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토론:Braveattack
새 주제이곳은 사용자 Braveattack에게 의견을 남길 수 있는 토론 문서입니다. | |
---|---|
|
되돌림
[편집] 안녕하세요, Braveattack님!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귀하께서 위키백과에 해 주신 편집은 문제가 있어서 문서를 편집하시기 전의 상태로 되돌렸습니다.
이전의 편집 내용을 다시 한번 확인해 주세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위키백과 도움말을 참고하시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질문해 주시면 됩니다. 연습이나 실험은 연습장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2001:E60:9258:C608:80B5:47A4:3403:5EBC (토론) 2024년 9월 23일 (월) 20:50 (KST)
- 당신이나 문서 훼손하지마십쇼 Braveattack (토론) 2024년 9월 23일 (월) 21:20 (KST)
- 차단하였습니다. --
ginaan (˵⚈ε⚈˵)★ 2024년 9월 23일 (월) 21:26 (KST)
한강 작가에 대해
[편집]안녕하세요 김대중 2번 언급 자제바랍니다 개요 부문에 언급있습니다.한작가 (토론) 2024년 10월 10일 (목) 21:52 (KST)
- 개요에 언급되는 건 본문에도 있어야 합니다. 개요 부분은 본문의 내용을 한 번에 파악하기 위해 축약해놓은 거지 별개의 서술이 아닙니다. Braveattack (토론) 2024년 10월 10일 (목) 21:53 (KST)
- 편집은 감사합니다. 그러나 작가 본인의 포커스에만 맞는 편집 부탁드립니다.한작가 (토론) 2024년 10월 10일 (목) 21:54 (KST)
- 그리고 계속 광주광역시로 바꾸시는 데 한강이 태어난 1970년에는 광역시라는 게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Braveattack (토론) 2024년 10월 10일 (목) 21:54 (KST)
- 네 그 부분은 수정해놓겠습니다.한작가 (토론) 2024년 10월 10일 (목) 21:54 (KST)
- 그리고 광주시로 직접 링크해버리면 광주시 동음의이어로 넘어가 버립니다. Braveattack (토론) 2024년 10월 10일 (목) 22:13 (KST)
- 2024년 10월 10일 (목) 21:55 부문으로 맞췄습니다. 손대실 부분이 없다고 봅니다.한작가 (토론) 2024년 10월 10일 (목) 21:56 (KST)
- 왜 저를 사용자 관리 요청에 등록하셨습니까? Braveattack (토론) 2024년 10월 10일 (목) 22:10 (KST)
- 네 그 부분은 수정해놓겠습니다.한작가 (토론) 2024년 10월 10일 (목) 21:54 (KST)
감사드립니다.
[편집]![]() |
표창장 |
님피아 문서에서 똥태훈의 심각한 반달 행위를 되돌려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세젤귀 님피아♡🎀 2024년 10월 15일 (화) 12:12 (KST)
위키백과:광둥어의 한글 표기 지침 승격에 관해
[편집]안녕하세요 Braveattack님, 노랑거북입니다. 일전에 밥풀떼기님과 편집 충돌이 있으셨던 홍콩 출신 인물들에 관해 위키백과:광둥어의 한글 표기가 위키백과 공동체의 동의를 받아 정식 지침으로 승격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향후 홍콩인들의 문서 편집 시 참조해주시기 바라며, 혹 해당 지침에 관해 궁금하신 부분이 있을 경우 밥풀떼기님께 문의를 드려보시는 것을 제안드립니다. 감사합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4년 10월 15일 (화) 22:39 (KST)
원어 표기 관련
[편집]안녕하세요!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늘 좋은 기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스포츠 시설 관련 문서에서 편집 활동에 참고하실 수 있도록 안내 말씀드려요. 스포츠 시설에서 원어 표기는 해당 시설에 대한 소유주체나 명명권자가 본디 명명한 고유 명칭을 표기하고 있습니다. 그 명칭은 해당 시설이 있는 곳의 공용어가 될 수도 있고, 공용어가 아닌 다른 언어가 될 수도 있고, 2개 이상의 언어가 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월드컵경기장의 경우, 명명권자에 의해 한국어 명칭은 "서울월드컵경기장"로 정해지고, 영어 명칭은 "Seoul World Cup Stadium"로 정해졌기 때문에, 해당 문서에서 두 명칭을 표기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Seoul World Cup Stadium"은 '서울월드컵경기장'의 단순한 영어 번역 명칭이 아니라 명명권자에 의해 정해진 고유명사이므로 원어 정보에 표기하고 있고, 반면 프랑스어 표기인 "Stade de la Coupe du monde de Séoul"은 명명권자에 의해 정해진 명칭이 아니므로 원어 정보로 표기하지 않고 있습니다. 즉, 원어 정보에서는 해당 지역의 공용어 여부와 상관 없이, 소유주체나 명명권자에 의해 명명된 고유 명칭이 있을 경우 표기하는 항목으로 이해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Min's (토론) 2024년 10월 24일 (목) 16:27 (KST)
