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트리에스테

트리에스테
Trieste
Trst (슬로베니아어)
Triest (독일어)
시기 휘장
트리에스테은(는) 이탈리아 안에 위치해 있다
트리에스테
트리에스테
북위 45° 38′ 0″ 동경 13° 48′ 0″ / 북위 45.63333° 동경 13.80000°  / 45.63333; 13.80000
행정
국가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지역트리에스테도
행정 구역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
지리
면적85.11 km2
해발2 m
시간대CET (UTC+1)
CEST (UTC+2)
인문
인구198,668[1](2025년)
인구 밀도2,300명/km2
상징
수호성인트리에스테의 유스토(축일 11월 3일)
지역 부호
우편번호34100
지역번호040
웹사이트트리에스테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 공식 웹사이트

트리에스테(이탈리아어: Trieste, 라틴어: Tergeste, 독일어: Triest, 슬로베니아어: Trst, 크로아티아어: Trst)는 이탈리아 북동부의 항구 도시이다.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 자치주트리에스테 지역분권기구의 최대 도시 및 행정 중심지이다. 2025년 기준, 인구는 198,668명이다.[1]

트리에스테는 아드리아해슬로베니아 사이에 있는 가느다란 이탈리아 영토에 자리 잡은 트리에스테만의 시작 점에 위치했으며, 슬로베니아는 무척 가까워, 동쪽으로 약 8 km (5 mi) 도시에서는 동남쪽 10–15 km (6–9 mi) 지점에 있으며, 크로아티아도 도시에서 남쪽으로 약 30 km (19 mi) 거리에 있다.

도시는 기다란 해안선을 끼고 있고 초원, 숲, 카르스트 지형으로 둘러 싸여 있다.

트리에스테는 트리에스트라는 이름으로 1382년부터 1918년까지 합스부르크 왕조에 속해 있었다. 19세기, 합스부르크는 유럽의 유럽의 강대국 중 하나였고 트리에스테는 합스부르크에 있어 최대 핵심 항구였다. 지중해 지역의 번영하는 무역 중심지로서 트리에스테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네 번째로 큰 도시로 성장했다 (, 부다페스트, 프라하 다음). 20세기로 넘어가던 시기, 문학과 음악의 중심지로 부상하였다. 트리에스테는 1930년대에 경제적 부흥기를 겪었고,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동구권서방권 사이 주요 분쟁지 중 하나였다.

심수항으로 트리에스테는 북부 이탈리아, 독일, 오스트리아, 중부 유럽에 있어 해양 관문이다. 수에즈 운하터키와 연결되고 있어 해양 실크로드의 종착지로 여겨진다. 1960년대 이래로, 트리에스테는 다수의 국제 단체 및 기관들이 위치해 있어 유럽 내 주요 연구지로서 부상했다. 이곳은 중부 유럽지중해가 만나는, 라틴, 슬라브, 독일어 문화권이 교차하는 장소에 위치해 있고, 다양한 민족 집단들과 종교 공동체들의 터전이다.

학술 분야에 있어서, 트리에스테는 유럽 내에서 인구당 연구자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이다.[2] Città della Barcolana ("바르콜라나의 도시), Città della bora (보라의 도시"), Città del vento ("바람의 도시"), "바다 옆 비엔나", "커피의 도시" 등은 트리에스테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는 별칭들이다.

어원

[편집]

가장 가능성 높은 기원은 전형적인 베네티어의 접미사 -est-가 있는 켈트어 Tergeste이며 시장을 뜻하는 가상의 일리리아어 단어 *terg- (어원적으로 시장을 뜻하는 알바니아어 treg[3] 와 재현한 언어 슬라브조어 *tъrgъ등과에서 어원이 같음[3][4][5]) 비롯했을 것으로 보인다. 로마 시대의 저술가들은 Tergeste를 '테르게스툼'(Tergestum)으로 표기했다 (스트라본에 따르면, 오피둠 테르게스툼의 명칭은 로마 군대가 이 지역 부족들과 치러야만 했던 세 번의 전투("TER GESTUM [BELLUM]")에서 비롯한 것이라고 한다.)

역사

[편집]

고대사

[편집]
기원전 33-32년에 건설된 로마 시대의 개선문 아르코 디 리카르도

기원전 2천년대 이래로, 트리에스테 지역에는 사람들이 거주해왔다. 본래 일리리아인들의 취락이었던 이곳에 베네티족이 기원전 10-9세기에 진입하였고 '테르게스테'(Tergeste)라는 도시 이름을 부여한 것으로 보이는데, '테르그'(terg*)가 베네티어로 시장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예시로 오데르초의 고대 이름은 오피테르기움(Opitergium)이었다). 이후에, 테르게스테는 동알프스의 부족 중 하나이던 카르니족이 차지하게 되었고, 제2차 이스트리아 전쟁 기간인 기원전 177년에 로마 공화정의 일부가 되었다.[6]

기원전 52년 내륙 지역의 야만족들의 침입을 받은 이후,[7] 기원전 46년까지,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의해 로마의 식민시 지위를 부여받았는데, 카이사르는 갈리아 전쟁 시기의 사건들을 기록한 '갈리아 전기'에 이곳의 이름을 '테르게스테'라 기록하였다 (기원전 51년).[8]

제정 기간 로마 이탈리아의 경계는 티마보강에서 포르미오네강 (오늘날 리자나강)으로 옮겨졌다. 로마령 테르게스테는 이 지역 주요 로마 도시였던 아퀼레이아에서 이스트리아로 향하는 위치에 있어 항구로 번영하였으며, 이때의 흔적을 아직까지 찾아볼 수 있다. 아우구스투스 황제는 기원전 33–32년에 도시 주변으로 성벽을 쌓았고, 트라야누스는 2세기에 극장을 세웠다. 같은 시기에, 이곳의 시민들은 푸피니아 (Pupinia) 트리부스를 부여받았다. 기원전 27년, 트리에스테는 아우구스투스의 이탈리아 행정 구역 11개 중 10번째 행정 구역 (Regio X)으로 통합되었다.[9]

