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트비아-러시아 관계
라트비아 |
러시아 |
|---|---|
라트비아-러시아 관계는 라트비아와 러시아 간의 양자 외교 관계를 말한다. 양국 간 외교 관계는 라트비아 독립 전쟁이 라트비아의 승리로 끝난 후, 1920년 8월 11일에 수립되었으며, 이때 러시아는 라트비아의 주권을 인정하고 라트비아에 대한 모든 영유권을 포기하였다. 이후 한 세기 동안 양국 관계는 복잡하고 어려운 과정을 거쳤다. 현대의 양국 관계는 긴장 상태이며 대체로 비우호적이다.
라트비아는 모스크바에[1], 러시아는 리가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양국은 모두 유엔과 유럽 안보 협력 기구(OSCE) 회원국이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라트비아는 양국 간 외교 관계를 격하했으며 2023년 1월, 러시아 대사를 추방하였다.
역사
[편집]소련 시기
[편집]1940년 라트비아에 대한 소련의 군사점령은 시베리아 굴라크로의 대규모 강제이송 (6월 강제이송)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이는 라트비아-러시아 관계를 크게 악화시켰다. 그 후 1941년에는 나치 독일이 라트비아를 점령하였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의 라트비아 점령), 1944년 소련이 다시 돌아와 점령을 재개하면서 추가적인 강제이송이 발생하였다. 이 시기 동안 많은 라트비아인은 후퇴하는 독일군과 함께 떠나거나 스웨덴으로 피신하였다. 점령 기간 동안에도 라트비아 외교 공관은 해외에서 활동을 계속하였다.[2]
소련의 점령은 짧은 시간 동안 라트비아 내 러시아인의 수를 급격하게 증가시켰으며, 이는 종종 강제이송되거나 처형되었거나 피신한 라트비아인을 대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러시아인의 대규모 유입과 라트비아어의 공식 언어 지위 박탈은 시민 간의 라트비아–러시아 관계를 더욱 악화시켰다.
1991년부터 2021년까지의 관계
[편집]

1991년 라트비아는 독립 및 민주주의 국민투표를 통해 소련으로부터 독립을 회복하였다. 2007년에는 양국 간 국경 조약이 비준되었는데, 이는 라트비아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속했던 현재 러시아 영토의 소규모 지역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철회한 뒤 이루어진 것이었다.[3] 발디스 자틀레르스 대통령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라트비아-러시아 비즈니스 포럼에서 유럽연합과 러시아 간 비자 면제 협정 도입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안드리스 베르진슈 대통령은 라트비아 신문 《세고드냐》와의 인터뷰에서 "현실은 러시아가 우리의 이웃이며, 어떤 상황에서도 양국 간에 좋은 이웃 관계를 발전시킬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언급하였다.[4] 2018년 12월 13일에는 라트비아 의회가 케르치 해협 사건에서 러시아의 공격적 행동을 규탄하는 선언을 채택하였다.[5]
2014년~2022년
[편집]그러나 러시아의 크림반도 점령과 돈바스 전쟁 이후, 라트비아는 우크라이나를 지지하고 EU가 부과한 러시아 제재를 이행하게 되었다.[6] 2015년 6월 5일, 러시아 정부는 "건강" 문제를 이유로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의 통조림 생선 제품 수입을 "일시적으로" 금지했으며, 이는 두 나라 수출 물량의 절반을 차지하던 시장이었다.[7] 2015년 3월에는 라트비아 출신 유럽의회 의원 산드라 칼니에테와 폴란드 상원 의장 보그단 보루셰비치가 기존 제재 체계에 따라 러시아 입국을 거부당해, 암살된 러시아 야권 정치인 보리스 넴초프의 장례식에 참석하지 못했다.[8]
2022년 이후의 관계
[편집]라트비아 대통령 에길스 레비츠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강력히 규탄하며,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포함한 가능한 모든 지원"을 제공하고 러시아에 대해 "가능한 가장 강력한 제재"를 가해야 한다고 촉구하였다.[9]
EU 회원국 중 하나인 라트비아는 침공 직후 러시아에 대한 제재를 시행했으며, 이에 대응하여 러시아는 모든 EU 국가를 "비우호국 목록"에 추가하였다.[10] 라트비아는 2022년 봄 다른 국가들과 함께 여러 러시아 외교관을 페르소나 논 그라타로 지정하였다.
