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식민지 초기 싱가포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싱가포르
Singapore[a]

1819~1826
상징_설명 of 싱가포르
문장
1822년 필립 잭슨 중위가 그린 싱가포르항
1822년 필립 잭슨 중위가 그린 싱가포르항
프랑스에서 제작한 초기 말레이 반도 지도
프랑스에서 제작한 초기 말레이 반도 지도
수도싱가포르
정치
정치체제직할 식민지
영국 국왕조지 3세
인문
공용어영어

식민지 초기 싱가포르1819년 싱가포르 조약을 통해 싱가포르가 영국의 식민지로 편입된 이후 1826년 해협 식민지에 편입되기 이전의 기간을 가리킨다. 1819년 영국 식민지가 된 이래 1965년 말레이시아로부터 독립할 때까지 여러 차례 정치 체계와 사회 제도, 문화가 바뀌었지만 현대 싱가포르의 초석이 이 때 만들어졌기 때문에 싱가포르 정부를 비롯한 세계 학계에서는 이 기간을 근대 싱가포르 수립기(영어: Founding years of Modern Singapore) 또는 근대 싱가포르 건국(영어: Founding of Modern Singapore)이라고 부른다.

1819년 조호르 술탄국의 술탄 압둘 라흐만 무잠 샤와 영국 동인도 회사의 스탬퍼드 래플스가 싱가포르를 영국의 무역 거점으로 설치되는 것에 동의하면서 싱가포르는 공식적으로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다. 그러나 영국과 네덜란드가 믈라카 해협 일대의 영유권을 두고 분쟁을 벌이게 되었다. 이에 양측은 조호르 해협 이남을 기준으로 북쪽은 영국의 영유권으로 인정하고, 남쪽은 네덜란드의 영유권으로 인정하는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은 국제 사회로부터 싱가포르가 영국의 식민지임을 확인받은 첫 조약이었다. 1824년 네덜란드로부터 지배권을 인정받은 영국 정부는 말레이반도의 페낭, 믈라카, 그리고 싱가포르를 한데 묶어 1826년 해협 식민지를 수립했다.

1819년 싱가포르 수립 당시 싱가포르항은 13세기부터 테마섹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져 있었으며, 14세기 중국과 베트남 측 기록에 등장했다.[2][3] 싱가포르항은 자연 항구이자 정착촌이었고, 1822년 필립 잭슨은 래플스타운 계획에 따라 싱가포르항과 그 주변을 재정비하는 사업을 거쳤다.

싱가포르 조약과 초기 식민지 기간은 싱가포르인들에게 여전히 주요 화두로 언급된다. 식민지화가 시작된 것에 비판을 가하는 의견도 있지만, 대부분의 싱가포르인들은 이 시기 영국의 법과 제도가 도입된 이후 싱가포르가 근대 국가로 나아가는데 도움을 주었다고 보고 있다.[4]

역사

[편집]

식민지 이전 시기

[편집]

14세기 싱가포르 섬에는 테마섹으로 알려진 항구이자 정착촌이 있었고, 나중에 싱가푸라 왕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베트남 기록에 따르면 13세기 테마섹과 베트남 사이에 외교 관계가 있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며,[2] 중국 문헌은 14세기에 그곳에 정착촌이 있었음을 설명한다.[3] 14세기에 마자파힛 제국시아미봉신국이었을 가능성이 높다.[5] 14세기 말경, 통치자 파라메스와라는 마자파힛 제국 또는 시암의 공격을 받아 믈라카로 이동하여 믈라카 술탄국을 세웠다.[6]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현재의 포트 캐닝에 있던 주요 정착촌은 이 무렵에 버려졌지만, 소규모 무역 정착촌은 그 후에도 한동안 싱가포르에 남아있었다.[7] 유럽 식민주의 열강은 1511년 포르투갈믈라카 술탄국 정복을 시작으로 16세기에서 19세기 사이에 말레이 군도를 점차 장악했다. 1613년, 포르투갈은 싱가포르강 하구의 무역 정착촌을 불태웠고, 그 후 싱가포르는 200년 동안 이 지역 역사에서 중요성을 잃었다.[8]

싱가포르의 이름은 산스크리트어로 사자의 도시를 의미하는 '싱가 푸라'에서 유래했다. 말레이 연대기에 따르면, 수마트라섬의 왕자 상 닐라 우타마가 테마섹[9]에 상륙하여 말레이어로 '싱가'라고 불리는 사자를 보았다. 그래서 그는 에 '싱가푸라'라는 새 이름을 붙였다.[10]

