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스토클라디아균류
보이기
![]() | ||
---|---|---|
![]()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 | |
계: | 균계 | |
문: | 블라스토클라디아균문 (Blastocladiomycota) T.Y. James 2007[1] | |
강: | 블라스토클라디아균강 (Blastocladiomycetes) T.Y. James 2007[1] | |
목: | 블라스토클라디아균목 (Blastocladiales) H.E. Petersen 1910[2] | |
속 | ||
|
블라스토클라디아균류는 블라스토클라디아균문(Blastocladiomycota)에 속하는 진균류의 총칭이다. 현재 균계의 7개 문 중의 하나로 분류된다.[3] 동물성 스테롤 균류는 토양과 담수 서식지에서 발견되며, 주로 썩은 유기물에 존재하는 잔사식생물이다.[4] 블라스토클라디아균문 내의 5개 과 중에서 3개 과는 전체 종이 병원체이다. 이들은 완보류, 플랭크톤 다프니아속(Daphnia), 선충류, 다양한 수생 및 반수생 식물, 모기 유충 등을 감염시킨다.[4]
블라스토클라데스균류는 2006년 DNA 분석을 통해, 문(門) 계급으로 승격되기 전까지는 원래 호상균문에 포함되었으며, 이제는 네오칼리마스트릭스균문과 자매군이다.[1]
계통 분류
[편집]다음은 2018년 테더수 등(Tedersoo et al. 2018)의 진균류 계통 분류이다.[5]
진균류 |
|
털곰팡이아계 | ||||||||||||||||||||||||||||||||||||||||||||||||||||||||||||||||||||||||||||||||||||||||||
각주
[편집]- ↑ 가 나 다 James, T.Y.; 외. (2006). “A molecular phylogeny of the flagellated fungi (Chytridiomycota) and description of a new phylum (Blastocladiomycota)”. 《Mycologia》 98 (6): 860–871. doi:10.3852/mycologia.98.6.860. PMID 17486963.
- ↑ Petersen, H.E. (1909). 《Bot. Tidsskr.》 29: 357.
|제목=
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as "Blasocladiineae") - ↑ Hibbett, D.S.; 외. (2007년 3월). “A higher level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Fungi”. 《Mycol. Res.》 111 (5): 509–547. doi:10.1016/j.mycres.2007.03.004. PMID 17572334.
- ↑ 가 나 Lynn Margulis, Karlene V. Schwartz (1998). “Five kingdoms: an illustrated guide to the phyla of life on earth”. Elsevier: 216–217. ISBN 0716730278.
- ↑ Tedersoo, Leho; Sanchez-Ramırez, Santiago; Koljalg, Urmas; Bahram, Mohammad; Doring, Markus; Schigel, Dmitry; May, Tom; Ryberg, Martin; Abarenkov, Kessy (2018년 2월 22일). “High-level classification of the Fungi and a tool for evolutionary ecological analyses”. 《Fungal Diversity》 90 (1): 135–159. doi:10.1007/s13225-018-0401-0.
외부 링크
[편집]- 의학주제표목 (MeSH)의 Blastocladiomyco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