초기 기독교 시대 때 트리에스테는 번영을 이어나갔다. 서기 138년과 161년 사이, 구역 확장이 이뤄졌고 인접한 카르니족 및 카탈리족 등은 테르게스테의 주요 인물이자 재무관 (quaestor urbanus)이던 파비우스 세베루스의 청원으로 '로마 원로원과 안토니누스 피우스 황제로부터 로마 시민권을 부여받았다.[10]

로마 제국 당시에 이미 바르콜라 지역에는 발리쿨라 (Vallicula , 작은 협곡)라는 어촌 마을이 존재했다. 건강 시설, 교각, 거대한 정원 등을 포함하여 화려하게 장식된 로마 시대의 빌라 잔해는 바르콜라가 바다와 바로 접해 있고 보라로부터 보호를 받고 있는 적절한 미기후에 있었기에 로마인들 사이에서 휴양을 위한 장소로 이미 이용되고 있었음을 암시한다. 당시에, 대 플리니우스는 비탈에서 경작하던 풀치노의 포도밭 (Vinum Pucinum, 아마 오늘날 '프로세코')을 언급하기도 했다.[11]

중세 시대

[편집]

788년, 트리에스테는 샤를마뉴의 지배권에 들어갔고, 샤를마뉴는 트리에스테를 주교후 관할 하에 두었다가 다시 프리울리 공작들의 소유가 되었다.

13-14세기 기간, 트리에스테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해상 무역 경쟁자가 되었으며, 1283–87년 일시적으로 베네치아에 점령되었다가, 아퀼레이아 대주교령의 보호를 받게 되었다. 베네치아에 대한 적대적 행위를 벌이자, 베네치아 측은 1368년 7월경 트리에스테에 전쟁을 선포하였고 11월경 도시를 점령하였다. 베네치아는 도시를 유지하고자 방어 시설 재건에 나섰으나, 1372년 철수해야만 했다. 1381년 토리노 화약에 따라, 베네치아는 트리에스테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였고 트리에스테의 지도층 시민들은 오스트리아 공작 합스부르크레오폴트 3세에게 트리에스테를 그의 영지로 합병해달라고 청원했다. 자발적 복종 (dedizione)의 협정은 1382년 9월 30일 그라츠의 한 성에서 체결됐다.[12]

트리에스테는 합스부르크의 치하에서 높은 수준의 자치를 유지했으나, 베네치아와 라구사에 비해서 무역 중심지로서 기반을 서서히 하락 중이었다. 1463년, 다수의 이스트리아 공동체가 베네치아에 트리에스테를 공격해달라고 요청했다. 트리에스테는 과거 트리에스테의 주교였던 교황 비오 2세의 개입으로 완전한 파괴를 당하는 데에서는 면해졌다. 허나, 베네치아는 트리에스테의 영토를 도시 밖으로 3km 지점까지 제한하였다. 베네치아는 다시 한번 1468–1469년에 걸쳐 신성 로마 황제 프리드리히 3세에게 공격을 받았다. 그의 트리에스테 약탈을 '트리에스테의 파괴'로 기억되고 있다.[13] 그러고 나서 그는 도시 성벽을 네 차례 복원하였다.[7] 트리에스테는 1470년 겨우 도시에 10k 거리에 떨어진 프로세코를 불태우고 진격하던 오스만 군대프리울리로 방향을 향하면서 또다른 약탈을 면했다.[14]

17세기 크라인의 역사가 요한 바이카르트 폰 발바소르가 묘사한 당시 트리에스테

근세

[편집]

1508–16년에 걸친 캉브레 동맹 전쟁 전반기 당시 합스부르크의 베네치아 침공이 실패로 끝나자, 베네치아 측은 1508년 트리에스테를 다시 점령하였고, 강화 조건 하에서 도시를 점거하고 있었다.[15] 그러나, 합스부르크 제국은 분쟁이 재개된 1년이 얼마 안 되어 트리에스테를 회복하였다. 18세기 트리에스테는 오스트리아 측의 중요 항구이자 무역 중심지가 되었다.[16] 1719년, 신성 로마 황제 카를 6세 시기 합스부르크 내에서 자유 항구 지위를 부여받았고 1791년 7월 1일까지 이 지위를 유지했다. 그의 후임자인 마리아 테레지아는 트리에스테의 최전성기의 시작을 알렸다. 세르비아인들은 18, 19세기에 트리에스테에 대거 정착하였고, 이들은 얼마 안 되어 도시 내 영향력과 부를 갖춘 공동체를 갖추었으며, 다수의 세르비아 무역상들은 트리에스테 곳곳에 여러 핵심 사업체를 소유하고 궁전을 건설하기도 했다.[17]

19세기

[편집]
1850년경 카르초티 궁전

이후 수 십년 동안, 트리에스테는 1797년, 1805년, 1809년 등 나폴레옹 전쟁 기간 몇 차례 프랑스 제국 군대에 일시적으로 점령되었다. 1809년부터 1813년까지, 트리에스테는 일리리아 프로뱅스로 합병되며, 자유항 지위가 중단되고 자치권을 상실했다. 자치권은 1813년 오스트리아 제국의 도시로 반환된 이후에도 회복되지 못했다. 나폴레옹 전쟁 이후로, 트리에스테는 경제적 자유가 부여된 지위인 트리에스테 제국 자유 도시(독일어: Reichsunmittelbare Stadt Triest)로서 번영을 유지하였으며, 정치적 자유는 제한되었다. 오스트리아의 중심 항구이자 선박 중심지로서 도시의 역할은 후대 1836년에 상선사인 오스트리아 해운사의 설립으로 더욱 강조되었으며, 상선사의 본사가 그란데 사니타 광장 (오늘날 우니타 디탈리아 광장)의 모퉁이에 위치했었다. 1913년경, 오스트리아 해운사는 총합 236,000 톤에 이르는 62척의 배들을 보유했었다.[18] 1860년 오스트리아 제국의 입헌주의 도입으로, 자치권이 회복되었고, 트리에스테는 오스트리아 연안 지대(독일어: Österreichisches Küstenland)의 수도가 되었다.

