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차루아어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차루아어족
지리적 분포아르헨티나(엔트레리오스주), 우루과이(과거), 브라질(과거)
최상위 어족?
언어 코드
글로톨로그char1238
Loukotka (1968)에 따른 차루아어족의 분포

차루아어족(Charruan)은 과거 우루과이아르헨티나 엔트레리오스주에서 쓰이던 언어 계통이다. 완전히 사멸했다고 여겨졌으나, 2005년 아르헨티나 엔트레리오스주에서 Blas Wilfredo Omar Jaime라는 차나어(Chaná)의 준화자(semi-speaker)가 생존해 있는 것이 보고되었다.

언어

[편집]

Loukotka (1968)는 차루아어족에 명확히 속하는 언어로 다음의 4개 언어를 나열하고 있다.[1]

분류의 적합성

[편집]

Nikulin (2019)에 의하면 '차루아어족'은 사실 2~3개의 서로 무관한 어족들로 이루어져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는 다음의 기록된 언어들이 서로 공유하는 기초 어휘가 거의 없다고 지적한다.[2]

  1. Blas Wilfredo Omar Jaime 씨가 구사하는 Chaná
  2. Larrañaga (1923)에 기록된 Chaná[3]
  3. Vilardebó (1842)에 기록된 Charrúa
  4. 18세기 Lorenzo Hervás y Panduro가 쓴 짧은 교리 문답서에 기록된 Güenoa[4]

외부 계통

[편집]

모리스 스와데시는 Macro-Mapuche라는 분류 하에 차루아어족을 과이쿠루어족, 마타코어족, 마스코이어족과 함께 묶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Loukotka, Čestmír (1968), 《Classification of South American Indian Languages》, Los Angeles: UCLA Latin American Center 
  2. Nikulin, Andrey V. 2019. The classification of the languages of the South American Lowlands: State-of-the-art and challenges / Классификация языков востока Южной Америки. Illič-Svityč (Nostratic) Seminar / Ностратический семинар, Higher School of Economics, October 17, 2019.
  3. Larrañaga, Dámaso Antonio. 1923. Compendio del idioma de la nación chaná. In Escritos de D. Dámaso A. Larrañaga, tomo III, 163-174. Montevideo: Instituto Histórico y Geográfico del Uruguay, Imprenta Nacional.
  4. Hervás y Panduro, Lorenzo. 1787. Saggio Pratico delle lingue. (Idea dell'Universo, XXI.) Cesena: Gregorio Biasini all'Insengna di Pallade. 255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