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협강
![]() | ||
---|---|---|
화석 범위: 521–445.2백만년 전 [1] 실루리아기 및 데본기 화석 기록 가능성 있음 | ||
![]() Alalcomenaeus (왼쪽 위), Fortiforceps (오른쪽 위), Haikoucaris (중앙), Leanchoilia (왼쪽 아래), 이오호이아 (오른쪽 아래).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역 | |
계: | 동물계 | |
문: | 절지동물문 | |
강: | †대협강 (Megacheira) Hou & Bergström, 1997 | |
향명 | ||
| ||
속 | ||
하단 문단 참조
|
대협강(大鋏綱. Megacheira[a])은 커다란 돌기가 있는 다리가 달린 포식성 절지동물이다.[2] 이들의 분류학적 위치는 진절지동물의 줄기군인지 또는 협각류의 줄기군인지 추정해보는 연구로 인해 논쟁 상태에 빠져 있다.[3][4] 다른 절지동물의 머리 다리와 대협지의 상동성도 논쟁의 여지가 있다. 대협강에 명백히 속하는 구성원들은 캄브리아기 초기에서 오르도비스기 후기까지 전세계 해양 환경에 존재했다.
형태
[편집]
대협류는 한 쌍의 일분지형 '대협지'의 존재로 정의된다. 한 두 개의 극근위마디는 돌기가 없는 반면,[b], 나머지 서너 개의 원위마디에는 보통 마디의 말단부를 향해 위쪽을 가리키는 뾰족한 돌기를 마디마다 하나 씩 가지고 있으며, 돌기가 없는 근위마디는 대개 팔꿈치 역할을 하는 관절로 뾰족한 돌기가 난 원위마디에 연결되어 위를 향해 굽어 있다.[6][5] 대협지는 포식용으로 먹이를 잡기에 알맞은 다리로 해석한 적이 있는데, 이오호이아 등의 일부 대협류 동물의 이 다리는 구조상 갯가재의 포획용 턱다리와 비교할 수 있다.[6] 레안코일리아 및 이아우니크 등 레안코일리아과의 대협지에 달린 돌기들은 편모 형태의 구조물이 길다랗게 달려 있어, 사냥 겸 감지 역할을 한 것으로 보고 있다.[7] 몸은 전체적으로 머리와 몸통으로 나뉜다. 대협류의 이분지는 상동이며[c], 내지는 대개 7마디로 나뉘고, 외지는 아가미깃이 테두리를 감싼 모습의 노 모양이다. 몸 끝에 있는 꼬리마디의 형태가 다양하다.[5] 일부 대협류의 이분지에는 적어도 겉돌기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8]
분류
[편집]대협강 내의 일부 세분류는 중국의 캄브리아기 초에 출현한 지안펑기아과(Jianfengiidae)[d] 뿐만 아니라 북아메리카, 중국, 오스트레일리아에 살았으며 캄브리아기 초중반에 출현한 협형류(Cheiromorpha)[e]에도 속하는 것으로 인정된다. 대협류는 단계통군이 불분명하여 일부 연구에서는 일부 연구에서는 이 그룹을 다계통군으로 복구시켰다.[5] 가장 최근에 발견된 명백한 대협류는 북아메리카의 오르도비스기 후기에 출현했던 레안코일리아과의 로만쿠스이다.[9]
이전에 방사치목으로 착각했던 중국의 캄브리아기 지층에서 발굴한 파라페이토이아의 경우 나중에 대협류의 구성원으로 추정되었다.[10][11][12] 대협지를 닮은 머리 부속지의 존재로 인해 대협류일 가능성이 있는 동물로는 영국의 실루리아기 지층에서 발견된 에날리크테르와 독일의 데본기 초반 지층에서 발견된 분덴바키엘루스가 있다.[13][14] 그러나 대협류와의 연관성은 부속지의 불확실한 상동 관계 때문에 의문이 존재한다.[15] 코테니켈라는 다양한 절지동물 종의 키메라 화석인 것으로 보고 있다.[5] 포르펙시카리스, 오우알리케팔루스, 오카카리스 등의 일부 이매갑류에서 대협류에 이르는 이전의 포함 여부는 후속 조사에서 의문이 제기되었다.[16] 대개 갑각류의 근연으로 여겨지는 캄브리아기 후기 오르스텐 동물군의 오일란도카리스도 일부 연구에서는 대협류로 보고 있기도 한다.[17]
-
포르티포르켑스(왼쪽)와 스클레롤리비온(오른쪽)의 복원도
-
젠펑기아의 복원도
-
레안코일리아의 대협지를 확대한 모습
-
이아우니크의 복원도
-
로만쿠스의 복원도
-
오이토케르쿠스의 복원도
하위 속
[편집]- † 탕글랑기아 Tanglangia
- †오일란도카리스 Oelandocaris?
- †젠펑기아과
- †코테니켈라과?
- 코테니켈라 Kootenichela?
- 워르테넬라 Worthenella?