- 그럼 원어 표기가 아니라 영문명으로 바꿔야 하는 게 아닌지요? 애초에 원어의 뜻이 본디 말이니까요 명명권자가 정한 건 영문명이지 원어로 볼 수 없다고 봅니다. Braveattack (토론) 2024년 10월 24일 (목) 16:31 (KST)
- 모든 명명권자가 반드시 영어 명칭을 명명하는 것은 아니기도 하고, 영어 외에도 다른 언어로 명칭을 명명할 수도 있기 때문에, 해당 틀의 변수 명칭을 '영문명'으로 변경하는 것은 영어 외 다른 언어 매개변수 값을 입력하는 것에 대한 불필요한 오해를 줄 것 같습니다. 시설 명칭은 고유명사라서 명명권자가 명칭을 정하기 나름일텐데, 명명권자가 '영어 명칭'을 정하면 원어로 불 수 없다는 말씀이 정확히 어떤 의미이신지 잘 이해가 되지 않는데 자세히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 Min's (토론) 2024년 10월 24일 (목) 17:28 (KST)
- 말 그대로 영문 표기는 원어 표기가 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원어의 뜻이 "본디 말"이죠. 명명권자가 정한 영어 명칭은 공식 명칭 중 하나이지 원어가 아니라는 뜻입니다. Braveattack (토론) 2024년 10월 24일 (목) 17:43 (KST)
- 명명권자가 본디 그렇게 영어 명칭을 정했으니 본디말이고 그것이 곧 공식 명칭일텐데, '공식 명칭 중 하나'이지만 '원어가 아니다'라는 말씀이 잘 이해가 되지 않아서요. 혹시 해당 명칭의 어원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이신가요? GS챔피언스파크를 예로 들자면 어원을 고려하여 한국어 '지에스챔피언스파크'는 어원 표기에 해당하지 않고, 영어 'GS Champions Park'만이 어원 표기에 해당한다는 의견이실까요? 예시를 들어주신다면 Braveattack 님의 의견을 이해하는 데 좀 더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Min's (토론) 2024년 10월 24일 (목) 17:53 (KST)
- 일단 대한민국의 공용어가 영어가 아니라는 것은 잘 알고 계실겁니다. 원어(原語)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봐도 "번역하거나 고친 말의 본디 말"로 나와 있지 공식 명칭을 뜻한다고 하진 않습니다. 즉 "원어 표기는 공식 명칭을 뜻하는 게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영문 표기를 삽입하시려면 틀:공항 정보처럼 틀에 영문명 변수를 추가해야 될 일이지 원어 변수에 영문 표기를 삽입하는 것은 오류라고 생각합니다. Braveattack (토론) 2024년 10월 24일 (목) 18:11 (KST)
- 명명권자가 본디 그렇게 영어 명칭을 정했으니 본디말이고 그것이 곧 공식 명칭일텐데, '공식 명칭 중 하나'이지만 '원어가 아니다'라는 말씀이 잘 이해가 되지 않아서요. 혹시 해당 명칭의 어원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이신가요? GS챔피언스파크를 예로 들자면 어원을 고려하여 한국어 '지에스챔피언스파크'는 어원 표기에 해당하지 않고, 영어 'GS Champions Park'만이 어원 표기에 해당한다는 의견이실까요? 예시를 들어주신다면 Braveattack 님의 의견을 이해하는 데 좀 더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Min's (토론) 2024년 10월 24일 (목) 17:53 (KST)
- 말 그대로 영문 표기는 원어 표기가 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원어의 뜻이 "본디 말"이죠. 명명권자가 정한 영어 명칭은 공식 명칭 중 하나이지 원어가 아니라는 뜻입니다. Braveattack (토론) 2024년 10월 24일 (목) 17:43 (KST)
- 모든 명명권자가 반드시 영어 명칭을 명명하는 것은 아니기도 하고, 영어 외에도 다른 언어로 명칭을 명명할 수도 있기 때문에, 해당 틀의 변수 명칭을 '영문명'으로 변경하는 것은 영어 외 다른 언어 매개변수 값을 입력하는 것에 대한 불필요한 오해를 줄 것 같습니다. 시설 명칭은 고유명사라서 명명권자가 명칭을 정하기 나름일텐데, 명명권자가 '영어 명칭'을 정하면 원어로 불 수 없다는 말씀이 정확히 어떤 의미이신지 잘 이해가 되지 않는데 자세히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 Min's (토론) 2024년 10월 24일 (목) 17:28 (KST)
- 말씀하신 것처럼 '번역하거나 고친 말의 본디 말'이기 때문에, 고치지 않은 본디 정해진 명칭을 표기하는 항목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또한 '원어'라는 말은 공용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공용어 여부와는 상관이 없는 항목이라고 생각합니다. 스포츠 시설의 경우엔 그 명칭을 소유주체나 명명권자가 정하고 있고, 그것을 공식 명칭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프랑스어 fr:Stade de la Coupe du monde de Séoul는 명명권자가 명명한 시설 명칭 중 영어 "Seoul World Cup Stadium"을 '번역하거나 고친 말'이기 때문에 "Seoul World Cup Stadium"이 '번역하거나 고친 말의 본디 말'이 됩니다. '원어'라는 낱말 자체에 "공식 명칭"이라는 뜻이 담겨있음을 말씀드리려는 것이 아니라, '공식 명칭'을 통해 명명권자에 의해 명명된 본디 명칭을 확인할 수 있음을 말씀드리려는 부분이었습니다.
