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함께 검토하기/조선왕릉
보이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래의 내용은 과거의 토론 내용입니다. 새로운 토론은 새 문단에서 다뤄주세요.
조선왕릉에 대해 조금씩 손을 대다가 지난 달 15일부터 대대적인 편집을 했습니다. 객관적인 서적을 통해 조선왕릉의 다양한 부분에 대한 설명을 추가하였고, 이를 위한 보도자료도 구해서 정확히 출처를 기제하였습니다. 그 뒤 10월 29일날 1차 조선왕릉 추가 편집 작업을 마치고 지금까지 두 번의 교정작업을 끝마쳤습니다. 그래서 현재 '조선왕릉'문서에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어떠한 점을 추가해야 하는지 여러분들의 평가를 거쳐서 이를 반영하고, 알찬 글에 등재하고 싶습니다. 물론 앞으로도 추가사항이 있을 시에는 더 추가할 계획입니다.--Isan 토론 2012년 11월 2일 (금) 17:46 (KST)[답변]
- 문서에 굵기 표시가 지나치게 많이 되어 있네요. 굵기는 문서 서두에서 표제어에 표시하고 본문에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다른 알찬 글 문서를 참고해 보세요. --관인생략 토론·기여 2012년 11월 2일 (금) 21:44 (KST)[답변]
- 수정했습니다. 문제가 되는 부분에 대한 지적 감사합니다. 추가로 문서 내에 있는 약간의 결함을 수정했습니다.--Isan 토론 2012년 11월 3일 (토) 13:00 (KST)[답변]
의견 조선왕릉의 훼손 사례가 현대에만 머물러 있네요. 태종이 정릉을 훼손(?)한 일도 있고, 임진왜란 때 일본군에 의하여 선정릉이 훼손된 일도 있는데 과거 사례들도 추가되었으면 합니다. 또한 각주 처리에서 동일한 책을 반복하여 각주로 언급할 때는 <ref>이호일, 위의 책, 410~412쪽.</ref> 정도로 간략하게 표현하시면 됩니다.--천리주단기 (토론) 2012년 11월 4일 (일) 02:33 (KST)[답변]
- 방금 선정릉과 정릉에 대한 훼손 사례를 추가하였고, 각주 역시 수정하였습니다. 각주를 그런 식으로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은 미처 몰랐네요.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Isan 토론 2012년 11월 4일 (일) 16:13 (KST)[답변]
- 문서 내의 사진의 크기가 제각각인데 일정하였으면 합니다. --천리주단기 (토론) 2012년 11월 4일 (일) 23:56 (KST)[답변]
- 사진을 수정하고 나니까 어느정도 깔끔하네요. 적절한 지적 감사합니다.--Isan 토론 2012년 11월 5일 (월) 07:07 (KST)[답변]
- 문서 내의 사진의 크기가 제각각인데 일정하였으면 합니다. --천리주단기 (토론) 2012년 11월 4일 (일) 23:56 (KST)[답변]
- 방금 선정릉과 정릉에 대한 훼손 사례를 추가하였고, 각주 역시 수정하였습니다. 각주를 그런 식으로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은 미처 몰랐네요.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Isan 토론 2012년 11월 4일 (일) 16:13 (KST)[답변]
- 제릉[1]과 후릉[2] 등은 북한에서 보존급문화재로 지정되었다고 하네요. 북한 소재의 왕릉에 대해서도 북측에서 문화재로 지정된 것이 있는지 확인해보는게 어떨까요? 참고로 보존급은 우리나라의 보물에 해당한다네요. -- ChongDae (토론) 2012년 11월 6일 (화) 11:58 (KST)[답변]
- 좋은 정보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 북한의 문화재로 등록되있었을 줄은 몰랐습니다. 하지만, 제릉과 후릉 이외에 태조 선대의 조선왕릉은 지정되있는 것이 없더군요. 유일하게 '북한지역정보넷'에 등록되어 있는 숙릉도 마찬가지이구요. 북한 정보망을 해킹하지 않는 이상 찾기 힘들겠어요. 물론 방금 껀 농담입니다. ㅎㅎㅎ 모르고 있었던 정보를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Isan 토론 2012년 11월 6일 (화) 18:37 (KST)[답변]
-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입니다.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보고서 1권, 보고서 2권) 그리고 문단의 제목에 ‘조선왕릉의 ~’으로 시작되는 것이 많은데 ‘구조와 분류’와 같이 간략하게 정리되는 것이 좋을 것 같군요. --천리주단기 (토론) 2012년 11월 7일 (수) 14:11 (KST)[답변]
