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No Control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No Control》
배드 릴리전정규 음반
발매일1989년 11월 2일
녹음일1989년 6월
장르하드코어 펑크[1][2][3], 멜로딕 하드코어[4]
길이26:15
언어영어
레이블에피타프
프로듀서배드 릴리전
배드 릴리전 연표
Suffer
(1989)
No Control
(1989)
Against the Grain
(1991)
전문가 평가
평가 점수
출처점수
AllMusic4.5/별[1]
Alternative Rock7/10[5]
The Rolling Stone Album Guide3/별[6]
Spin Alternative Record Guide7/10[7]
The Village VoiceB+[8]

No Control》은 미국펑크 록 밴드 배드 릴리전의 네 번째 스튜디오 음반으로, 1989년 11월 2일, 에피타프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다. 배드 릴리전은 이전 음반 《Suffer》 (1988년)을 지원하는 투어 중 이 음반 작업을 시작하였다. 《No Control》은 이전 음반보다 스타일 면에서 더 빠르며, 하드코어 펑크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또한, 이전 음반과 달리 라인업 변화가 없는 첫 번째 배드 릴리전 음반이기도 하다.

《No Control》은 배드 릴리전이 남부 캘리포니아에서 소규모 성공을 거두고 팬층을 형성하기 시작하게 만들었다.[9] 1992년까지 약 8만 장이 판매되었으며, 하드코어 펑크의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되기도 한다.[3] 이 음반에는 〈Change of Ideas〉, 〈Big Bang〉, 〈No Control〉, 〈Sometimes I Feel Like〉, 〈Automatic Man〉, 〈I Want to Conquer the World〉, 〈Sanity〉, 〈You〉와 같이 밴드의 라이브 공연에서 자주 연주되는 곡들이 수록되어 있다. 2019년까지 《No Control》에 수록된 곡 중 라이브로 한 번도 연주되지 않은 곡은 〈Progress〉와 〈The World Won't Stop〉뿐이었다.[10] 이 곡들은 2019년 4월 5일, 배드 릴리전이 로키에서 음반 전체를 공연하면서 처음으로 라이브로 선보였다.

배경 및 녹음

[편집]

배드 릴리전은 장기 공백기 이후 1987년 새로운 라인업으로 재결성되었으며, 1988년 스튜디오 음반 《Suffer》를 발매하였다. 《Suffer》는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지만, 밴드는 언더그라운드 음악 커뮤니티에서 점점 더 많은 팬층을 확보하였고[11], 비평가들의 호평도 얻었으며, 약 4,000장 판매를 기록하였다.[12] 《Suffer》 지원 투어를 계속하는 동안, 그렉 그래핀브렛 구어위츠는 1988년 말과 1989년 초에 밴드의 다음 음반을 위한 곡 작업을 시작하였다. 베이시스트 제이 벤틀리는 《No Control》 제작에 대해 "곡들이 항상 작성되고 있었습니다. '한 장짜리 음반 분량'이라고까지는 말하지 않겠지만, 1989년 미국 투어와 이어진 유럽 투어 동안 많은 아이디어가 결실을 맺고 있었습니다. 투어 사이의 휴식 기간 동안 더 많은 곡이 작성되었고, 투어 중에 '완성'되었다고 생각합니다."라고 언급하였다.[9]

《No Control》의 녹음은 1989년 6월, 《Suffer》가 제작된 웨스트비치 레코더스에서 이루어졌으며, 밴드가 반인치 2트랙으로 음반을 녹음한 첫 경험이었다. 구어위츠는 모든 트랙을 아펙스 시스템의 컴펠러를 사용해 처리한 후, 결과적으로 만들어진 "이상한 소리"가 마음에 들지 않아 믹싱 단계에서 이를 제거하는 데 많은 노력을 들였다고 회상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인 사운드는 "공격적이고 독특한" 느낌을 갖게 되었으며, 현재 그는 이 사운드를 선호한다.[9][13] 소문과 달리 〈21st Century (Digital Boy)〉 (음반 《Against the Grain》과 《Stranger than Fiction》에 수록됨)는 이 음반을 위해 작성 및 녹음된 곡이 아니다.[14]

곡 목록

[편집]

Side one
#제목작사·작곡재생 시간
1.〈Change of Ideas〉그렉 그래핀0:55
2.〈Big Bang〉브렛 구어위츠1:42
3.〈No Control〉그래핀1:46
4.〈Sometimes I Feel Like〉구어위츠1:34
5.〈Automatic Man〉구어위츠1:40
6.〈I Want to Conquer the World〉구어위츠2:19
7.〈Sanity〉구어위츠2:44

Side two
#제목작사·작곡재생 시간
1.〈Henchman〉그래핀1:07
2.〈It Must Look Pretty Appealing〉그래핀1:23
3.〈You〉구어위츠2:05
4.〈Progress〉그래핀2:14
5.〈I Want Something More〉구어위츠0:47
6.〈Anxiety〉그래핀2:08
7.〈Billy〉구어위츠1:54
8.〈The World Won't Stop〉그래핀1:57

각주

[편집]
  1. Loftus, Johnny. No Control – Bad Religion”. AllMusic. 2010년 12월 1일에 확인함. 
  2. “Bad Religion: No Control / Suffer, PopMatters”. 2004년 5월 6일. 
  3. “Epitaph.com”. 2005년 8월 2일. 2007년 8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7월 29일에 확인함. 
  4. “The 15 best punk albums of 2002, from Sleater-Kinney to the Used”. 《Alternative Press Magazine》. 2021년 12월 20일. 2022년 5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3월 5일에 확인함. 
  5. Thompson 2000, p. 170
  6. Kot, Greg (2004). 〈Bad Religion〉 4판. Brackett, Nathan; Hoard, Christian (편집).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 Schuster. 36–37쪽. ISBN 0-7432-0169-8. 
  7. Gold, Jonathan (1995). 〈Bad Religion〉. Weisbard, Eric; Marks, Craig (편집). 《Spin Alternative Record Guide》. Vintage Books. 24–25쪽. ISBN 0-679-75574-8. 
  8. Christgau, Robert (1990년 4월 3일). “Consumer Guide”. 《The Village Voice. 2023년 6월 3일에 확인함 – robertchristgau.com 경유. 
  9. No Control (album) 보관됨 8월 15, 2017 - 웨이백 머신 - The Bad Religion Page
  10. “Bad Religion Tour Statistics”. Setlist.fm. 2017년 6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10월 2일에 확인함. 
  11. Suffer (album) 보관됨 12월 16, 2017 - 웨이백 머신 - The Bad Religion Page
  12. Thompson 2000, p. 169
  13. Brett's commentary on the making of No Control (listen to it here [1] 보관됨 11월 30, 2010 - 웨이백 머신)
  14. “21st Century (Digital Boy)”. The Bad Religion Page. 2017년 1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5월 1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