1854년 주식 거래 광장
오늘날 트리에스테의 주식 시장

피에몬테 사르데냐 왕국의 교회와 교회 재산에 대한 호전적 정책으로 인해 이탈리아반도의 나머지에서도 반교회주의 기류가 조성됨에 따라, 당시 교황 레오 13세는 거처를 트리에스테 및 잘츠부르크로 옮기는 것을 고려했었다. 하지만,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는 이 발상을 거부했다.[19] 리예카(피우메)와 함께, 트리에스테는 주요 현대화 계획이 착수되 20세기 초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해군의 주요 기지 역할을 했다. 오스트리아 제국의 초대 주요 철도인 오스트리아 남부 철도의 건설로, 트리에스테는 석탄 교역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얻었다.

1885년 트리에스테 모습

트리에스테는 카페 톰마세오(이탈리아어판, 독일어판)의 활동에서 확인되듯 오랜 기간 이탈리아 민족 통일 정서의 근거지이었다.[20] 1882년에 이 감정은 프란츠 요제프 황제가 트리에스테를 방문했을 때 굴리엘모 오베르단 이 그의 암살을 시도하면서 절정에 다다랐다. 오베르단은 체포되어 재판에 보내졌고, 유죄를 선고 받아 결국에 사형에 처해졌다. 그의 행위는 동료 민족 통일주의자들에게 순교의 가치로 여겨졌고, 왕정주의자들에게는 수치로 여겨졌다. 34년 이상을 재위했던 황제는 다시는 트리에스테를 찾지 않았다.[21]

20세기

[편집]

20세기가 시작될 무렵, 트리에스테는 예술가와 철학자들이 자주 방문하는 북적거리는 국제 도시이었다. 제임스 조이스는 1904년과 1915년 사이 장기간 머문 관광객이었다. 조이스는 트리에스테에 기간 'Dubliners'와 'Ulysses'에서 일했다. 그의 제자들에는 이탈로 스베보가 있었고 움베르토 사바가 운영한 서점이 조이스의 아파트 근처에 있었다. 트리에스테에 기반을 둔 다른 작가들에는 클라우디오 마그리스, 얀 모리스, 풀비오 토미차, 엔초 베티차, 수산나 타마로, 에르네스토 네이선 로저스 등 있었다.[22] 지그문트 프로이트, 조프카 크베데르, 드라고틴 케테, 이반 찬카르, 스키피오 슬라타페르 등 역시도 트리에스테와 관련성을 갖고 있다. 트리에스테는 관광 업계에서 사용하는 용어인 '오스트리아 리비에라'의 주요 항구였다.

제1차 세계대전, 이탈리아 합병, 파시스트 시대

[편집]

이탈리아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연합국 측에 가담하는 대가로, 오스트리아 연안 지대와 서부 노트란스카를 포함해 상당한 영토를 얻기로 약속받았다.[23] 이에 따라 이탈리아는 1915년 런던 조약 및 이탈리아-유고슬라비아 간 1920년 라팔로 조약 조항에 따라 전쟁 종전 때 트리에스테를 합병하였다.[24]

1920년 7월 이탈리아 파시스트들이 슬로베니아의 문화 중심지들을 불태워버리고 나서 1920년대 후반, 슬로베니아의 반파시즘 군사 단체 TIGR은 트리에스테 중심부에서 몇 차례 폭탄 공격을 가했다. 1930년과 1941년, 파시스트 정권의 국가 안보 특별재판소에 의해 슬로베니아의 활동가들에 대한 두 차례 재판이 트리에스테에서 열렸다. 1920년대와 1930년대 기간, 파시즘 건축 양식으로 일부 기념 건축물들이 세워졌으며, 여기에는 트리에스테 대학교, 거 높이가 70m에 달하는 비토리아 등대 등이 있다. 경제는 1930년대 후반에 향상되었고, 여러 대규모 사회기반시설 사업이 시행되었다.[25]

제2차 세계 대전과 종전 이후

[편집]
트리에스테로 진입하는 유고슬라비아 군대 (문구: "트리에스테를 해방시키는 티토)

슬로베니아의 3분할이 이뤄지고 나서, 1941년 겨울을 시작으로, 최초의 슬로베니아 파르티잔들이 트리에스테 지역에서 등장하였으며, 그럼에도 1943년 말까지는 도시 자체 내에서 저항 운동이 이뤄지지는 못했다.[26]

1943년 9월 이탈리아 휴전 협정이 체결된 뒤, 트리에스테는 독일 국방군에 점령되었다. 트리에스테는 명목상 새롭게 건국된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의 일부였으나, 사실상 독일에 의해 지배되었고, 독일은 옛 이탈리아 북동부 지역들을 아드리아 연해지 작전 구역으로 설정했는데, 트리에스테는 이곳 행정의 중심지이었다. 이 새롭게 만들어진 행정 구역은 최고 위원장으로 임명된 케르텐의 대관구지휘자 프리드리히 라이너가 이끌었다. 외관 상의 이탈리아 통치는 트리에스테의 시장이던 체사레 파니니가 계속 이어나갔으나, 모든 민간 행정관에게 독일인 고문(Deutsche Berater) 형태의 최고 위원장이 배정되었다.[27] 독일 점령기 당시, 이탈리아 영토 내 화장터를 갖춘 유일한 강제 수용소가 1944년 4월 4일 트리에스테 교외 지역 리시에라 디 산 사바에 건설되었다. 1943년 10월 20일부터, 1944년 봄까지, 유대인과 파르티잔 등 약 25,000명이 리시에라에서 심문 및 고문을 당했다. 이 중 3,000-4,000명이 이곳에서 총살 및 구타로 인해 죽거나, 가스실에서 사망했다. 이곳에 수용된 대부분 이는 다른 강제 수용소로 옮겨지기 전에 투옥되던 자들이었다.[28][29]