- †협형류 (Cheiromorpha)
다른 절지동물과의 연관성
[편집]대협류는 협각류 줄기군 또는 절지동물의 줄기군으로 추정되는데,[3] 전자의 가설은 신경구조[18]와 함께 대협지의 협각과 유사한 형태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19][20][21] 현생 협각류의 것을 닮은 작아진 윗입술이 존재한다는 점에서[22] 협각과 대협지가 상동 구조라는 주장이 있다.[23] 다른 연구에 따르면 대협지가 이속시스 및 방사치류의 전방부속지와 상동 구조라는 주장에 근거하여 대협류가 절지동물 줄기군이라고 추정한다. 이 정체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데, 다른 저자들에 따르면 방사치류의 전방부속지가 현대 절지동물의 윗입술과 상동이라고 한다.[5]
각주
[편집]내용주
[편집]참고주
[편집]- ↑ Parry, Luke A.; Briggs, Derek E.G.; Ran, Ruixin; O'Flynn, Robert J.; Mai, Huijian; Clark, Elizabeth G.; Liu, Yu (2024년 10월 29일). “A pyritized Ordovician leanchoiliid arthropod”. 《Current Biology》. doi:10.1016/j.cub.2024.10.013.
- ↑ Stein, Martin (March 2010) [26 February 2010]. “A new arthropod from the Early Cambrian of North Greenland, with a 'great appendage'-like antennula”.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58 (3): 477–500. doi:10.1111/j.1096-3642.2009.00562.x.
- ↑ 가 나 Aria, Cédric (2022년 4월 26일). “The origin and early evolution of arthropods”. 《Biological Reviews》 (영어) 97 (5): 1786–1809. doi:10.1111/brv.12864. ISSN 1464-7931. PMID 35475316. S2CID 243269510. 2024년 5월 8일에 확인함.
- ↑ Liu, Cong; Fu, Dongjing; Wu, Yu; Zhang, Xingliang (July 2024). “Cambrian euarthropod Urokodia aequalis sheds light on the origin of Artiopoda body plan”. 《iScience》 27 (8): 110443. Bibcode:2024iSci...27k0443L. doi:10.1016/j.isci.2024.110443. PMC 11325232
|pmc=
값 확인 필요 (도움말). PMID 39148713. - ↑ 가 나 다 라 마 바 Aria, Cédric; Zhao, Fangchen; Zeng, Han; Guo, Jin; Zhu, Maoyan (2020년 12월). “Fossils from South China redefine the ancestral euarthropod body plan”. 《BMC Evolutionary Biology》 (영어) 20 (1): 4. Bibcode:2020BMCEE..20....4A. doi:10.1186/s12862-019-1560-7. ISSN 1471-2148. PMC 6950928. PMID 31914921.
- ↑ 가 나 Haug, Joachim T.; Waloszek, Dieter; Maas, Andreas; Liu, Yu; Haug, Carolin (2012년 3월). “Functional morphology, ontogeny and evolution of mantis shrimp-like predators in the Cambrian: MANTIS SHRIMP-LIKE CAMBRIAN PREDATORS”. 《Palaeontology》 (영어) 55 (2): 369–399. doi:10.1111/j.1475-4983.2011.01124.x.
- ↑ Aria, Cédric; Caron, Jean-Bernard; Gaines, Robert (2015). “A large new leanchoiliid from the Burgess Shale and the influence of inapplicable states on stem arthropod phylogeny”. 《Palaeontology》 58 (4): 629–660. Bibcode:2015Palgy..58..629A. doi:10.1111/pala.12161. S2CID 86443516.
- ↑ Liu, Yu; Edgecombe, Gregory D.; Schmidt, Michel; Bond, Andrew D.; Melzer, Roland R.; Zhai, Dayou; Mai, Huijuan; Zhang, Maoyin; Hou, Xianguang (2021 -07-30). “Exites in Cambrian arthropods and homology of arthropod limb branches”. 《Nature Communications》 12 (1): 4619. Bibcode:2021NatCo..12.4619L. doi:10.1038/s41467-021-24918-8. ISSN 2041-1723. PMC 8324779. PMID 34330912.
- ↑ Parry, Luke A.; Briggs, Derek E.G.; Ran, Ruixin; O’Flynn, Robert J.; Mai, Huijuan; Clark, Elizabeth G.; Liu, Yu (2024년 10월). “A pyritized Ordovician leanchoiliid arthropod”. 《Current Biology》 (영어). doi:10.1016/j.cub.2024.10.013.
- ↑ Stein, Martin (2010년 3월 1일). “A new arthropod from the Early Cambrian of North Greenland, with a 'great appendage'-like antennula”.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영어) 158 (3): 477–500. doi:10.1111/j.1096-3642.2009.00562.x. ISSN 0024-4082. 2019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 Xian-Guang, Hou; Siveter, David J.; Siveter, Derek J.; Aldridge, Richard J.; Pei-Yun, Cong; Gabbott, Sarah E.; Xiao-Ya, Ma; Purnell, Mark A.; Williams, Mark (2017년 4월 24일). 《The Cambrian Fossils of Chengjiang, China: The Flowering of Early Animal Life》 (영어). John Wiley & Sons. ISBN 9781118896389. 2021년 5월 10일에 확인함.
