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의약정
보이기
계약법 |
---|
미국의 계약법 |
계약의 성립 |
청약과 승낙 · 우편함의 법칙 · 경상의 원칙 · 청약의 유인 · 확정 청약 · 약인 |
계약 비성립 |
계약체결불능 · 속박 · 부당위압 · 수의약정 · 사기 방지법 · 내 서명이 아님 |
계약의 해석 |
구두증거의 법칙 · 부합계약 · 통합조항 · 작성자 불이익의 원칙 |
불이행 요건 |
착오 · 부실표시 · 계약목적의 달성불능 · 이행불능 · 이행곤란성 · 불법성 · 더러운 손 · 비양심성 · 대물변제 |
제3자의 권리 |
계약당사자주의 · 채권양도 · 위임 · 갱신 · 제3자 수혜자 |
계약 파기 |
이행기 도래전의 이행거절 · 커버 · 제외조항 · 효율적 계약파기 · 근본적 위반 |
구제책 |
강제이행 · 확정적 손해배상 · 징벌적 손해배상 · 해제 |
준 계약적 의무 |
금반언 · 일한 만큼의 가치 |
하부 영역 |
법간의 충돌 · 상법 |
다른 미국법 영역 |
불법행위법 · 재산법 · 유언신탁법 · 형법 · 증거법 |
수의약정(illusory promise)란 실질적 구속력이 없는 약속 혹은 계약을 말한다. 계약내용이 이행자에게 이행을 하고 안할 수 있는 선택을 가능케 하여 이행이 법적구속력을 가지지 않는 경우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갑이 을에게 위키백과에 자신이 원하는 만큼 기부를 하기로 계약을 하고 대가로 을은 갑에게 마우스를 제공한다면 이는 수의약정에 해당된다. 왜냐하면 "원하는 만큼"은 구체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같이 보기
[편집]참고 문헌
[편집]- 영미법 - 개정판 이상윤 박영사, 2000. ISBN 89-10-45160-2
외부 링크
[편집]White's Law Dictionary[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이 글은 법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