- 만약 '원어'라는 표현이 낯설거나 적절치 않다고 생각하신다면, 혹시 변수 명칭으로서 좀 더 좋은 낱말이 무엇이 있을지 견해를 여쭤봐도 될까요? 항공 관련 분야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항공 관련 분야에서는 모든 의사소통이 영어로 이뤄지도록 되어 있고 관련 기구와 학문 분야에서 영어가 상당히 중요시되고 표준으로 통용되기 때문에, 학문적 특성을 고려하여 영문명을 표기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설령 명명권자가 해당 공항 시설에 영어 명칭을 명명하지 않았더라도 관련 국제 기구에 등록된 영어 명칭을 표시할 수 있는 항목입니다. 반면, 스포츠 시설의 경우 영어 명칭 명명이 의무화되어 있지 않고, 관련 기구나 단체에서도 영어 사용을 강요하는 분야가 아닙니다. 실제로 스타드 드 프랑스나 에스타디 올림픽 류이스 쿰파니스처럼 명명권자가 영어 명칭을 명명하지 않는 경우나 영어 외 다른 언어로 명명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제안하신 '영문명'이나 '영어명칭'은 변수 명칭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원어 외 다른 대안을 고민하신다면, 명명권자가 정한 본딧말을 나타내는 항목으로 사용될 변수명은 무엇이 좋을지 고민해보면 좋겠습니다. -- Min's (토론) 2024년 10월 24일 (목) 18:47 (KST)
- 원어민이라는 표현을 봐도 원어는 공용어에 거의 준하는 말로 생각합니다. 한국은 영어권이 아니니까 명명권자가 정한 영어 표기는 오히려 번역에 가깝지 않나요? Braveattack (토론) 2024년 10월 24일 (목) 18:58 (KST)
- 원어민은 공용어를 사용하는 사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을 의미하기 때문에 공용어와는 무관한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찌아찌아어처럼 해당 언어가 공용어가 아닌 지역에 원어민이 다수 거주하고 있는 경우도 있고요.
- 명명권자가 공용어 외 다른 언어의 명칭을 정하는 것은 단순히 번역하는 행위가 아니라 명명권자로서 고유한 권리를 행사하는 행위이고, 본래의 명칭을 스스로 결정하는 행위입니다. 흔히 '경기장'을 'stadium'으로 많이 번역함에도 불구하고, 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처럼 스타디움 수준으로 국제 경기를 개최할 수 있는 시설에 대해 명명권자가 의도적으로 명명한 영어 명칭은 '~ stadium'이 아니라 '~ field'이고, 무주T1경기장의 '경기장' 부분에 대해 명명권자는 'Arena'라고 영어 명칭을 명명했습니다. 평창알펜시아스키점프센터에서의 '센터' 부분은 한국어권에서 흔히 표기하는 영어 명칭인 미국식 영어 'Center'가 아니라 영국식 영어 'Centre'로 명명했고요.
- 심지어 비공용어로 '번역'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공용어가 아닌 외국어 명칭을 정하고 그것을 공용어 문자로 표기한 것을 공용어 명칭으로 정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위에서 예시로 든 GS챔피언스파크의 경우처럼 '영어 명칭'으로 번역한 것이 아니라 영어 명칭을 한글로 표기한 것이 가까운 경우도 있고, 특히 장성옐로우시티스타디움, 고척스카이돔, 창원NC파크, 대전베이스볼드림파크처럼 최근에 지어지는 시설물은 지명 부분을 제외하면 영어 명칭을 한글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은 상황입니다. 비한국어권 지역까지 고려하면 훨씬 더 많고요.
- 아무래도 공용어 여부와 연관지어 고려하다보니 번역 여부를 고려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원어라는 말 자체는 공용어 여부와는 상관없고, 다른 언어로 번역되거나 고치기 전, 해당 시설물에 대해 공식적으로 명명된 본딧말을 표기하는 항목으로 이해하는 것이 독자에게 이로울 것 같습니다. 해당 지역의 공용어를 표기하는 것이 필요하다면 공용어에 관한 변수를 생성하는 것도 고려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 Min's (토론) 2024년 10월 24일 (목) 20:14 (KST)
Request
[편집]Hello @Braveattack, a user requested a long time ago to delete my draft, after examining the explanation I concluded that the request was not valid, but as you know I cannot remove the request since I am the creator of the draft, but since no one has checked to make a decision to delete my draft or not, can you please take a look ? Seo-Yun32 (토론) 2024년 11월 6일 (수) 22:35 (KST)
특수:차이/38167796에 문서의 복붙식 이동이 발견되었음으로, 백:점검 면제자 권한을 회수하였습니다.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별 의미 없는 권한이라 염려는 하지 마시되, 점검 권한을 사용하는 관리자 분들을 위해 회수의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Takipoint123 (💬) 2024년 11월 16일 (토) 13:59 (KST)
- 이의를 제기합니다. 저건 제가 문서명을 옮기고 문서를 편집하는 도중 편집 도중 노랑거북 사용자가 문서명을 이동시켜서 편집 충돌이 일어나 부득이하게 복붙식 이동이 일어난겁니다. 전 문서를 보강하던 중이었기 때문에 노랑거북 사용자가 문서명을 이동시킨 것을 인지하지 못했습니다.
나름 위키백과 생활을 하면서 점검 면제자 권한을 부여받은 것은 나름 위키백과 편집에 얼마안되는 보람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문서 반달도 아니고 기계적 오류로 인한 상황으로 일어난 일에 대해 권한을 회수하는 것은 지나친 처사라고 생각합니다.-- Braveattack (토론) 2024년 11월 16일 (토) 19:18 (KST)
- 일단 성급한 처리에 사과 드립니다. 한국어 위키백과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권한이라 별 생각 없이 회수한 점도 있었습니다.
