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데어파
보이기
| 만데어파 | |
|---|---|
| 지리적 분포 | 서아프리카 지역 |
니제르콩고어족?
| |
| 하위 분류 |
|
| 언어 코드 | |
| ISO 639-5 | dmn |
| 글로톨로그 | mand1469 |
![]() | |
만데어파(Mande)는 서아프리카의 만데계 민족들이 사용하는 언어들이 속한 어파이다. 이 계통의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수백만이 넘으며 가나, 기니, 나이지리아, 라이베리아, 말리, 부르키나파소, 베냉, 세네갈, 시에라리온, 코트디부아르 등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전통적으로 만데어파는 니제르콩고어족의 한 갈래로 여겨져 왔지만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최근에는 대서양콩고어족과는 다른 독립된 어족으로 간주하는 시각이 늘어나고 있다.[1][2]
분류
[편집]- 남동부 만데어군
- 서부 만데어군
ISO/DIS 639-3 부호 체계
[편집]가나 지역 언어
| 한국어 명칭 | 영어 명칭 | ISO/DIS 639-3 |
|---|---|---|
| 리그비어 | Ligbi | lig |
기니 지역 언어
| 한국어 명칭 | 영어 명칭 | ISO/DIS 639-3 |
|---|---|---|
| 기니 크펠레어 | Kpelle, Guinea | gkp |
| 동부 마닝카칸어 | Maninkakan, Eastern | emk |
| 렐레어 | Lele | llc |
| 리그비어 | Ligbi | lig |
| 마닝카어 | Maninka | mku (코니앙카), msc (상카란) |
| 믹시포레어 | Mixifore | mfg |
| 수수어 | Susu | sus |
| 얄룽카어 | Yalunka | yal |
| 자항카어 | Jahanka | jad |
| 카카베어 | Kakabe | kke |
| 코노어 | Kono | knu |
| 토마어 | Toma | tod |
나이지리아 지역 언어
| 한국어 명칭 | 영어 명칭 | ISO/DIS 639-3 |
|---|---|---|
| 보코바루어 | Bokobaru | bus |
| 부사어 | Busa | bqp |
| 샹가어 | Shanga | sho |
| 키엥가어 | Kyenga | tye |
라이베리아 지역 언어
| 한국어 명칭 | 영어 명칭 | ISO/DIS 639-3 |
|---|---|---|
| 라이베리아 크펠레어 | Kpelle, Liberia | xpe |
| 로마어 | Loma | lom |
| 마니아어 | Manya | mzj |
| 만어 | Mann | mev |
| 바이어 | Vai | vai |
| 반디어 | Bandi | bza |
말리 지역 언어
| 한국어 명칭 | 영어 명칭 | ISO/DIS 639-3 |
|---|---|---|
| 둥구마어 | Duungooma | dux |
| 바마낭칸어 | Bamanankan | bam |
| 방카구마어 | Bankagooma | bxw |
| 보조어 | Bozo | boo (티에마키에웨), boz (티에야코), bzx (하이니아코), bze (제나마) |
| 소닝케어 | Soninke | snk |
| 조월루어 | Jowulu | jow |
| 카고로어 | Kagoro | xkg |
| 카송가캉고어 | Xaasongaxango | kao |
| 키타 마닝카칸어 | Maninkakan, Kita | mwk |
부르키나파소 지역 언어
| 한국어 명칭 | 영어 명칭 | ISO/DIS 639-3 |
|---|---|---|
| 사모어 | Samo | sbd (남부), sym (마야), stj (마티아) |
| 마르카어 | Marka | rkm |
| 보보마다레어 | Bobo Madaré | bwq (남부), [1] (북부) |
| 볼론어 | Bolon | bof |
| 비사어 | Bissa | bib |
| 시닝케레어 | Sininkere | skq |
| 시쿠어 | Seeku | sos |
| 잘쿠난어 | Jalkunan | bxl |
| 줄라어 | Jula | dyu |
| 중구어 | Dzùùngoo | dnn |
베냉 지역 언어
| 한국어 명칭 | 영어 명칭 | ISO/DIS 639-3 |
|---|---|---|
| 보코어 | Boko | bqc |
세네갈 지역 언어
| 한국어 명칭 | 영어 명칭 | ISO/DIS 639-3 |
|---|---|---|
| 만딩카어 | Mandinka | mnk |
| 서부 마닝카칸어 | Maninkakan, Western | mlq |
시에라리온 지역 언어
| 한국어 명칭 | 영어 명칭 | ISO/DIS 639-3 |
|---|---|---|
| 로코어 | Loko | lok |
| 멘데어 | Mende | men |
| 코노어 | Kono | kno |
| 쿠랑코어 | Kuranko | knk |
코트디부아르 지역 언어
| 한국어 명칭 | 영어 명칭 | ISO/DIS 639-3 |
|---|---|---|
| 가구어 | Gagu | ggu |
| 구로어 | Guro | goa |
| 단어 | Dan | daf |
| 마후어 | Mahou | mxx |
| 므완어 | Mwan | moa |
| 벵어 | Beng | nhb |
| 숲 마닝카어 | Maninka, Forest | myq |
| 야우레어 | Yaouré | yre |
| 완어 | Wan | wan |
| 워로두구어 | Worodougou | jud |
| 워제나카어 | Wojenaka | jod |
| 제리쿠오어 | Jeri Kuo | jek |
| 코로어 | Koro | kfo |
| 코야가어 | Koyaga | kga |
| 톤존어 | Tonjon | tjn |
| 투라어 | Toura | neb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Dimmendaal, Gerrit J. (2008). “Language Ecology and Linguistic Diversity on the African Continen t”. 《Language and Linguistics Compass》 2 (5): 840–858. doi:10.1111/j.1749-818x.2008.00085.x. ISSN 1749-818X.
- ↑ Güldemann, Tom (2018). 〈Historical linguistics and genealogical language classification in Africa〉. Güldemann, Tom (편집).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Africa》. The World of Linguistics 11. Berlin: De Gruyter Mouton. 58–444쪽. doi:10.1515/9783110421668-002. ISBN 978-3-11-042606-9. S2CID 1338885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