트리에스테는 이탈리아 및 유고슬라브 파르티잔들의 격렬한 활동이 벌어지던 곳이었고, 정유소, 항구, 조차장 등을 목표로 하였지만 도시에 상당한 전반적 피해와 651명의 사망을 야기했던 1944년–1945년간 20회가 넘는 연합군의 공중 폭격의 피해를 입었다.[30] 최악의 공격은 1944년 6월 10일에 벌어졌는데, 당시 40대의 미국 육군 항공대 폭격기가 정유 시설을 목표로 하며 100톤의 폭탄을 투하한 것이 건물 250채 파괴와 700명에서 463명 사이의 피해자를 야기했다.[31][32][33]

유고슬라브 군대 점령기

[편집]
유고슬라브 해방 문구가 덧인쇄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의 우표

1945년 4월 30일, 슬로베니아와 이탈리아의 반파시즘 단체인 오스보보딜나 프론타 (Osvobodilna fronta, OF)와, 에도아르도 마르차리 및 안토니오 폰다 사비오 등의 민족해방위원회 등은 약 자원병 3,500명을 구성하여, 나치 점령자들에 대한 폭동을 사주했다. 5월 1일 연합국의 구성국인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제8 달마티아 군단은 법원, 산주스토성 같은 곳을 제외하면 도시의 대부분을 점령하였으며, 앞서 언급한 곳들에서 독일군은 전쟁 중에 독일 및 이탈리아 포로들을 총살한다는 것으로 알려진 파르티잔들의 소문 때문에 항복을 거부하고 있다가 뉴질랜드 병력 측에 항복했다.[34] 프라이버그 장군 휘하의 제2 뉴질랜드 사단은 아드리아해의 북쪽 해안가 주변 14번 경로를 통해 트리에스테로 진격을 계속했고 다음 날 도시에 도착했다.[35][36] 독일군은 5월 2일 저녁 밤에 항복했지만, 유고슬라비아군 측에 넘겨졌다.[37]

유고슬라비아는 6월 12일까지 도시의 완전한 통제권을 가졌으며, 이 시기는 이탈리아 역사계에서 '트리에스테의 40일'로 알려져 있다.[38] 이 기간에, 수백 명의 이탈리아 현지인들과 반공산주의 슬로베니아인들이 유고슬라비아 당국에 체포되었고, 이 중 많은 이들은 다시 돌아오지 못했다.[39] 일부는 유고슬라비아 포로 수용소 (특히 보로우니차에 위치한 곳)에 억류되었고, 그 외는 크라스에서 살해당했다.[40] 영국의 육군원수 해럴드 알렉산더는 유고슬라비아의 군사 점령을 비판하며, "티토 원수의 군대를 통한 그의 주장을 이룩하려는 명백한 의도는 ...모든 것이 몹시나 히틀러, 무솔리니, 일본 등을 연상시킨다. 우리가 이 전쟁에서 싸우고 있던 것은 그런 행위를 막는 것이었다."라고 발언했다.[41][42] 이 격렬한 시기 동안에, 트리에스테는 정치·행정 체제의 전면적인 재편을 겪었으며, 주요 인물 (이손초 전선이 유고슬라비아의 목표에서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징표인 에드바르 카르델리 포함)들이 배치되어 있던 유고슬라비아 제4군단은 점령 지역에 임시 군사 사령부를 세웠다. 이곳의 위태로운 지위를 완전하게 이해하고 있던, 유고슬라브 사령부는 이곳을 차지하기 위한 큰 노력을 들였고, 트리에스테에 있던 버나드 프라이버그 장군의 제2 뉴질랜드 사단의 주둔에 맞서기도 했으며, 이들의 존재는 실제로도 마찬가지로 전후에 이 항구도시에 대한 주권 및 통제권 주장을 약화시킬 수 있었다.[43] 언론인 Cox는 이에 대해 '냉전 최초의 주요 대립'이자 '연합군들 사이에 경계가 합의되지 않은 유럽의 모퉁이'라 하였다..[44] 이 때문에, 탄유그의 한 공보는 다음과 같이 발표했다: "트리에스테, 몬팔코네, 고리치아 등의 항구 도시 등은 앞서 언급한 사단 (뉴질랜드 사단)에 점령될 수 없으며, 이 도시들은 이미 ...유고슬라비아 군대...에 해방되었기 때문이다. 일부 연합군 우리의 허가 없이 앞서 언급한 도시들에 진입했다는 것도 사실이며 이 오해가 상호 합의에 의해 신속히 해결되지 않는다면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45]

불확실 속의 도시 (1945년–1947년)

[편집]