- 이동 중의 편집 오류는 처음 봐서 기술적 오류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잊고 있었습니다. 이의 제기 이후 영어 위키백과에서 아는 관리자 분들과 소통한 결과, 이런 기술적 오류가 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이는 명백한 저의 판단 미스이며 이에 대해 사과 드립니다.
- 이와 별개로 다음에 이런 오해를 피하시려면 몇가지 유의 사항을 지켜주시면 좋겠습니다.
- 1.편집 분쟁 중에는 주로 편집 충돌 경고가 뜹니다. 다음부터는 편집 충돌 경고에 유의해주세요. 편집 충돌이 일어날시 문서를 저장하기 전에 한번 확인을 해주시면 이런 오해를 피할 수 있습니다.
- 2.특별히 일괄 되돌리기는 편집 요약을 남기지 않기 때문에, 선의의 편집이었는지 아니였는지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다음부터 편집 요약을 남겨주시면 (예: 편집 충돌이 저장됨. 되돌림)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일단 다시 한번 사과드리며, 권한은 다시 돌려 드렸습니다. Takipoint123 (💬) 2024년 11월 17일 (일) 02:53 (KST)
- 조언 감사드립니다. 이의를 받아들여주신 점 깊이 감사드립니다. Braveattack (토론) 2024년 11월 17일 (일) 02:56 (KST)
올해의 위키인 관리·정비 부문 후보
[편집]![]() |
올해의 위키인 후보 |
Braveattack님께서는 2024년 올해의 위키인의 관리·정비 부문 후보로 추천되셨기에 이 반스타를 드립니다. 올 한 해 동안 위키미디어 프로젝트를 위해 열심히 활동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내년에도 많은 활약 기대하겠습니다. --이강철 (WMKR) (토론) 2024년 12월 10일 (화) 13:01 (KST) |
올해의 위키인 격려상 증정 안내
[편집]Braveattack님은 2024년 올해의 위키인 관리·정비 부문에서 10표 이상을 득표하였기 때문에 격려상으로 문화상품권 5만원 상당이 증정될 예정입니다. 이강철 (WMKR) (토론) 2024년 12월 10일 (화) 13:09 (KST)
이메일 받기 활성화 요청
[편집]올해의 위키인 격려상 증정은 위키백과 계정에 연결된 이메일을 통해 진행됩니다. 아래의 링크를 참고하셔서 2주 이내에 이메일 받기 기능을 활성화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강철 (WMKR) (토론) 2024년 12월 10일 (화) 13:13 (KST)
바트주의 시리아
[편집]바트주의 시리아 문서를 현재 시리아 아랍 공화국으로 옮기는 토론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문서 생성자라서 알림을 드립니다. Yelena Belova (토론) 2024년 12월 19일 (목) 08:01 (KST)
리카이얼
[편집]해당 인물의 문서 토론란에 해당 인물의 문서 제목이 왜 '리카이얼'로 되는 것이 더 적절한지에 관해 근거들을 남겼습니다.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법적 이름만이 아닌 국제 농구 연맹의 데이터베이스도 전반적으로 확인하였음을 알려드리는 바입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5년 1월 6일 (월) 01:15 (KST)
- 귀화인들의 법적 이름을 표제어로 삼아야 한다는 강제 규정도 없을 뿐더러 사실상 모든 언어판의 해당 문서 제목이 카일 앤더슨을 삼고 있습니다. 리카이얼이라는 이름으로 출전한 대회/경기도 2023년 월드컵 한 대회이니 통용 표기에서도 벗어난 이름입니다. 프로 선수로 활동하는 이름을 표제어로 삼아야함이 마땅합니다. Braveattack (토론) 2025년 1월 6일 (월) 01:24 (KST)
- 현재 중국어판 위키백과에서는 :zh:Talk:凯尔·安德森에서 해당 문서의 제목을 변경하는 것에 관해 이동 요청이 들어간 상황입니다. 중국어권에서는 '리카이얼'이 통용적으로 사용되는 점을 고려한다면 해당 위키백과에서는 문서 제목이 변경될 것으로 보입니다. 프로 선수로 활동하며 리그에서 사용하는 이름(등록명)을 일괄적으로 문서 제목으로 삼을 경우 다른 스포츠 분야 문서들의 경우이긴 하지만 K리그, KBO 리그, V리그 등 각 리그에서 본명보다는 등록명을 사용하는 선수들의 모든 문서 제목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어 등록명을 문서 제목으로 적용하는 부분에 관해서는 신중하게 접근하고자 합니다.(개인적으로는 웨스 벤저민에서의 일 때문에 부정적이긴 합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5년 1월 6일 (월) 01:30 (KST)
- 중국어 위키백과의 문서 이동 요청이 승인되어 해당 문서 제목이 '카일 앤더슨'에서 '리카이얼'로 변경되었습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5년 1월 6일 (월) 17:50 (KST)
