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루탐산-1-세미알데하이드
보이기
![]() | |
이름 | |
---|---|
IUPAC 이름
(4S)-4-Amino-5-oxo-pentanoic acid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mSpider | |
MeSH | glutamate-1-semialdehyde |
PubChem CID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5H9NO3 | |
몰 질량 | 131.131 g·mol−1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글루탐산-1-세미알데하이드(영어: glutamate-1-semialdehyde)는 글루탐산으로부터 유래된 분자로, 오르니틴 및 프롤린의 전구물질이다. 글루탐산-1-세미알데하이드는 글루타밀-tRNA 환원효소에 의해 tRNA에 글루탐산이 결합한 글루타밀-tRNAglu로부터 생성된다. 글루탐산-1-세미알데하이드는 글루탐산-1-세미알데하이드 2,1-아미노뮤테이스에 의해 δ-아미노레불린산으로 전환된다. δ-아미노레불린산은 포르피린 합성 경로의 첫 번째 화합물로, 포유동물에서는 헴으로, 식물에서는 엽록소로 유도된다.[1][2]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Beale SI (August 1990). “Biosynthesis of the Tetrapyrrole Pigment Precursor, delta-Aminolevulinic Acid, from Glutamate”. 《Plant Physiol.》 93 (4): 1273–9. doi:10.1104/pp.93.4.1273. PMC 1062668. PMID 16667613.
- ↑ Willows, R.D. (2004). 〈Chlorophylls〉. Goodman, Robert M. 《Encyclopaedia of Plant and Crop Science》. Marcel Dekker. 258–262쪽. ISBN 0-8247-426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