유고슬라비아의 지도자 요시프 브로즈 티토와 육군원수 알렉산더 간 합의가 이뤄지고 난 뒤, 유고슬라비아 병력은 트리에스테에서 철수했고, 영국-미국 군사 행정부 치하에 들어오게 되었다.[46] 베네치아줄리아는 영미 군사 행정부 및 유고슬라비아 군사 행정부 간의 모건 라인을 통해 분할되었다가 1947년 9월 파리 조약에 따라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가 설치됐다. 트리에스테의 운명을 사실상 바꾼 결정적인 전환점은 이미 마련되어 있었으며, 훗날 트루먼 독트린이라 명명된 트루먼 대통령의 조항은 현상 유지를 확정지었고, 이는 앞서 언급한 조약에서 비로소 형식화되었는데 이는 유고슬라비아의 요구, 이탈리아의 주장, 그리고 아드리아해와 동유럽 전반에 대한 국제적 목표 사이에서 신중하게 균형을 맞춘 결과물이었다. 곧장 그리고 심지어는 이 합의가 체결되기 이전부터 정부 구조에 대한 의문이 재기되었고, 이탈리나나 유고슬라비아 양측이 공동 정부를 인정하려 하지 않았다.[47] 초창기, 새롭게 설린된 연합군의 군정 (AMG)은 특히 교외 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뿌리를 내린 공산주의자들의 존재로 인해서 새롭게 편성된 행정 구역 (이탈리아계가 다수인 트리에스테, 고리치아, 폴라 등)에 대해 자신들의 권위를 행사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연합군 군정 측에 관할 구역에 대한 사법을 집행하고 법과 질서를 재확립할 수 있는 전권을 부여한, 이탈리아와의 공식 평화 조약이 체결될 때까지 변하지 않았다. 민중들의 의용군을 철폐한, 군정청은 영미식 경찰을 모델로 하여 현지인들로부터 보통 경찰 병력을 모집하였다. 이 사법권 행사는 다음과 같이 구체화되었다 : 제1호 포고령에 따라 3단계 법원이 설치되었는데, 경범죄에 대한 관할권을 가진 '간이군사법원'(Summary Military Courts), 10년 이하의 징역형을 선고할 수 있는 '상급군사법원'(Superior Military Courts), 그리고 사형을 선고할 수 있는 '일반군사법원'(General Military Court)이었다. 이탈리아 왕국의 법전을 모델로 한 민간 법원들은 제6호 일반명령에 따라 1945년 7월 12일에 재설립되었으나, 슬로베니아 소수 집단에게는 자신들의 언어로 진술권과 재판 절차를 진행할 권리가 부여되었다.[48]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의 A 구역 (1947–54년)

[편집]
트리에스테와 A/B 구역

1947년, 트리에스테는 국제 연합의 보호 하에서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라는 이름의 독립 도시 국가로 선포되었다. 이 국가는 1945년에 설립된 모건 라인을 따라 A와 B 구역으로 구분되었다.[49]

1947년부터 1954년까지, A 구역은 제88 보병 사단의 지휘관이었던 브라이언트 무어 소장이 이끄는 트리에스테 미합중군, 테런스 에어리 경이 이끄는 '트리에스테 영국 주둔군'(British Element Trieste Forces, BETFOR)으로 이뤄진 연합군 군정청이 주둔 및 관리하고 있었으며, 미국과 영국 사령관이 공동 사령관이자 군정청장으로 있었다.[50]

1954년 11월 4일, 트리에스테의 이탈리아 복귀를 환호하는 관중

A 구역은 무지아 남쪽의 작은 어촌 마을 네 곳 (아래 참조)을 제외하면, 현재 이탈리아의 트리에스테도와 거의 정확하게 일치하며, 마을 네 곳은 1954년 자유 지구 해체 이후 유고슬라비아에 할양되었다. 당시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의 대령이던 밀로시 스타마토비치의 관할권 하에 있던 B 구역은 미르나강데벨리 르티치 곶 사이 이스트라 반도의 최북서단 지역으로 이뤄져 있었다.[51]

1954년, 런던 각서에 따라, 트리에스테를 포함한 A 구역의 대부분은 이탈리아에에 귀속되고, B 구역 및 A 구역의 마을 네 곳 (플라비에, 스포드니에슈코피예, 흐르바티니, 엘레리) 등은 유고슬라비아의 일부가 되어, 슬로베니아크로아티아 등에 분할되었다. 유고슬라비아와의 최종 국경선 및 분할 지역 내 소수 민족 집단들의 지위 등은 1975년 오시모 조약으로 상호 합의가 이뤄졌다.[52] 이 경계는 현재 이탈리아와 슬로베니아 간 국경을 이루고 있다.[53]

지리

[편집]

트리에스테는 슬로베니아와 국경 근처 이탈리아 북동쪽에 있는 아드리아해의 최북단에 위치했다. 이 도시는 트리에스테만에 존재하고 있으며, 비탈에 대부분이 세워진 트리에스테의 도심은 크라스에서 바다 쪽으로 급격히 내려오는 웅장한 절벽(단애) 아래에 자리하고 있다. 도시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카르스트 언덕은 해발 458 미터 (1,503 피트)에 이른다. 트리에스테 이탈리아 지리 지역과 발칸반도, 미텔로이로파 지역이 접하는 곳에 존재한다.

기후

[편집]
트리에스테 전경

트리테스테의 기후는 서늘한 겨울과 뜨거운 여름을 띠는 온난 습윤 기후 (쾨펜 기후: Cfa, 트레와다 기후: Cf)를 띤다. 평균적으로, 상대적 습윤 정도는 낮으며 (~ 65%), 세 달 동안 (1월, 3월 7월)만 예상 강우가 60 mm (2 in) 보다 살짝 적게 내린다.

이스트라반도처럼 트리에스테는 강우가 연중 900 mm (35 in) 이상 고르게 내리며, 실질적인 여름 가뭄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은 연평균 이틀 내린다.[54]

겨울철 최고 기온은 지중해 지역 평균보다 낮은 편이다. 두 가지 기본 날씨가 번갈아 일어나며, '보라'라는 북서풍이 일으키는 맑고, 바람이 강하며, 추운 날씨 및 기온이 약 6 to 11 °C (43 to 52 °F) 정도인 비 오는 날씨이다.

여름은 최고 기온이 29 °C (84 °F) 최저 기온이 20 °C (68 °F) 이하로 매우 따뜻하며, 따뜻한 바닷바람의 영향을 받아 밤에도 따뜻한 편이다. 지난 30년간 최고 기온은 2020년의 40.1 °C (104 °F)이며, 최저 기온은 1996년의 −7.9 °C (18 °F)이었다.

