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h식 혈액형
![]() | 이 문서는 영어 위키백과의 Rh blood group system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
Rh식 혈액형은 사람의 혈액형 중 하나이다. ABO식 혈액형 다음으로 임상적으로 중요한 혈액형으로 취급하고 있다. D, C, c, E, e 5가지 항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이 중에서 Rh+ 혈액형과 Rh- 혈액형 구분은 D항원 유무로 구분한다.
발견
[편집]1940년 카를 란트슈타이너가 붉은털원숭이(Maccacus rhesus)의 적혈구를 토끼나 기니피그에 주사하였더니 항체가 생산되고 이 면역혈청과 원숭이의 적혈구를 다시 반응시키면 응집이 생기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실험에 사용한 원숭이의 속명인 "rhesus"의 첫머리 글자를 따서 Rh로 명명하였다. 이 때 발견된 것은 훗날에 Rh 항원 중 D 항원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후 C, c, E, e 등의 항원도 발견되었으며 현재 50가지 이상의 항원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Rh식 혈액형 명명법
[편집]일반적으로는 D 항원의 유무에 따라 D항원을 가지고 있으면 "Rh+", D항원을 가지고 있지 않으면 "Rh-"로만 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 Rh식 혈액형은 명명법에 따라 8가지에서 50가지까지 표현할 수 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명명법은 Fisher-Race법과 Wiener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 명명법을 이용해 Rh식 혈액형의 모든 항원을 표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1962년에 Rosenfild 등은 Rh식 혈액형 항원에 숫자를 부여하는 명명법을 제시하였는데, 이 방법은 Rh 주요 항원인 D항원은 Rh1, C항원은 Rh2, E항원은 Rh3, c항원은 Rh4, e항원은 Rh5로 정의하고 나머지 항원에 대해 숫자를 붙여 부여하는 방법이다. 그 외에 국제수혈국제학회(ISBT)에서는 공통적인 Rh 항원을 표현할 용어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숫자를 이용한 용어를 제정하였는데, 이 방법은 5자리의 숫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통 004XX형식으로 표현한다. 이 때 앞 세자리 수 "004"는 Rh식 혈액형임을 나타내는 것이고 뒤 두자리 수는 각 Rh식 혈액형 계통의 항원에 숫자를 부여한 것이다.
각 경우로 하여 Rh식 혈액형을 명명하면 다음과 같다.
ISBT 번호 | Rosenfild법 | Fisher-Race법 | Wiener법 | 비고 |
---|---|---|---|---|
00401 | Rh1 | D | Rh0 | |
00402 | Rh2 | C | rh' | |
00403 | Rh3 | E | rh | |
00404 | Rh4 | c | hr' | |
00405 | Rh5 | e | hr | |
00406 | Rh6 | ce | hr | f |
00407 | Rh7 | Ce | rhi | |
00408 | Rh8 | Cw | rhw1 | |
00409 | Rh9 | Cx | rhx | |
00410 | Rh10 | ces | hrv | V |
00411 | Rh11 | Ew | rhw2 | |
00412 | Rh12 | G | rhG | |
00413 | Rh13 | RhA | ||
00414 | Rh14 | RhB | ||
00415 | Rh15 | RhC | ||
00416 | Rh16 | RhD | ||
00417 | Rh17 | Hr0 | ||
00418 | Rh18 | Hr | ||
00419 | Rh19 | hrs | ||
00420 | Rh20 | es | VS | |
00421 | Rh21 | CG | ||
00422 | Rh22 | CE | rh | Jarvis |
00423 | Rh23 | Dw | Wiel | |
00424 | Rh24 | ET | ||
00425 | Rh25 | |||
00426 | Rh26 | c-like | Deal | |
00427 | Rh27 | cE | rhii | |
00428 | Rh28 | hrH | Hernandez | |
00429 | Rh29 | total Rh | ||
00430 | Rh30 | Dcor | Goa | |
00431 | Rh31 | HrB | ||
00432 | Rh32 | RN | troll | |
00433 | Rh33 | ROHar | Hill | |
00434 | Rh34 | HrB | Bastiaan | |
00435 | Rh35 | 1114 | ||
00436 | Rh36 | Bea(Berrens) | ||
00437 | Rh37 | Evans | ||
00438 | Rh38 | Duclos | ||
00439 | Rh39 | C-like | ||
00440 | Rh40 | Tar | Targett | |
00441 | Rh41 | Ce-like | ||
00442 | Rh42 | Ces | rh1s | Thornton |
00443 | Rh43 | Crawford | ||
00444 | Rh44 | Nou | ||
00445 | Rh45 | Riv | ||
00446 | Rh46 | "Allelic" to RN | Sec | |
00447 | Rh47 | Dav | ||
00448 | Rh48 | JAL | ||
00449 | Rh49 | Stem | ||
00450 | Rh50 | FPTT |
이 혈액형은 어머니가 Rh-형이고 태아가 Rh+형인 경우, 첫 번째 출산으로 어머니의 몸 속에 Rh+에 대한 항체가 생겨 두 번째 아이의 임신에 영향을 주는 신생아 용혈성 빈혈(적아세포증)에 중요하다. 또한 동양인은 Rh-형이 극히 적으므로, 수혈 시에 상당한 문제가 되기도 한다.
Rh-형은 동양에서는 전체의 1%도 안 되는 반면, 서양에서는 Rh-형이 전체의 20%를 차지한다. 이런 희귀성 때문에 동양국가에서는 Rh-형인 사람들을 따로 등록해 두기도 한다. Rh- 중에서도 극히 드문경우가 있는데 전세계에 단 43명만 있는 것으로 알려진 RH-null이다. Rh-null은 모든 Rh 항원이 없다. 보통 빈혈 증상을 겪다 알게된다.
Rh-null형
[편집]Rh-null인 사람은 적혈구에 Rh 항원(Rh 또는 RhAG)이 없다.[1] 이 희귀 질환[1]은 "황금 혈액"(Golden Blood)이라고 불린다.[2] Rh 항원이 없기 때문에 Rh-null인 적혈구는 LW와 Fy5도 결핍되고 S, s, U 항원의 발현도 약한다.
Rh/RhAG 단백질이 결핍된 적혈구는 구조적 이상(예: 구포성 적혈구증)과 세포막 결함을 나타내어 용혈성 빈혈을 유발할 수 있다.
최초의 Rh-null 혈액은 1961년 호주 원주민 여성에게서 발견되었다.[3] 전 세계적으로 이 혈액을 보유한 사람은 43명뿐이며, 활동적인 기증자는 9명뿐이다. 이러한 특성은 다양한 의료 분야에서 매력적이지만, 희소성으로 인해 운반 및 확보 비용이 높다.[4]
각주
[편집]- ↑ 가 나 Cartron JP (December 1999). “RH blood group system and molecular basis of Rh-deficiency”. 《Baillière's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Haematology》 12 (4): 655–89. doi:10.1053/beha.1999.0047. PMID 10895258.
- ↑ Faletto J (2017년 9월 9일). “Rhnull, the Rarest Blood Type on Earth, Has Been Called the "Golden Blood"”. 《Curiosity.com》. 2019년 1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5일에 확인함.
- ↑ Hasekura H, Boettcher B (1970). “Family study of the original Australian Rh-null.”. 《Proceedings of the Japan Academy》 46 (7): 733–737 – J-STAGE 경유.
- ↑ Bailey P (2014년 10월 21일). “The man with the golden blood”. 《Mosaic science》 (영어). 2024년 9월 22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의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