- 현재 중국어판 위키백과에서는 :zh:Talk:凯尔·安德森에서 해당 문서의 제목을 변경하는 것에 관해 이동 요청이 들어간 상황입니다. 중국어권에서는 '리카이얼'이 통용적으로 사용되는 점을 고려한다면 해당 위키백과에서는 문서 제목이 변경될 것으로 보입니다. 프로 선수로 활동하며 리그에서 사용하는 이름(등록명)을 일괄적으로 문서 제목으로 삼을 경우 다른 스포츠 분야 문서들의 경우이긴 하지만 K리그, KBO 리그, V리그 등 각 리그에서 본명보다는 등록명을 사용하는 선수들의 모든 문서 제목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어 등록명을 문서 제목으로 적용하는 부분에 관해서는 신중하게 접근하고자 합니다.(개인적으로는 웨스 벤저민에서의 일 때문에 부정적이긴 합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5년 1월 6일 (월) 01:30 (KST)
과거 소비에트 연방 산하 구성국 출신 인물들의 이름
[편집]안녕하세요. 평소 편집 방식을 보면서 한 가지 궁금했던 부분이 있어 질문을 드립니다. 과거 소비에트 연방 산하 구성국(특히 중앙아시아) 출신 인물들의 문서 제목을 설정할 때 몇몇 인물들은 러시아어 이름을, 몇몇 인물들은 키르기스스탄어, 아제르바이잔어, 조지아어 등 현지어식 이름을 사용하고 계신데 그 기준이 있나요? --YellowTurtle9 (토론) 2025년 1월 11일 (토) 19:32 (KST)
- 일단 러시아어가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는 러시아 외의 국가들의 인명과 러시아어가 준공용어로 지정된 우즈베키스탄의 인명은 러시아어로 쓰고 있습니다. 이러한 곳의 인명들이 대부분 자국 민족어어보다 러시아어로 널리 알려진 것도 있고 민족어의 한글 표기법이 외래어 표기법으로 지정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강제로 음운을 분석한 표기법을 정하여 표기를 해도 흔히 알려진 러시아어식 표기와는 동떨어진 경우가 많아 러시아어 표기를 우선시 하되 해당 민족어의 병행 표기를 하고 있습니다. Braveattack (토론) 2025년 1월 13일 (월) 16:21 (KST)
- 그렇군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5년 1월 13일 (월) 22:18 (KST)
- 아 그런데 벨라루스 출신 인물들이라면 일부는 벨로루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러시아어를 배우고 벨라루스 독립 이후에도 그대로 러시아의 정체성을 가지고 살아가는 인물도 있겠지만 1991년 이후 벨라루스라는 러시아와는 다른 나라에서 태어나 벨라루스어라는 러시아어와는 다른 그들 고유의 언어를 배우고 살아가는 인물들도 있을 것인데 혹시 벨라루스 사람들의 이름을 일부는 러시아어를, 일부는 벨라루스어를 우선시하는 그 기준이 있을까요? --YellowTurtle9 (토론) 2025년 1월 22일 (수) 03:21 (KST)
- 전 독일어 위키백과와 폴란드어 위키백과처럼 벨라루스인들의 인명을 일괄적으로 벨라루스어식으로 표기하는 것을 선호하지만 현재는 블라디미르 삼소노프 문서에서 제기된 의견에 따라 영문명을 기준으로 벨라루스어식으로 쓸지 러시아어식로 쓸지 선택하고 있습니다. Braveattack (토론) 2025년 1월 22일 (수) 09:24 (KST)
- 어려운 문제이긴 합니다. 벨라루스인들의 경우 알략산드르 흘레프처럼 벨라루스어식 이름을 완전히 받아들인 인물도 있지만 삼소노프, 알렉산드르 루카셴코처럼 러시아어식 이름을 전면부에 내세우는 인물도 있고 국립국어원에서도 러시아어식 이름으로 벨라루스인들의 이름을 심의한 예시들이 있어서 일괄적으로 접근하기에는 좀 어려운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 사실 말씀해주신 영문명을 기준으로 접근하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없지는 않은게 흘레프의 경우 영미권에서는 알략산드르를 영어식으로 변환한 '알렉산더'를 사용해왔고 그래서 영문명으로는 'Aliaksandr Hleb'보다는 'Alexander Hleb'으로 알려져 있긴 합니다. 또한 대한민국과 마찬가지로 영미권에서는 벨라루스를 포함하여 구소련 연방 구성국 출신 인물들의 이름을 러시아어식 표기로 해석해왔기에 벨라루스인들의 문서명을 보시면 대체로 벨라루스어보다는 러시아어를 기반으로 러시아어 로마자 표기법을 따라 문서 제목을 설정한 경우들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독일어, 폴란드어 위키백과를 포함하여 모국인 벨라루스어 위키백과의 경우 일전에 삼소노프에서도 언급드린 바 있지만 벨라루어식 표기 '울라지미르 삼소나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접근할 지는 편집 지침이라거나 광둥어 표기법처럼 비슷한 문서를 만들고 그쪽에서 더 논의를 해보아야 되겠습니다.
- 다만 현재 벨라루스인들의 문서를 보면 백:편집 지침과 상충하는 부분이 하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한국어로 번역된 인물의 이름 옆에 오는 Llang틀 속 원어는 해당 이름의 원어 이름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표준인데(비록 지침, 정책에서는 직접적으로 언급되어 있지 않습니다만) 벨라루스인들의 이름은 러시아어 번역 한국어 이름 바로 옆에 해당 이름과 맞지 않은 벨라루스어 이름과 Llang틀에 사용되는 한국어 표기 이름이 오고 있어 지침에 충돌하는 부분도 있지만 정보 전달의 직관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습니다.