- '조선왕릉의 ~' 부분은 고쳤는데, 지금 수능치고 알바 알아보느라 보고서 보고 반영하는데는 조금 걸릴 것 같네요. 2주 안에는 다 볼 것 같습니다. 좋은 자료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Isan 토론 2012년 11월 9일 (금) 16:31 (KST)[답변]
-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입니다.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보고서 1권, 보고서 2권) 그리고 문단의 제목에 ‘조선왕릉의 ~’으로 시작되는 것이 많은데 ‘구조와 분류’와 같이 간략하게 정리되는 것이 좋을 것 같군요. --천리주단기 (토론) 2012년 11월 7일 (수) 14:11 (KST)[답변]
- 좋은 정보를 찾을 수 있었습니다. ^^ 북한의 문화재로 등록되있었을 줄은 몰랐습니다. 하지만, 제릉과 후릉 이외에 태조 선대의 조선왕릉은 지정되있는 것이 없더군요. 유일하게 '북한지역정보넷'에 등록되어 있는 숙릉도 마찬가지이구요. 북한 정보망을 해킹하지 않는 이상 찾기 힘들겠어요. 물론 방금 껀 농담입니다. ㅎㅎㅎ 모르고 있었던 정보를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Isan 토론 2012년 11월 6일 (화) 18:37 (KST)[답변]
- 북한문화재자료관에도 일부 정보가 있습니다. 자료실에 문화재 목록이 올라와 있으니 확인은 할 수 있을겁니다. 검색으로는 '후릉'만 찾아지던데... :( -- ChongDae (토론) 2012년 11월 9일 (금) 18:57 (KST)[답변]
- 네, 제가 다른 북한 문화재 검색 사이트에서 일일히 다 찾아본 결과, 개성에 있는 제릉과 후릉은 쉽게 찾을 수 있었는데, '함길도 8릉' 중에서는 익조 정숙왕후의 '숙릉'밖에 찾을 수 없더군요. 책으로도 다 찾아볼 계획이지만, 함길도 8릉에 대한 정보는 찾기가 쉽지않을 것 같습니다.--Isan 토론 2012년 11월 10일 (토) 10:18 (KST)[답변]
의견 바깥 고리의 사이트 수정이 필요해 보입니다. 링크가 깨졌거나 해당 페이지로 바로 연결이 되어 있지 않군요. 또한 주석에서 제가 앞서 언급한 동일한 책의 중복 인용에 따른 정리도 필요해 보입니다. 더불어 제가 찍어 두었던 의릉의 무인석과 문인석 사진을 공용에 올렸습니다. 무인석과 문인석 사진이 없던데 필요하다면 사진을 조선왕릉 문서에 추가하세요.--천리주단기 (토론) 2012년 11월 15일 (목) 17:26 (KST)[답변]
- 방금 수정필요 부분에 대한 수정을 끝냈습니다. 모두 조선왕릉과 관련있는 부분으로 링크 연결했고, 주석 부분도 수정했습니다. 또한, 저번에 알려주신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는 현재 분석하고 있습니다. 양이 많고, 집중할 수 있는 때가 많지 않아서 그런지 지금은 건원릉 부분까지 분석하고 반영하였습니다. 계속 분석해서 올릴 계획입니다.--Isan 토론 2012년 11월 16일 (금) 14:25 (KST)[답변]
- 어제 기사(링크)에 보고서 3권(성종 ~ 중종)이 발간되었다고 하는데 아직 pdf파일은 서비스를 않하고 있네요. 참고하세요. --천리주단기 (토론) 2012년 11월 16일 (금) 14:39 (KST)[답변]
- 방금 수정필요 부분에 대한 수정을 끝냈습니다. 모두 조선왕릉과 관련있는 부분으로 링크 연결했고, 주석 부분도 수정했습니다. 또한, 저번에 알려주신 조선왕릉 종합학술조사보고서는 현재 분석하고 있습니다. 양이 많고, 집중할 수 있는 때가 많지 않아서 그런지 지금은 건원릉 부분까지 분석하고 반영하였습니다. 계속 분석해서 올릴 계획입니다.--Isan 토론 2012년 11월 16일 (금) 14:25 (KST)[답변]
- 혹시 제가 그려둔 능침 공간 상설도가 알아볼 수 있던가요? 다른 책에 있던 상설도는 저작권 문제 때문에 스캔을 할 수 없을 뿐더러 각 상설도에 빠진 부분이 있었기 때문에 제가 그러한 부분을 모아서 그렸던 것인데, 적당히 그리고 올려서 그런지 질이 좀 낮은 느낌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이 글을 보고 계시는 분들 중 일러스트 잘하시는 분은 바꿔서 올려주실 수 있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Isan 토론 2012년 11월 16일 (금) 14:25 (KST)[답변]
2주간 새로운 의견이 없어 토론을 닫습니다. --관인생략 토론·기여 2012년 12월 10일 (월) 12:29 (KST)[답변]
위 토론은 보존되어 있습니다.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편집하지 말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