러시아 국영 방송 TV 채널들은 2022년 3월, 라트비아에서 금지되었다.[11]
2022년 8월 11일, 라트비아 사에이마는 러시아를 테러지원국으로 지정하였고[12], 2022년 9월에는 라트비아가 폴란드,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와 함께 제3국이 발급한 것을 포함해 솅겐 비자를 가진 러시아 시민들의 입국을 금지하기로 결정하였다.[13]
2023년 1월, 라트비아는 에스토니아를 지지하기 위해 러시아 주재 자국 대사를 철수하고 라트비아 주재 러시아 대사를 추방하며 외교 관계를 영구적으로 격하하였다. 러시아는 이를 "러소포비아"라고 비난하였다.[14]
러시아어에 대한 지속적인 거부 정책의 일환으로, 2023년 라트비아는 러시아 여권만을 보유하고 라트비아 문서를 갖고 있지 않은 약 20,000명의 주민에게 라트비아어 시험을 통과하고 충성심을 증명할 것을 요구하였다. 실패하고 자진 출국하지 않을 경우 2024년에 추방될 수 있다.[15] 8월에는 5,000명 이상이 언어 시험 응시나 임시 거주 허가 신청을 거부했으며, 9월에 출국 요청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발표되었다.[16]
러시아 시민의 라트비아 입국 금지는 2024년 3월까지 연장되었으며, 라트비아는 2023년 6월 인도주의적 사유를 포함한 모든 비자 발급을 중단하였다.[17]
2024년 1월, 러시아는 양국 간의 조세 조약을 종료하였다.[18]
무역
[편집]2021년 러시아는 라트비아로 35억 2천만 달러 상당의 상품을 수출했으며, 정제유 제품이 주요 수출 품목이었다. 라트비아 수출액은 13억 8천만 달러로 주류가 주요 품목이었다. 1995년~2021년 사이 러시아 수출은 연평균 9.07% 성장했으며, 라트비아 수출은 연평균 5.77% 성장하였다.[19]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라트비아의 결정, EU 제재 이후 러시아 수출은 감소하였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Embassy of the Republic of Latvia to the Russian Federatio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Latvia. 2018년 9월 7일. 2019년 1월 13일에 확인함.
- ↑ Kempster, Norman (1988년 10월 31일). “Annexed Baltic States: Envoys Hold On to Lonely U.S. Postings”. 《Los Angeles Times》.
- ↑ Patrick, Lannin (2007년 12월 18일). “Russia, Latvia finally seal border treaty”. Reuters. 2013년 6월 19일에 확인함.
- ↑ Берзиньш: Латвия должна стремиться к добрососедским отношениям с Россией
- ↑ “Saeima condemns Russia's aggression in Sea of Azov”. Public Broadcasting of Latvia. 2018년 12월 13일. 2019년 1월 8일에 확인함.
- ↑ “Foreign Minister: ‘possible’ Latvians involved in Donbas” (영어). 《eng.lsm.lv》. 2014년 8월 6일. 2024년 1월 4일에 확인함.
- ↑ “Russia Bans Fish From Latvia, Estonia” (영어). 《RadioFreeEurope/RadioLiberty》. 2015년 6월 5일. 2022년 6월 16일에 확인함.
- ↑ “Russia bars two EU politicians from Nemtsov funeral”. Reuters. 2015년 3월 3일. 2015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3월 4일에 확인함.
- ↑ “Statement by the President of Latvia Egils Levits on Russian invasion of Ukraine”. Chancery of the President of Latvia. 2022년 2월 24일에 확인함.
- ↑ Lee, Michael (2020년 3월 8일). “Here are the nations on Russia's 'unfriendly countries' list”. 《CTV News》. 2022년 3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Russian TV channels banned in Latvia, but still available”. 2023년 1월 19일.
- ↑ “Latvia designates Russia a "state sponsor of terrorism" over Ukraine war”. 《Reuters》. 2022년 8월 11일. 2022년 8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8월 11일에 확인함.
- ↑ Manning, Joshua (2022년 9월 8일). “"You are not welcome here!" Estonia restricts entry of Russian citizens from September 19”. 《Euro Weekly News》. 2022년 9월 11일에 확인함.
- ↑ “Estonia and Latvia remove Russian ambassadors as tensions rise”. 2023년 1월 23일.
- ↑ “Russian Citizens Take Language Test to Avoid Latvian Expulsion”. 2023년 6월 13일.
- ↑ “Latvia to ask thousands of Russian citizens to leave the country”. 《lrt.lt》. 2023년 8월 4일.
- ↑ “Latvia stops issuing all types of visas to Russian citizens”. 2023년 6월 24일.
- ↑ “[World Tax News] Norway Publishes Supplementary Tax Act Implementing Pillar 2 Global Minimum Tax and More”. 2024년 1월 20일.
- ↑ “Russia/Latvia”. January 2022.
외부 링크
[편집]- (러시아어) Documents on the Latvia–Russia relationship from the Russian Ministry of Foreign Affairs
- (러시아어/라트비아어) Embassy of Russia in Riga 보관됨 2018-10-29 - 웨이백 머신
- (영어/러시아어/라트비아어) Embassy of Latvia in Moscow
- Organization for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Representative to the Latvian-Russian Military Pensioners' Commission
- List of main claims and recommendation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NGO to Latvia as regards rights of national minorities Russian MFA, 2004
- (러시아어) List of treaties 보관됨 2017-03-11 - 웨이백 머신
- (러시아어) 1991 treaty (not in force)
- (라트비아어) 2007 border treaty
- (러시아어/라트비아어) 2007 treaty on co-operation in the field of social security
- 1920 peace trea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