- 샤르헤이 슌지카우처럼 벨라루스어 기반으로 문서 제목이 정해진 인물의 이름은 문제가 없는데 나티크 바기로프처럼 러시아어식 이름을 기반으로 문서 제목이 만들어진 경우
나티크 나디로비치 바기로프(벨라루스어: Націк Надіравіч Багіраў 나치크 나디라비치 바히라우, 러시아어: На́тик Нади́рович Баги́ров)
- 전 독일어 위키백과와 폴란드어 위키백과처럼 벨라루스인들의 인명을 일괄적으로 벨라루스어식으로 표기하는 것을 선호하지만 현재는 블라디미르 삼소노프 문서에서 제기된 의견에 따라 영문명을 기준으로 벨라루스어식으로 쓸지 러시아어식로 쓸지 선택하고 있습니다. Braveattack (토론) 2025년 1월 22일 (수) 09:24 (KST)
- 를 예시로 들면 편집 지침대로라면 "나티크 나디로비치 바기로프"가 "Націк Надіравіч Багіраў"와 연결되어 버립니다. 그래서 문서 편집 문법을 직접 확인하지 않는 이상 "나치크 나디라비치 바히라우"와 뒤에 따라오는 "На́тик Нади́рович Баги́ров"는 붕 떠버리는 문제가 발생하며 러시아어, 벨라루스어를 잘 아는 분들이라면 몰라도 러시아어, 벨라루스어를 잘 모르는 분들의 경우 "나치크 나디라비치 바히라우", "На́тик Нади́рович Баги́ров"는 그래서 뭐야라는 반응이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이건 개인적인 생각인지 모르겠지만 동슬라브 사람들의 이름은 부칭 또한 가지고 있다보니 첫 문장이 지나치게 길어지는 문제 또한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다른 국가 출신 인물이긴 하지만 아브두코디르 후사노프 문서를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이러한 해석 상의 혼동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해당 문서의 인물 이름이 러시아어를 기반으로 정해져 있음을 직관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그리고 백:편집 지침, 모하메드 살라부터 있었던 저와 Braveattack님과의 논의에 일정 부분 부합하기 위해 러시아어를 기반으로 문서 제목이 정해진 벨라루스인들의 경우
나티크 나디로비치 바기로프(러시아어: На́тик Нади́рович Баги́ров), 또는 나치크 나디라비치 바히라우(벨라루스어: Націк Надіравіч Багіраў)
- 같은 방식으로 첫 문장을 작성하는 것이 괜찮다고 사료되는데 혹시 이 부분에 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의견을 여쭙습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5년 1월 23일 (목) 02:30 (KST)
- 결론만 말하면 너무 지나치게 규칙을 세분화하는 것 같습니다. 솔직히 제 입장에선 "붕 떠버리는 문제"가 뭔지도 모르겠구요. 왜 해석 상의 혼동이 오는 지조차도 제 입장에선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원어 이름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표준이라는 것도 지침에 직접적으로 나와있지 않기 때문에 강제되어야할 규정인지도 의문입니다. 이렇게 얽매이는 규정만 계속 도출하게 되면 오히려 편집에 제약이 생기면서 위키백과의 발전이 더디게 된다고 봅니다.--Braveattack (토론) 2025년 1월 23일 (목) 04:13 (KST)
- Braveattack님께서는 주로 벨라루스인들의 이름에 관해 이러한 방식을 주로 활용해오셨다보니 현안이 충분히 익숙하시어 이렇게 답변하신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러나 저를 포함하여 이러한 편집 방식에 관해 익숙하지 않은 제3의 사용자들에게는 충분히 의문이 들 수 밖에 없습니다.
- 누구는 벨라루스어, 누구는 러시아어 이름으로 문서 제목이 만들어지지만 그 이유조차 기술되어 있지 않습니다. 특히 한국어 위키백과를 포함하여 여러 위키백과에서 개요 첫 문단에서는 일반적으로 강조체 전체 이름과 Llang속 원어 표기가 같이 연결되어 왔다는 것을 생각해본다면 그것이 지침에 직접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아도 러시아어를 기반으로 설정된 벨라루스인들의 이름은 현안으로 보았을 때 직관성이 많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Націк Надіравіч Багіраў"는 "나티크 나디로비치 바기로프"에 걸리는지 아니면 "나치크 나디라비치 바히라우"에 걸리는지 문서만으로는 판단이 어렵죠.
- 더욱이 영문명만을 기준으로 접근하기에는 알렉산드르 루카셴코는 영어권에서 '알렉산드르/알략산드르'가 아닌 "Alexander Lukashenko(알렉산더 루카셴코)'로 사용되고 있고 벨라루스에서 공용어가 아닌 영어를 기반으로 벨라루스인들의 이름을 파악하기에는 부족한 부분이 있습니다. 대부분 벨라루스 사람들의 경우 벨라루스어보다는 영위백의 관례를 따라 러시아어 이름을 따라가고 있죠.
- 벨라루스어와 러시아어의 관계, 벨라루스어 이름에 관해 조사를 했습니다. 벨라루스는 1991년 해방 이후 벨라루스어의 사용을 장려하는 정책을 추진해왔지만 우크라이나와 달리 대중들이 러시아어에 더 친숙함을 느끼고 있었고 러시아어 동화 정책을 지지하던 루카셴코가 대통령이 된 후 벨라루스어와 러시아어가 모두 공용어로 지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벨라루스어는 러시아어보다 1단계 낮은 언어로 취급된 채 일반적으로 러시아어가 주류 언어로 사용되어 왔다고 합니다.