1819년

[편집]

1818년, 토머스 스탬퍼드 래플스는 벵쿨렌에 있는 식민지의 부총독으로 임명되었다. 래플스는 영국이 이 지역에서 네덜란드의 지배에 도전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믿었다. 중국영국령 인도 사이의 무역로는 말라카 해협을 통과했으며, 영국 정부는 청나라와의 무역이 증가하면서 이 경로는 점차 중요해질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러나 네덜란드는 이 지역의 무역을 엄격하게 통제했으며, 동인도 회사 선박의 독점적인 무역권을 강화하고 무역은 그들의 중계항인 바타비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영국 무역선은 네덜란드 항구에서 높은 세금을 부과받아 이 지역에서 영국의 무역을 억압했다.[11][12]

래플스는 네덜란드에 도전하는 방법을 이 지역에 새로운 항구를 설립하는 것이라고 판단했다. 기존 영국 항구들은 주요 무역 중심지가 되기에는 충분히 전략적인 위치에 있지 않았다. 페낭은 네덜란드가 통제하는 말라카 해협에서 너무 북쪽에 있었고, 벵쿨렌은 주요 무역로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중요성이 훨씬 낮은 지역인 순다 해협 근처의 인도양을 마주하고 있었다.[13]

1818년 래플스는 당시 인도의 총독이자 영국 동인도 회사의 상급자였던 헤이스팅스 경을 설득하여 이 지역에 새로운 영국 기지를 건설하기 위한 탐험 자금을 지원받았지만, 네덜란드를 적대하지 않는다는 조건이 붙었다.[12] 래플스는 말레이 반도의 남쪽 끝에 위치하여 말라카 해협과 가깝고, 훌륭한 자연 항구, 신선한 물 공급, 선박 수리용 목재를 갖추고 있으며, 네덜란드가 아직 점령하지 않은 싱가포르섬을 선택했다.[12]

래플스의 탐험대는 1819년 1월 29일 싱가포르에 도착했다.[14] 그는 싱가포르강 하구에 조호르 술탄을 위해 테멩공 압둘 라만이 이끄는 말레이 정착촌을 발견했다. 테멩공은 원래 1811년에 말레이인들과 함께 조호르에서 싱가포르로 이주했으며, 래플스가 도착했을 때 테멩공의 통치 아래 약 150명의 사람들이 있었는데, 대부분이 말레이인이었고 약 30명의 중국인이 있었다.[15]은 명목상 조호르가 통치했지만, 당시 조호르 술탄의 정치 상황은 위태로웠다. 당시 조호르의 현 술탄인 압둘 라만 무아잠 샤는 네덜란드와 부기스의 통제 아래 있었고, 싱가포르에 영국 기지를 두는 것에 결코 동의하지 않을 것이었다. 그러나 압둘 라만은 그의 형인 후세인 샤가 아버지가 사망했을 때 파항에서 결혼하고 있었기 때문에 술탄이 되었다. 후세인은 당시 리아우 제도에서 망명 생활을 하고 있었다.[16]

싱가포르 조약 체결

[편집]

테멩공의 도움으로 래플스는 조호르의 후세인 술탄을 싱가포르로 몰래 입국시켰다. 그는 후세인을 조호르의 정당한 술탄으로 인정하고 연간 수당을 지급하겠다고 제안했으며, 그 대가로 후세인은 영국 동인도 회사에 싱가포르에 무역 거점을 세울 권리를 부여하기로 했다.[12] 이 합의에 따라 후세인 술탄은 연간 5,000 스페인 달러를, 테멩공은 연간 3,000 스페인 달러를 받게 되었다.[17] 이 합의는 1819년 2월 6일 서명된 싱가포르 조약으로 이어졌다.[18][19] 싱가포르 정부는 이 날을 현대 싱가포르의 공식적인 건국[20]이자 영국 정착지의 시작으로 인정하고 있다.[21]

조약항 수립 이후

[편집]
래플스타운 계획을 수립한 필립 잭슨이 1823년 그린 초기 싱가포르항.[22]