트리에스테 기후는 미국 농무부(USDA)의 내한성 구역 구분에 따르면 8a–10a 구역으로 분류되며, 빌라 오피치나 (Villa Opicina, 해발 320- 420m)를 비롯한 고지대 교외는 8a에 속하고, 아드리아해 인근의 보호되고 바람이 막힌 계곡 지역은 10a에 속한다.

트리에스테의 기후는 매우 건조하고 대개 서늘한 북풍-북동풍의 활강풍보라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으며, 며칠 동안 계속될 수 있고 항만 부두에서는 140 km/h (87 mph)에 달하는데, 이로 인해 때때로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기도 한다.[55]

트리에스테 (1991년~2020년)의 기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간
역대 최고 기온 °C (°F) 18.2
(64.8)
18.2
(64.8)
23.8
(74.8)
29.8
(85.6)
32.2
(90.0)
36.8
(98.2)
37.4
(99.3)
38.0
(100.4)
33.8
(92.8)
30.8
(87.4)
24.4
(75.9)
18.7
(65.7)
38.0
(100.4)
일평균 최고 기온 °C (°F) 9.0
(48.2)
9.7
(49.5)
13.5
(56.3)
17.7
(63.9)
22.3
(72.1)
26.5
(79.7)
29.1
(84.4)
29.1
(84.4)
24.3
(75.7)
19.1
(66.4)
14.3
(57.7)
10.2
(50.4)
18.7
(65.7)
일일 평균 기온 °C (°F) 6.3
(43.3)
6.7
(44.1)
10.0
(50.0)
14.0
(57.2)
18.5
(65.3)
22.6
(72.7)
25.0
(77.0)
25.0
(77.0)
20.5
(68.9)
15.9
(60.6)
11.5
(52.7)
7.5
(45.5)
15.3
(59.5)
일평균 최저 기온 °C (°F) 4.2
(39.6)
4.2
(39.6)
7.1
(44.8)
10.6
(51.1)
14.9
(58.8)
18.9
(66.0)
21.0
(69.8)
21.2
(70.2)
17.2
(63.0)
13.2
(55.8)
9.2
(48.6)
5.3
(41.5)
12.3
(54.1)
역대 최저 기온 °C (°F) −6.8
(19.8)
−7.2
(19.0)
−6.4
(20.5)
1.2
(34.2)
0.0
(32.0)
8.4
(47.1)
10.0
(50.0)
11.0
(51.8)
9.2
(48.6)
0.0
(32.0)
−1.3
(29.7)
−7.3
(18.9)
−7.3
(18.9)
평균 강수량 mm (인치) 51.5
(2.03)
64.7
(2.55)
56.6
(2.23)
69.4
(2.73)
80.9
(3.19)
74.9
(2.95)
55.6
(2.19)
74.9
(2.95)
108.3
(4.26)
113.3
(4.46)
117.5
(4.63)
82.5
(3.25)
950.1
(37.42)
평균 강설량 cm (인치) 1.0
(0.4)
1.4
(0.6)
0.6
(0.2)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0)
0.9
(0.4)
3.9
(1.6)
평균 강수일수 (≥ 1.0 mm) 6.33 6.41 6.03 8.34 8.50 7.63 5.80 6.55 7.79 8.97 10.46 7.69 90.5
평균 강설일수 1.2 1.0 0.6 0 0 0 0 0 0 0 0 0.7 3.5
평균 상대 습도 (%) 67.54 65.35 63.31 63.82 64.70 64.76 62.19 62.98 64.60 68.51 69.75 66.96 65.37
평균 이슬점 °C (°F) 0.3
(32.5)
0.1
(32.2)
2.7
(36.9)
6.7
(44.1)
11.3
(52.3)
15.2
(59.4)
16.8
(62.2)
16.9
(62.4)
13.1
(55.6)
9.7
(49.5)
6.0
(42.8)
1.3
(34.3)
8.3
(47.0)
평균 월간 일조시간 102.3 124.7 155.4 177.0 231.6 250.1 297.9 272.3 200.9 148.0 97.9 90.3 2,148.4
평균 자외선 지수 2 3 5 6 8 9 9 8 7 5 3 2 6
출처 1: 미국 해양대기청[56] (일조시간: 1981년~2010년)[57]
출처 2: Weather Atlas (강설)[58]Nomadseason(자외선)[59]

행정

[편집]
청사
트리에스테 시청

1949년 이후 트리에스테 시장:

시장 임기 시작 임기 종료   정당
잔니 바르톨리 1949년 1957년 DC
마리오 프란칠 1957년 1967년 DC
마르첼로 스파치니 1967년 1978년 DC
마닐로 체코비니 1978년 1983년 LpT
아르두이노 아녤리 1983년 1985년 PSI
프랑코 리케티 1985년 1986년 DC
줄리오 스타피에리 1986년 1988년 LpT
프랑코 리케티 1988년 1992년 DC
줄리오 스타피에리 1992년 1993년 LpT
리카르도 일리 1993년 12월 5일 2001년 6월 24일 Ind
로베르토 디피아차 2001년 6월 24일 2011년 5월 30일 FI
로베르토 코솔리니 2011년 5월 30일 2016년 6월 20일 PD
로베르토 디피아차 2016년 6월 20일 현직 FI

행정 구역

[편집]
트리에스테의 일곱 구역

트리에스테는 행정적으로 일곱 구역으로 구분되며, 다시 일곱 구역은 추가적인 세부 구역 (frazioni)으로 구분된다:

  1. '알티피아노 오베스트'(Altipiano Ovest)': 보르고 산 나차리오(Borgo San Nazario) · 콘토벨로(Contovello, Kontovel) · 프로세코 (Prosek) · 산타 크로체 (Santa Croce, Križ)
  2. '알티피아노 에스트'(Altipiano Est): 반네(Banne, Bani) · 반소비차(Basovizza, Bazovica) · 그로파다(Gropada, Gropada) · 오피치나 (Opčine) · 파드리차노(Padriciano, Padriče) · 트레비차노(Trebiciano, Trebče)
  3. 바르콜라 (슬로베니아어: Barkovlje)[60] · 콜로냐(Cologna, 슬로베니아어: Kolonja)[60] · 콘코넬로(Conconello, Ferlugi) · 그레타(Gretta, 슬로베니아어: Greta)[60] · 그리냐노(Grignano, Grljan) · 구아르디엘라(Guardiella, 슬로베니아어: Verdelj)[60] · 미라마레(Miramare) · 로이아노(Roiano, 슬로베니아어: Rojan)[60] · 스코르콜라(Scorcola, Škorklja)
  4. 바르리에라 누오바(Barriera Nuova) · 보르고 주세피노 · 보르고 테레시아노(Borgo Teresiano) · 치타 누오바(Città Nuova) · 치타 베키아(Città Vecchia) · 산 비토(San Vito) · 산 주스토(San Giusto) · 캄피 엘리시(Campi Elisi) · 산탄드레아(Sant'Andrea) · 카바나(Cavana)
  5. 바르리에라 베키아(Barriera Vecchia, Stara Mitnica) · 산 자코모(San Giacomo, Sveti Jakob) · 산타 마리아 마달레나 수페리오레(Santa Maria Maddalena Superiore, Sveta Marija Magdalena Zgornja)

인구

[편집]
연도별 인구
연도인구±%
1921 239,558—    
1931 250,170+4.4%
1936 248,307−0.7%
1951 272,522+9.8%
1961 272,723+0.1%
1971 271,879−0.3%
1981 252,369−7.2%
1991 231,100−8.4%
2001 211,184−8.6%
2009 Est. 205,507−2.7%
2013 204,849−0.3%
출처: ISTAT 2001

자매 도시

[편집]