- 이런 결과로 벨라루스어를 모어로 인식하는 벨라루스인들은 상당수이지만 2009년 조사에서 국민의 72%가 러시아어를 사용하며 벨라루스어는 11.9%밖에 사용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더욱이 벨라루스어가 반루카셴코파들과 얽히면서 공문서를 비롯한 공적 영역에서는 러시아어만 사용되고 있고 벨라루스어에 대한 교육 체계는 러시아어에 비해 방치, 쇠퇴하고 있다고 합니다. 현재는 정치인들과 공적 영역에서는 러시아어가 우세, 스포츠 선수들에게서는 벨라루스어 사용이 우세하다고 합니다. 한나 후스코바에 관련된 글도 읽어보심 좋을 것 같습니다.
- 복잡한 정책, 지침이라고만 생각하기에는 일부만 아는 기법으로 관례적으로, 모호한 영역으로 설정되어 왔던 벨라루스인들의 위키백과 문서와 향후 벨라루스인들의 문서를 만들 때 이름 설정을 어떻게 해야 되는지 그 방식을 어느 정도 체계 속에 정리해야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좀 시간이 걸리긴 하겠지만 백:광둥어처럼 백:벨라루스어를 한 번 만들어 보겠습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02:59 (KST)
의견 너무 어렵게 접근하시는 것 같은데요. 그리고 이 의견부터는 사랑방에서 공개적으로 의논할 수 있는 부분으로, 단순히 Braveattack님께 여쭤 본다고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닌 듯 싶습니다. --Jeebeen (토론) 2025년 1월 24일 (금) 03:37 (KST)
- 알겠습니다. 해당 논의에 관심을 가지고 참여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YellowTurtle9 (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01:07 (KST)
- 결론만 말하면 너무 지나치게 규칙을 세분화하는 것 같습니다. 솔직히 제 입장에선 "붕 떠버리는 문제"가 뭔지도 모르겠구요. 왜 해석 상의 혼동이 오는 지조차도 제 입장에선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원어 이름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표준이라는 것도 지침에 직접적으로 나와있지 않기 때문에 강제되어야할 규정인지도 의문입니다. 이렇게 얽매이는 규정만 계속 도출하게 되면 오히려 편집에 제약이 생기면서 위키백과의 발전이 더디게 된다고 봅니다.--Braveattack (토론) 2025년 1월 23일 (목) 04:13 (KST)
삭제 신청 알림
[편집] Braveattack님!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베이징시 출신 스포츠인 문서는 위키백과에 어울리지 않거나, 빠른 삭제 기준에 해당한 것으로 보여 삭제가 신청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 위 문서에 삭제가 신청된 이유는 “백:R2 때문”입니다.
삭제 신청 이유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신다면, 문서 상단에 {{삭제 신청 이의}}를 추가하시고, 해당 문서의 편집 역사를 확인하여, 삭제를 신청한 사람과 토론해 주세요. 토론이 잘 해결되지 않는다면, 다른 편집자들도 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삭제 토론을 하실 수도 있습니다.
위키백과를 편집할 때 궁금한 점이 있다면 소개나 사용법을 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혹시 편집하실 때 연습할 공간이 필요하시면, 연습장을 우선 이용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이미 삭제된 문서의 내용이 필요하시면 위키백과:문서 관리 요청을 통해 다른 공간으로 내용 복구를 요청하시거나, 이메일을 통해 삭제되기 전의 내용 발송을 요청하실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다면 다른 사용자에게 질문하실 수도 있습니다. ⸺ RdxxeR (토론) 2025년 1월 25일 (토) 15:29 (KST)
Thank you for being a medical contributors!
[편집]![]() |
The 2024 Cure Award |
In 2024 you were one of the top medical editors in your language. Thank you from Wiki Project Med for helping bring free, complete, accurate, up-to-date health information to the public. We really appreciate you and the vital work you do!
Wiki Project Med Foundation is a thematic organization whose mission is to improve our health content. Consider joining for 2025, there are no associated costs. Additionally one of our primary efforts revolves around translating health content. We invite you to try our new workflow if you have not already. Our dashboard automatically collects statistics of your efforts and we are working on tools to automatically improve formating. |
Thanks again :-) -- Doc James along with the rest of the team at Wiki Project Med Foundation 2025년 1월 26일 (일) 15:22 (KST)
되돌림
[편집] 안녕하세요, Braveattack님!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기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하지만 귀하께서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문서에 해 주신 편집은 문서 훼손이기 때문에 문서를 편집하시기 전의 상태로 되돌렸습니다.
이전의 편집 내용은 편집 역사에 기록되어 있으니 다시 한 번 편집 내용을 확인해 주세요.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위키백과 도움말을 참고하시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질문해 주시면 됩니다. 연습이나 실험은 연습장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2001:E60:875C:C88D:A4B3:1EEC:EC42:655 (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23:38 (KST)
- 대량으로 추가된 내용이 반달이었던 것을 미처 확인하지 못하고 되돌렸습니다. 큰 실례를 범했네요. Braveattack (토론) 2025년 1월 31일 (금) 23:42 (KST)
되돌림을 멈춰주시길 바랍니다.