래플스는 조약 체결 다음 날 영국령 벤쿨렌으로 돌아갔고, 윌리엄 파커 소령을 새로운 정착지의 레지던트 겸 사령관으로 남겼으며,[17] 초기에는 일부 포병과 한 개의 인도군 연대가 그를 지원했다. 처음부터 무역항을 건설하는 것은 그 자체로 엄청난 일이었지만, 파커의 행정부는 래플스의 뜻에 따라 자금도 거의 지원받지 못했다. 또한 래플스가 싱가포르를 자유항으로 만들기로 처음부터 결정했기 때문에 항만 세금을 부과하여 수입을 올리는 것도 금지되었다.[12]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식민지는 놀라운 성공을 거두었다. 자유항 소식이 군도 전역에 퍼지면서 부기족, 페라나칸, 아랍 상인들이 네덜란드의 무역 제한을 피하기 위해 섬으로 몰려들었다. 래플스가 1819년에 도착했을 때 싱가포르 전체 인구는 약 천 명으로 추정되었으며, 대부분 다양한 현지 부족들이었다.[23] 1821년까지 섬의 인구는 약 5천 명으로 증가했으며, 무역량은 800만 스페인 달러였다. 1825년에는 인구가 1만 명을 넘어섰고, 무역량은 2,200만 스페인 달러에 달했다.[12]

래플스는 1822년 싱가포르로 돌아왔다. 파커는 어려웠던 초기 몇 년 동안 정착지를 성공적으로 이끌었지만, 래플스는 그가 내린 많은 결정에 비판적이었다. 예를 들어, 파커는 정부에 절실히 필요한 수입을 창출하기 위해 래플스가 사회악으로 여겼던 도박 및 아편 판매 면허를 판매하는 데 의존했다. 래플스는 또한 파커가 용인한 노예 무역에 경악했다.[24] 존 크로퍼드가 파커를 대신해 들어왔다. 래플스는 직접 행정권을 인계받아 정착지를 위한 새로운 정책을 수립하기 시작했다.[25] 래플스는 노예제를 금지하고, 모든 도박장을 폐쇄하며, 무기 소지를 금지하고, 음주와 아편 흡연과 같이 그가 악덕이라고 생각하는 행위를 막기 위해 무거운 세금을 부과했다.[25] 래플스는 식민지의 무질서에 실망하여, 싱가포르 래플스 계획에 따라 싱가포르를 기능적 및 민족적 구획으로 조직하도록 주선했다.[12]

1830년에 출판되었지만 몇 년 전에 그려진 싱가포르 풍경, 배로 가득 찬 바다를 보여준다.

말레이 족장들의 추가 합의는 싱가포르에 대한 그들의 영향력과 통제를 점차 약화시켰다. 1822년 12월, 싱가포르 수입에 대한 말레이 족장들의 주장은 월별 지불로 변경되었다. 1823년 6월 7일, 래플스는 술탄과 테멩궁이 술탄과 테멩궁을 위해 유보된 지역을 제외하고는 그들의 사법권과 토지에 대한 권리를 매각하기 위한 또 다른 합의를 주선했다.[25] 그들은 항만세 징수를 포함하여 섬의 많은 기능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는 대가로 각각 월 1,500 스페인 달러와 800 스페인 달러를 평생 월급으로 받게 되었다.[26] 이 합의로 섬은 "이성, 정의 또는 인류에 어긋나지 않는 한" 말레이 관습, 전통 및 종교적 관행을 고려해야 한다는 단서와 함께 영국 법률의 직접적인 지배를 받게 되었다.[25] 추가 조약인 우호 동맹 조약은 두 번째 레지던트 존 크로퍼드가 말레이 족장들과 만나 1824년 8월 2일에 체결했고, 이 합의는 싱가포르 조약을 대체했다. 싱가포르는 인근 섬들을 포함하여 공식적으로 동인도 회사에 완전히 양도되었고, 그 대가로 족장들은 빚을 탕감받고 평생 수당을 받으며, 각자 20,000 스페인 달러를 추가로 받았다.[27]

존 크로퍼드를 새로운 총독으로 임명한 후, 래플스는 1823년 10월 영국으로 떠났다.[28] 그는 이후 44세의 나이로 1826년 사망했다.

