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제7공수특전여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7공수특전여단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소속대한민국 대한민국 육군
규모여단
명령 체계육군특수전사령부
본부전북특별자치도 익산군 금마면
별칭천마부대
마스코트천마
지휘관
여단장김종탁
주요 지휘관정호용, 남영신

제7공수특전여단(第七空輸特戰旅團, 영어: 7th Airborne Special Forces Brigade), 또는 "천마부대"는 대한민국 육군 특전사 소속 부대들 중 세 번째로 만들어진 특수작전 부대이다.

역사

[편집]
  • 1974년 10월 1일 창설[1][2]

조직

[편집]
  • 제31대대
  • 제32대대
  • 제33대대
  • 제7공수특전여단 인원들의 모습(2015년)
    제35대대

활동

[편집]

광주 민주화 운동 진압 참가

[편집]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가장 먼저 투입된 부대이며, 시민을 대상으로 무차별적인 진압 작전을 펼쳤다.[3][4] 특히 주남마을 버스 총격 사건 당시 시민에게 실탄을 발포하는 등 민간인 학살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였다.[5][6]

2024년 비상계엄령

[편집]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곽종근 특수전사령관에 의해서 서울 진입 준비 지시가 이뤄졌으나, 실질적으로 제7공수특전여단 인원들이 투입되지는 않았다.[7]

역대 단장

[편집]
# 성명 취임일 이임일 비고
1 준장 정호용 1974년 월 일 년 월 일 국방부장관
2 준장 신우식 년 월 일 년 월 일
2 준장 남영신 년 월 일 년 월 일 육군참모총장
3 준장 박우영 2016년 월 일 년 월 일
4 준장 김민호 2018년 월 일 년 월 일

참고

[편집]
  1.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천마부대! 우리는 하나지 말입니다!””. 《전북도민일보》. 2024년 12월 14일에 확인함. 
  2. “제7공수연단 창설 제26주년 기념행사 개최”. 《전북도민일보》. 2024년 12월 14일에 확인함. 
  3. 기자, 강현석 (2018년 5월 17일). “[단독]‘화려한 휴가’ (5·18진압작전) 복귀 안 한 7공수, 헬기 동원 ‘광주 뒤처리’ 정황”. 2024년 12월 14일에 확인함. 
  4. “518”. 2024년 12월 14일에 확인함. 
  5. “우리역사넷”. 2024년 12월 14일에 확인함. 
  6. “‘1979년 비상계엄’ 어떻게 5·18 광주 학살로 이어졌나”. 2024년 12월 8일. 2024년 12월 14일에 확인함. 
  7. 이해인 (2024년 12월 10일). “7공수·13공수도 서울 진입 준비 지시‥계엄 확대 노렸나?”. 2024년 12월 14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