직무대리)최상목 |
전임 윤석열 |
한반도의 정부수반 2024년 12월 14일~2024년 12월 27일 2025년 3월 24일~ |
후임 (직무대리)최상목 |
- 1949년 출생
- 살아있는 사람
- 20세기 대한민국 사람
- 21세기 대한민국 사람
- 대한민국의 별정직공무원
-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 대한민국의 부총리
- 대한민국의 대통령 권한대행
- 대한민국의 특허청장
- 대한민국의 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
- 대한민국의 국무조정실장
- 대한민국의 통상산업부 차관
- 대한민국의 재정경제부 장관
- 통상교섭본부장
- 경제협력개발기구 주재 대한민국 대사
- 미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
- 김영삼 정부
- 김대중 정부
- 노무현 정부의 국무위원
- 이명박 정부
- 5급 국가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출신
-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훈자
- 청조근정훈장 수훈자
- 황조근정훈장 수훈자
- 홍조근정훈장 수훈자
- 전주시 출신
- 청주 한씨
- 경기고등학교 동문
- 서울재동초등학교 동문
- 전주북중학교 동문
-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동문
- 하버드 대학교 동문
- 미국에 거주한 대한민국인
- 현재 국가 지도자
- 탄핵 절차가 진행된 공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