해협 식민지 수립

[편집]

싱가포르가 영국의 영토가 된 것은 두 식민지 세력 간에 말레이 군도를 분할한 1824년 네덜란드-영국 조약으로 확정되었다. 페낭주, 믈라카주, 싱가포르를 포함한 말라카 해협 북부 지역은 영국의 영향권으로 지정되었고, 해협 남부 지역은 네덜란드에 할당되었다.[29] 이 분할은 지역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현대의 말레이시아싱가포르는 이 조약에서 확립된 영국 지역에 해당하며, 현대의 인도네시아는 네덜란드 지역에 해당한다. 1826년, 싱가포르는 페낭, 믈라카와 함께 영국 동인도 회사 산하의 단일 행정 단위인 해협 식민지로 통합되었다.[29]

같이 보기

[편집]

참고

[편집]

내용주

[편집]
  1. 싱가포르 정부가 1819년 싱가포르 조약을 현대 싱가포르의 건국으로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1] 싱가포르 건국 (Founding of Modern Singapore) 또는 싱가포르 수립기(Founding years of Modern Singapore)라는 표현을 많이 쓴다.

각주

[편집]
  1. “Stamford Raffles's landing in Singapore”. 《Singapore Infopedia》. 싱가포르 정부. 2022년 9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 Miksic 2013, 181–182쪽.
  3. Paul Wheatley (1961). 《The Golden Khersonese: Studies in the Historical Geography of the Malay Peninsula before A.D. 1500》. Kuala Lumpur: University of Malaya Press. 82–85쪽. OCLC 504030596. 
  4. “Raffles bicentennial anniversary ruffles Singapore”. 《Asia Times》. 2019년 4월 26일. 2022년 8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5. Miksic 2013, 183–185쪽.
  6. Miksic 2013, 155–163쪽.
  7. Turnbull 2009, 21–22쪽.
  8. “Singapore – Precolonial Era”. U.S. Library of Congress. 18 June 2006에 확인함. 
  9. “Early Names”. www.sg. 2010년 4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0월 1일에 확인함. 
  10. Cornelius-Takahama, Vernon (1999년 11월 26일). “Sang Nila Utama”. National Library Board, Singapore. 2011년 5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0월 1일에 확인함. 
  11. Nor-Afidah Abd Rahman. “The China Trade”. 《Singapore Infopedia》. National Library Board. 2017년 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2. “Singapore – Founding and Early Years”. U.S. Library of Congress. 18 July 2006에 확인함. 
  13. Jean E. Abshire (2011년 3월 21일). 《The History of Singapore》. Greenwood. 37–38쪽. ISBN 978-0-313-37742-6. 
  14. “Raffles' landing in Singapore”. Singapore Infopedia. 6 July 2012에 확인함. 
  15. Saw Swee-Hock (2012년 6월 30일). 《The Population of Singapore》 3판. ISEAS Publishing. 7–8쪽. ISBN 978-981-4380-98-0. 
  16. Turnbull, C. M. (1981). 《A short history of Malaysia, Singapore and Brunei》 Asian판. Singapore: Graham Brash. 97쪽. ISBN 9971-947-06-4. OCLC 10483808. 
  17. “The 1819 Singapore Treaty”. 《Singapore Infopedia》. National Library Board. 
  18. Jenny Ng ( 7 February 1997). “1819 – The February Documents”. 싱가포르 국방부. 6 September 200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8 July 2006에 확인함. 
  19. “History of the courts” (영어). 《Default》. 2023년 2월 7일에 확인함. 
  20. “Stamford Raffles's landing in Singapore”. 《Singapore Infopedia》. 싱가포르 정부. 2022년 9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1. “SINGAPORE TREATY IS SIGNED: 6th Feb 1819”. 《HistorySG》. 싱가포르 정부. 2022년 7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2. Pearson, H. F. (July 1953). 《Singapore from the Sea, June 1823. Notes on a Recently Discovered Sketch attributed to Lt. Phillip Jackson》. 《Journal of the Malayan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26. 43–55쪽. JSTOR 41502903. 
  23. Lily Zubaidah Rahim ( 9 November 2010). 《Singapore in the Malay World: Building and Breaching Regional Bridges》. Taylor & Francis. 24쪽. ISBN 978-1-134-01397-5. 
  24. Turnbull 2009, 41쪽.
  25. Turnbull 2009, 39–41쪽.
  26. Carl A. Trocki (2007년 11월 30일). 《Prince of Pirates: The Temenggongs and the Development of Johor and Singapore, 1784–1885》 2 Revis판. NUS Press. 66쪽. ISBN 978-9971-69-376-3. 
  27. “Treaty of Friendship and Alliance is signed”. 《HistorySG》. National Library Board. 
  28. Bastin, John. "Malayan Portraits: John Crawfurd", in Malaya, vol.3 (December 1954), pp.697–698.
  29. “Signing of the Anglo-Dutch Treaty (Treaty of London) of 1824”. 《HistorySG》. Singapore Government. 2018년 2월 4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