사진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Resident population”. ISTAT. 
  2. G. Bar "Trieste, è record europeo di ricercatori: 37 ogni mille abitanti. Più della Finlandia", In: il Fatto Quotidiano, 26 April 2018.
  3. Vasmer, Max (1971). 《Schriften zur slavischen Altertumskunde und Namenkunde》. In Kommission bei O. Harrassowitz. 50쪽. ISBN 978-3-447-00781-8. 2010년 12월 6일에 확인함. 
  4. Baldi, Philip (1983). 《An introduction to the Indo-European languages》. SIU Press. 168쪽. ISBN 978-0-8093-1091-3. 2010년 12월 6일에 확인함. 
  5. Cary, Joseph (1993년 11월 15일). 《A ghost in Triest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8쪽. ISBN 978-0-226-09528-8. 2010년 12월 6일에 확인함. 
  6. Bernardini, F., Vinci, G., Horvat, J., De Min, A., Forte, E., Furlani, S., Lenaz, D., Pipan, M., Zhao, W., Sgambati, A., Potleca, M., Micheli, R., Fragiacomo, A., & Tuniz, C. (2015). Early Roman military fortifications and the origin of Trieste, Italy.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12(13), E1520–E1529. JSTOR 26462435
  7.  Ashby, Thomas (1911). 〈Tergeste〉. Chisholm, Hugh. 《브리태니커 백과사전26 11판.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641쪽. 
  8. “Commentarii de bello Gallico/Liber VIII - Wikisource”. 
  9. Giulipaola Ruaro, Strolling Around Trieste, (Trieste: Edizioni Fachin, 1986), 6
  10. “Sul ius adipiscendae c.R. nel decreto tergestino in onore di L. Fabius Severus”. 《flore.unifi.it》. 2023년 5월 2일에 확인함. 
  11. Zeno Saracino: "Pompei in miniatura": la storia di "Vallicula" o Barcola. In: Trieste All News. 29 September 2018.
  12. Thaller, Anja (2009). “Graz 1382 – Ein Wendepunkt der Triestiner Geschichte?”. 《Historisches Jahrbuch der Stadt Graz》 (독일어). 38/39: 191–221. 2016년 5월 6일에 확인함. 
  13. Giulipaola Ruaro, Strolling Around Trieste, (Trieste: Edizioni Fachin, 1986), 11
  14. “Centro di ricerche storiche Centar za povijesna istraživanja Središče za zgodovinska raziskovanja”. 《CRS》 (이탈리아어). 2023년 8월 12일에 확인함. 
  15. Guicciardini, Francesco (1984년 1월 1일). Alexander, Sidney, 편집. 《The History of Italy》. Princeton University Press. doi:10.1515/9780691213910. ISBN 978-0-691-21391-0. 
  16. “The Maritime Commerce of Austria - Marx”. 《marxengels.public-archive.net》. 2010년 2월 4일. 2024년 11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3월 25일에 확인함. 
  17. Perišić, Miroslav; Reljić, Jelica (2016). 《Kultura Srba u Trstu》. Belgrade: Arhiv Srbije. 
  18. Hubmann, Franz, & Wheatcroft, Andrew (editor), The Habsburg Empire, 1840–1916, London, 1972, ISBN 0-7100-7230-9
  19. Josef Schmidlin, Papstgeschichte der neueren Zeit, München, 1934, p.414
  20. Ruaro, Giuliapaola (2005). 《Triest, 3.》. 
  21. “City of Trieste”. 《Mahler Foundation》 (미국 영어). 2015년 3월 14일. 2023년 5월 7일에 확인함. 
  22. Roula Khalaf (2023년 3월 10일). “Trieste: the comeback kid of Europe”. Financial Times. 
  23. “The Treaty of London was signed on April 26, 1915” (PDF). 2023년 12월 22일에 확인함. 
  24. Federzoni, Luigi. 《IL TRATTATO DI RAPALLO CON UN'APPENDICE DI DOCUMENTI》 (이탈리아어). Bologna: Zanichelli. 295–300쪽. 
  25. Angelo Ara, Claudio Magris. Trieste. Un'identità di frontiera. p.56
  26. Novak, Bogdan (1970). 《Trieste, 1941-1954》 (영어).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9–62쪽. 
  27. Novak, Bogdan (1970). 《Trieste, 1941-1954》 (영어).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2쪽. 
  28. “Risiera di San Sabba”. 《www.deathcamps.org》. 
  29. “The Nazi Occupation and the Extermination of the European Jews. Methods, sources and interpretations: A focus on Italy and Lithuania”. 2017년 9월 26일. 
  30. “Trieste sotto le bombe il 10 giugno 1944 | Biografia di una bomba | Il blog di Giovanni Lafirenze”. 
  31. “Così il 10 giugno '44 Trieste si svegliò sotto le bombe”. 《Il Piccolo》. 2014년 6월 14일. 
  32. Saracino, Zeno (2019년 6월 10일). “Ricordo del bombardamento di San Giacomo: 10 giugno 1944-2019 - TRIESTE.news”. 
  33. “Comunicarte Edizioni » 10 giugno 1944: bombe su Trieste”. 
  34. Prauser, Steffen; Rees, Arfon, 편집. (December 2004). “The Expulsion of the 'German' Communities from Eastern Europe at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PDF) (영어). Italy: 유럽 대학 연구소. 2009년 10월 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12월 22일에 확인함. 
  35. “Faenza, Trieste and home – the Italian campaign | NZHistory, New Zealand history online”. Nzhistory.net.nz. 2012년 12월 20일. 2013년 3월 12일에 확인함. 
  36. Kay, Robin. “IV: Through the Venetian Line”. NZETC. 2013년 3월 12일에 확인함. 
  37. Picamus, Daniela (2018). “Trieste 1945. Una città ferita”. 
  38. Anna Bramwell (1988). 《Refugees in the Age of Total War》. Unwin Hyman. 138쪽. ISBN 978-0-04-445194-5. 201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39. Petacco, Arrigo (2005). 《Tragedy Revealed: The Story of Italians from Istria, Dalmatia, and Venezia Giulia, 1943–1956》. University of Toronto Press. 89쪽. ISBN 978-0-8020-3921-7. 2012년 12월 29일에 확인함. 
  40. Petacco 2005, 90쪽.
  41. Feis, Herbert (2015). 《Between War and Peac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82쪽. 
  42. Cox, Geoffrey (1977). 《The Race for Trieste》. London: W. Kimber. 250쪽. 
  43. Novak, Bogdan (1970). 《Trieste, 1941-1954》 (영어).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61쪽. 
  44. Cox, Geoffrey (1977). 《The Race for Trieste (was The Road to Trieste)》 2판. New Zealand: Whitcoulls. 7, 250쪽. ISBN 0-7183-0375-X. 
  45. Hrženjak, Juraj (1953). 《SLOVENSKO PRIMORJE IN ISTRA》. Rad. 509쪽. 
  46. Novak, Bogdan (1970). 《Trieste, 1941-1954》 (영어).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198쪽. 
  47. Novak, Bogdan (1970). 《Trieste, 1941-1954》 (영어).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79–280쪽. 
  48. Novak, Bogdan (1970). 《Trieste, 1941-1954》 (영어). United States of America: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14쪽. 
  49.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Free Territory of Trieste” (PDF). CIA. 1948. 2013년 7월 1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6월 21일에 확인함. 
  50. “British Element Trieste Forces – Order of Battle”. 2014년 6월 21일에 확인함. 
  51. TIMES, Special to THE NEW YORK (1952년 5월 16일). “YUGOSLAVS TIGHTEN TRIESTE ZONE GRIP; Retaliate Against U. S.-British Concessions to Italians -- Travel Facilitated”. 《The New York Times》 (미국 영어). ISSN 0362-4331. 2025년 3월 25일에 확인함. 
  52. “Trattato tra la Repubblica Italiana e la Repubblica Socialista” (PDF). 《inps.it》 (이탈리아어). 2023년 6월 7일에 확인함. 
  53. “The Italian Occupation in Slovenia and Dalmatia: 1941–43”, 《Italy and Its Eastern Border, 1866-2016》 (Routledge), 2016년 10월 4일, 166–191쪽, doi:10.4324/9781315762586-13, ISBN 978-1-315-76258-6, 2025년 3월 25일에 확인함 
  54. Roberto Pedemonte (May 2012). “La neve sulle coste del Maditerraneo (seconda parte)”. 《Rivista Ligure》 (이탈리아어) (Genova) 12 (44). 2014년 6월 28일에 확인함. 
  55. “Bora and Ice”. The Trieste Times.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5월 20일에 확인함. 
  56. “WMO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Trieste (WMO number:16110)” (CSV). 《ncei.noaa.gov》 (Excel). 미국 해양대기청. 2024년 3월 2일에 확인함. 
  57. “WMO climate normals for 1981-2010: Trieste”. 《ncei.noaa.gov》 (Excel). 미국 해양대기청. 2024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 (XLS)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3월 2일에 확인함. 
  58. “The climate of Trieste”. 《weather atlas》. 2024년 3월 2일에 확인함. 
  59. “UV Index in Trieste, Italy”. 《Nomadseason》. 2024년 3월 2일에 확인함. Last updated: February 4, 2024 
  60. 《Spezialortsrepertorium der österreichischen Länder. Bearbeitet auf Grund der Ergebnisse der Volkszählung vom 31. Dezember 1910, vol. 7: Österreichisch-Illyrisches Küstenland》. Vienna: K. k. Hof- und Staatsdruckerei. 1918. 1, 3쪽.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