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공수특전여단
보이기
제11공수특전여단 | |
---|---|
![]() | |
국가 | ![]() |
소속 | ![]() |
규모 | 여단 |
명령 체계 | 육군특수전사령부 |
본부 | 전라남도 담양군 |
별칭 | 황금박쥐부대 |
마스코트 | 황금박쥐 |
지휘관 | |
여단장 | 장지환 |
주요 지휘관 | 류준형 |
제11공수특전여단(第十一空輸特戰旅團, 영어: 11th Airborne Special Forces Brigade), 또는 "황금박쥐부대"는 대한민국 육군 특전사 소속 부대들 중 여섯 번째로 만들어진 특수작전 부대이다.
역사
[편집]- 1977년 육군특수전사령부 배속 부대 창설
조직
[편집]- 61대대
- 62대대
- 63대대
- 65대대
활동
[편집]광주 민주화운동 진압 참가
[편집]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1980년 5월19일 새벽에 추가로 투입되었으며, 조선대학교에 본부를 차리고 시민들에 대한 집단 발포 등 무차별적인 폭력행위를 가했다.[1][2] 1980년 5월 21일에는 계엄군 소속 장갑차 운전수의 운행 미숙으로 인하여 11공수특전여단 소속 권용운 일병이 사망하였다.[3][4] 5월 24일에는 광주직할시 남구 진월동 부근에서 육군보병학교 교도대대가 11공수특전여단 인원들을 시민군으로 오해하고 기습 공격하여 13명이 숨지고 50여명이 다쳤다.[5] 오인사격 이후 11공수는 기습 공격 부근의 민가의 민간인들을 공격하는 등 만행을 저질렀다.[6] 부대에 전두환 대통령의 준공기념석이 있었으나 5.18 자유공원으로 옮겨졌다.[7]
2024년 비상계엄령
[편집]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곽종근 특수전사령관에 의해서 서울 진입 준비 지시가 이뤄졌으나, 실질적으로 제11공수특전여단 인원들이 투입되지는 않았다.[8] 그러나 새벽 5시까지 출동 준비를 하는 등, 계엄령에 거의 투입될 뻔 하였다.[9]
역대 지휘관
[편집]# | 성명 | 취임일 | 이임일 | 비고 |
---|---|---|---|---|
1 | 준장 류준형 | 1977년 월 일 | 년 월 일 | |
2 | 준장 최웅 | 1980년 월 일 | 년 월 일 | |
3 | 준장 박정환 | 년 월 일 | 년 월 일 | |
4 | 준장 여인형 | 년 월 일 | 년 월 일 | |
4 | 준장 장지환 | 년 월 일 | 년 월 일 | |
참고
[편집]- ↑ 기자, 정희상 (2019년 5월 15일). “5.18 어느 진압군의 고백”. 2024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 “우리역사넷”. 2024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 ““권 일병 사망 원인도 왜곡” 증거 가득한데”. 2024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 “5·18 광주 투입 군인 "계엄군 장갑차에 치여 군인 사망"”. 2021년 9월 15일. 2024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 김용희 (2023년 5월 18일). “계엄군끼리 오인 사격 두 차례…공수부대는 징계 받지 않았다”. 2024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 “광목간 양민 학살지 - 디지털광주문화대전”. 2024년 12월 19일에 확인함.
- ↑ 뉴스, SBS (2019년 5월 17일). “'뒤집힌 전두환 비석'…11공수에서 5·18자유공원 옮겨”. 2025년 1월 5일에 확인함.
- ↑ 이해인 (2024년 12월 10일). “7공수·13공수도 서울 진입 준비 지시‥계엄 확대 노렸나?”. 2024년 12월 14일에 확인함.
- ↑ “[단독] 11공수도 계엄 이튿날 밤샘 대기…"총기 품에 안고 자라고 해"”. 2025년 1월 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