- ↑ Daley, Allison C.; Budd, Graham E.; Caron, Jean-Bernard; Edgecombe, Gregory D.; Collins, Desmond (2009년 3월 20일). “The Burgess Shale Anomalocaridid Hurdia and Its Significance for Early Euarthropod Evolution”. 《Science》 (영어) 323 (5921): 1597–1600. Bibcode:2009Sci...323.1597D. doi:10.1126/science.1169514. ISSN 0036-8075. PMID 19299617. S2CID 206517995.
- ↑ Siveter, Derek J.; Briggs, Derek E. G.; Siveter, David J.; Sutton, Mark D.; Legg, David; Joomun, Sarah (2014년 3월 7일). “A Silurian short-great-appendage arthropod”.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281 (1778): 20132986. doi:10.1098/rspb.2013.2986. PMC 3906945. PMID 24452026.
- ↑ Derek J. Siveter; Derek E. G. Briggs; David J. Siveter; Mark D. Sutton; David Legg; Sarah Joomun (2015). “Enalikter aphson is an arthropod: a reply to Struck et al. (2014)”.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282 (1804): 20142663. doi:10.1098/rspb.2014.2663. PMC 4375861.
- ↑ Aria, Cédric (2022년 10월). “The origin and early evolution of arthropods”. 《Biological Reviews》 (영어) 97 (5): 1786–1809. doi:10.1111/brv.12864. ISSN 1464-7931. PMID 35475316. S2CID 243269510. 2024년 5월 8일에 확인함.
- ↑ Ortega-Hernández, Javier; Janssen, Ralf; Budd, Graham E. (2017년 5월 1일). “Origin and evolution of the panarthropod head – A palaeobiological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 《Arthropod Structure & Development》. Evolution of Segmentation 46 (3): 354–379. Bibcode:2017ArtSD..46..354O. doi:10.1016/j.asd.2016.10.011. ISSN 1467-8039. PMID 27989966.
- ↑ Aria, Cédric; Caron, Jean-Bernard (May 2017). “Burgess Shale fossils illustrate the origin of the mandibulate body plan”. 《Nature》 (영어) 545 (7652): 89–92. Bibcode:2017Natur.545...89A. doi:10.1038/nature22080. ISSN 0028-0836. PMID 28445464. S2CID 4454526. 2023년 1월 12일에 확인함.
- ↑ Tanaka, Gengo; Hou, Xianguang; Ma, Xiaoya; Edgecombe, Gregory D.; Strausfeld, Nicholas J. (2013년 10월 17일). “Chelicerate neural ground pattern in a Cambrian great appendage arthropod”. 《Nature》 502 (7471): 364–367. Bibcode:2013Natur.502..364T. doi:10.1038/nature12520. PMID 24132294. S2CID 4456458.
- ↑ Chen, Junyuan; Waloszek, Dieter; Maas, Andreas (2004). “A new 'great-appendage' arthropod from the Lower Cambrian of China and homology of chelicerate chelicerae and raptorial antero-ventral appendages”. 《Lethaia》 (영어) 37 (1): 3–20. Bibcode:2004Letha..37....3C. doi:10.1080/00241160410004764. ISSN 1502-3931.
- ↑ Chen, Jun-Yuan (2009). “The sudden appearance of diverse animal body plansduring the Cambrian explosio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Developmental Biology》 53 (5–6): 733–751. doi:10.1387/ijdb.072513cj. ISSN 1696-3547. PMID 19557680.
- ↑ Haug, Joachim T.; Waloszek, Dieter; Maas, Andreas; Liu, Yu; Haug, Carolin (March 2012). “Functional morphology, ontogeny and evolution of mantis shrimp-like predators in the Cambrian: MANTIS SHRIMP-LIKE CAMBRIAN PREDATORS”. 《Palaeontology》 (영어) 55 (2): 369–399. doi:10.1111/j.1475-4983.2011.01124.x. S2CID 82841481.
- ↑ Liu, Yu; Ortega-Hernández, Javier; Zhai, Dayou; Hou, Xianguang (2020년 6월 25일). “A Reduced Labrum in a Cambrian Great-Appendage Euarthropod”. 《Current Biology》 (영어) 30 (15): 3057–3061.e2. Bibcode:2020CBio...30E3057L. doi:10.1016/j.cub.2020.05.085. ISSN 0960-9822. PMID 32589912. S2CID 220057956.
- ↑ Tanaka, Gengo; Hou, Xianguang; Ma, Xiaoya; Edgecombe, Gregory D.; Strausfeld, Nicholas J. (2013년 10월 17일). “Chelicerate neural ground pattern in a Cambrian great appendage arthropod”. 《Nature》 (영어) 502 (7471): 364–367. Bibcode:2013Natur.502..364T. doi:10.1038/nature12520. ISSN 0028-0836. PMID 24132294. S2CID 4456458. 2023년 1월 1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