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안코일리아
보이기
![]() | ||
---|---|---|
화석 범위: 캄브리아기 제3절~캄브리아기 중기 | ||
![]() Leanchoilia superlata | ||
![]() Leanchoilia superlata의 복원도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역 | |
계: | 동물계 | |
문: | 절지동물문 | |
강: | †대협강 | |
목: | †레안코일리아목 Størmer, 1944 | |
과: | †레안코일리아과 Raymond, 1935 | |
속: | †레안코일리아속 Walcott, 1912 | |
모식종 | ||
†Leanchoilia superlata | ||
Walcott, 1912 | ||
학명이명 | ||
레안코일리아속의 학명이명
| ||
종 | ||
|
레안코일리아 또는 레안코일리아속(학명: Leanchoilia)은 캐나다의 버지스 셰일 및 중국의 청장 생물군에 있는 캄브리아기 퇴적층에 묻힌 대협류 절지동물 가운데 한 무리이다.[1]
특징
[편집]
L. superlata의 경우 몸길이는 약 5 센티미터 (2.0 in)이며 길고 채찍 모양의 편모가 대협지에서 뻗어나가 있다. 내장은 삼차원의 형태로 기질 안에 보존되는 경우가 잦다.[2][3] 두 쌍의 눈은 바깥의 머리방패에 싸여 보호받으며, 그 중 두 눈이 양 옆에 위치한다.[4][5]
종
[편집]오늘날 7종이 잠정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L. superlata (모식종), 버지스 셰일에서 발굴된 L. persephone와 L. protogonia, 청장 생물군 지층에서 발굴된 L. illecebrosa와 L. obesa, 카일리에서 발견된 L. robisoni, 스펜스 셰일의 L.? hanceyi가 있다. 그러나 모식종과 L. persephone의 경우 성적 이형성일 가능성이 있다.[6][7][8]
분포
[편집]레안코일리아의 표본 55점이 그레이터 필로포드 층에서 발견되었으며, 전체 군집 중 0.1%를 이루고 있다.[9]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Burgess Shale: Leanchoilia superlata (an arthropod)”. Smithsonian Institution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7년 7월 6일에 확인함.
- ↑ Nicholas J. Butterfield (2002). “Leanchoilia guts and the interpretation of three-dimensional structures in Burgess Shale-type fossils”. 《Paleobiology》 28 (1): 155–171. doi:10.1666/0094-8373(2002)028<0155:LGATIO>2.0.CO;2. S2CID 85606166.
- ↑ Brigitte Schoenemann & Euan N. K. Clarkson (2012). “The eyes of Leanchoilia”. 《Lethaia》 45 (4): 524–531. doi:10.1111/j.1502-3931.2012.00313.x.
- ↑ Schoenemann, B., & Clarkson, E. N. K. (2012). The eyes of Leanchoilia. Lethaia, 45(4), 524–531.
- ↑ García-Bellido, D. C., & Collins, D. (2007). Reassessment of the Genus Leanchoilia(Arthropoda, Arachnomorpha) from the Middle Cambrian Burgess Shale, British Columbia, Canada. Palaeontology, 50(3), 693–709.
- ↑ Diego C. García-Bellido & Desmond Collins (2007). “Reassessment of the genus Leanchoilia (Arthropoda, Arachnomorpha) from the Middle Cambrian Burgess Shale, British Columbia, Canada”. 《Palaeontology》 50 (3): 693–709. Bibcode:2007Palgy..50..693G. doi:10.1111/j.1475-4983.2007.00649.x.
- ↑ Liu, Yu; Hou, Xian-Guang; Bergström, J. (2007). “Chengjiang arthropod Leanchoilia illecebrosa (Hou, 1987) reconsidered”. 《GFF》 129 (3): 263–272. doi:10.1080/11035890701293263. S2CID 84150456.
- ↑ He, Yu-Yang; Cong, Pei-Yun; Liu, Yu; Edgecombe, Gregory D.; Hou, Xian-Guang (2017). “Telson morphology of Leanchoiliidae (Arthropoda: Megacheira) highlighted by a new Leanchoilia from the Cambrian Chengjiang biota”. 《Alcheringa: An Australasian Journal of Palaeontology》 41 (4): 581–589. doi:10.1080/03115518.2017.1320425. S2CID 90593555.
- ↑ Caron, Jean-Bernard; Jackson, Donald A. (October 2006). “Taphonomy of the Greater Phyllopod Bed community, Burgess Shale”. 《PALAIOS》 21 (5): 451–65. Bibcode:2006Palai..21..451C. doi:10.2110/palo.2003.P05-070R. JSTOR 20173022. S2CID 53646959.
외부 링크
[편집]- “Leanchoilia superlata”. 《Burgess Shale Fossil Gallery》. Virtual Museum of Canada. 2011. 2020년 1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2월 20일에 확인함.
위키미디어 공용에 Leanchoilia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위키생물종에 Leanchoilia 관련 자료가 있습니다.
- Leanchoilia illecebrosa Ancient Arthropod from Chengjiang 버추얼 화석박물관
![]() |
이 글은 동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