[편집]차단 기록을 보아하니 표제어 변경 관련하여 되돌림을 진행하셨다가 차단된 이력이 발견됩니다. 메간 트레이너 문서에서 단순 외래어 표기법에 의거하여 불필요한 표제어 변경 반복을 삼가해주시길 바랍니다. Camilasdandelions (talk!) 2025년 3월 20일 (목) 00:17 (KST)
- 귀하야 말로 이중넘겨주기를 만드는 것이 차단 사유입니다. 저의 차단 기록은 타 사용자와의 분쟁이지 표제어 변경에 대한 되돌림이 아닙니다.--Braveattack (토론) 2025년 3월 20일 (목) 00:19 (KST)
- 이중넘겨주기를 최근에 생성한적이 없는데요. 어떤 이중넘겨주기를 말씀하시는겁니까? Camilasdandelions (talk!) 2025년 3월 20일 (목) 00:20 (KST)
- 메간 트레이너가 이동이 안되는 현상입니다. 그리고 외래어 표기법을 준수한 표기를 불필요한 이동이라고 간주하는 근거가 무엇입니까?--Braveattack (토론) 2025년 3월 20일 (목) 00:22 (KST)
- 메건 트레이너가 현재 넘겨주기 문서고 이 문서를 넘겨주기하는 문서는 확인되지 않습니다. 방금 확인하고 오는 길인데, 도저히 보이지 않네요.
- 메간 트레이너가 이동이 안되는 현상입니다. 그리고 외래어 표기법을 준수한 표기를 불필요한 이동이라고 간주하는 근거가 무엇입니까?--Braveattack (토론) 2025년 3월 20일 (목) 00:22 (KST)
- 그리고 외래어 표기법을 준수하셨다고 하셨는데, 백:통용표기 이 부분을 간과하신 것 같습니다. 구글 검색결과 "메건 트레이너" 검색 결과 9,000 이상, "메간 트레이너" 검색 결과 70,000 이상이며, 보편성으로 따지면 '메간 트레이너'가 압도적입니다. Camilasdandelions (talk!) 2025년 3월 20일 (목) 00:27 (KST)
- https://www.youtube.com/watch?v=WdWQOzbVv9c
- 메간 트레이너의 공식 소속사인 소니 뮤직 코리아도 유튜브에 "메간 트레이너"라고 작성한 바 있습니다. Camilasdandelions (talk!) 2025년 3월 20일 (목) 00:30 (KST)
- 이중넘겨주기로 본 것은 이동에 따른 편집 충돌로 인한 붙여넣기가 되어 버린 현상으로 확인했으니 저의 오인입니다. 이 점은 사과드립니다. 하지만 귀하의 대응적인 편집 되돌림도 편집 분쟁이니 결코 옳은 방향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그리고 통용 표기는 무조건 검색 결과에 따른 표기가 아닌 외래어 표기법을 준수한 표기법도 포함됩니다. 단순히 결과가 많다고 그 표기가 우열성을 갖는 게 아닙니다. 메건 트레이너의 결과 우선 표기인 메간 트레이너는 사회적으로 약속된 통용 표기라고 보기 어렵습니다.--Braveattack (토론) 2025년 3월 20일 (목) 00:33 (KST)-
- 사회적으로 약속된 통용 표기가 아니라는 점에 대한 근거 제시 부탁드리며, 위키백과의 편집 지침에 맞지 않는 표제어로 변경한다는 의견에는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우선 이 부분에 이의가 있으시다면 토론:메간 트레이너 문서에 토론을 개설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amilasdandelions (talk!) 2025년 3월 20일 (목) 00:35 (KST)
- 빈센트 반 고흐와 같이 사회적으로 암묵적으로 합의된 표기를 말합니다. 해당 가수는 반 고흐 만큼의 사회적으로 알려진 가수는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소니 뮤직 코리아에서도 메간 트레이너로 작성했다면 일단 메간 트레이너 표제어를 인정하겠습니다. 해당 관련 이동 요청 또한 모두 삭제했습니다.--Braveattack (토론) 2025년 3월 20일 (목) 00:43 (KST)
- 귀중한 답변 및 협조적으로 진행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저도, Braveattack님의 이동을 무작정 되돌린 점은 사과드립니다. 앞으로 위키백과에서 함께 문서를 더더욱 발전할 수 있게 되었음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Camilasdandelions (talk!) 2025년 3월 20일 (목) 00:48 (KST)
- 빈센트 반 고흐와 같이 사회적으로 암묵적으로 합의된 표기를 말합니다. 해당 가수는 반 고흐 만큼의 사회적으로 알려진 가수는 아니라고 판단했습니다. 소니 뮤직 코리아에서도 메간 트레이너로 작성했다면 일단 메간 트레이너 표제어를 인정하겠습니다. 해당 관련 이동 요청 또한 모두 삭제했습니다.--Braveattack (토론) 2025년 3월 20일 (목) 00:43 (KST)
- 사회적으로 약속된 통용 표기가 아니라는 점에 대한 근거 제시 부탁드리며, 위키백과의 편집 지침에 맞지 않는 표제어로 변경한다는 의견에는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우선 이 부분에 이의가 있으시다면 토론:메간 트레이너 문서에 토론을 개설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amilasdandelions (talk!) 2025년 3월 20일 (목) 00:35 (KST)
- 이중넘겨주기로 본 것은 이동에 따른 편집 충돌로 인한 붙여넣기가 되어 버린 현상으로 확인했으니 저의 오인입니다. 이 점은 사과드립니다. 하지만 귀하의 대응적인 편집 되돌림도 편집 분쟁이니 결코 옳은 방향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그리고 통용 표기는 무조건 검색 결과에 따른 표기가 아닌 외래어 표기법을 준수한 표기법도 포함됩니다. 단순히 결과가 많다고 그 표기가 우열성을 갖는 게 아닙니다. 메건 트레이너의 결과 우선 표기인 메간 트레이너는 사회적으로 약속된 통용 표기라고 보기 어렵습니다.--Braveattack (토론) 2025년 3월 20일 (목) 00:33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