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macOS 서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MacOS 서버
개발자애플
OS 계열유닉스/맥 OS X/
다윈/NEXTSTEP
상태개발 중단
소스 형태클로즈드 소스 (오픈 소스 구성 요소 포함)
최초 버전 출시일1999년 3월 16일(26년 전)(1999-03-16)
최신 버전5.12.2[1] / 2022년[2]
플랫폼macOS
커널하이브리드 커널
기본 UI아쿠아
라이선스애플 퍼블릭 소스 라이선스
애플 EULA
공식 웹사이트www.apple.com/macos/server/

macOS 서버(영어: macOS Server, 이전 이름: 맥 OS X 서버, OS X Server)는 애플이 개발했던 유닉스[3] 기반 서버 운영 체제이며, 이후 macOS용 추가 기능 앱이다.

초기에는(맥 OS X 서버 10.6 스노 레퍼드까지) 별도의 서버 운영 체제로 판매되었으나, OS X 10.7 (라이언)부터 맥 앱 스토어에서 구매할 수 있는 저렴한 애드온 앱 형태로 변경되었다.

2018년 macOS 10.14 (모하비) 출시와 함께 애플은 메일, 위키, DHCP, VPN 서버 등 핵심 기능 대부분을 지원 중단하기 시작했으며, 프로파일 관리자, Open Directory, Xsan 관리에 집중했다.[4]

2022년 4월 21일, 애플은 macOS 서버의 개발을 공식적으로 중단했다.[2] 최종 버전은 5.12.2이다. 프로파일 관리자, Open Directory 등 macOS 서버의 가장 인기 있었던 기능들은 macOS 10.13 (하이 시에라) 및 이후 버전의 macOS에 기본 기능으로 통합되었다.[2]

역사

[편집]

맥 OS X 서버 1.0 (랩소디)

[편집]

맥 OS X 서버의 첫 버전은 맥 OS X 서버 1.0이다. 맥 OS X 서버 1.0은 오픈스텝맥 OS 8을 섞은 랩소디 5.3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GUI는 맥 OS 8의 플래티넘 인터페이스와 오픈스텝넥스트 기반 인터페이스의 혼합으로 보였다. 이 운영 체제는 맥 OS 기반 응용 소프트웨어를 다른 창에서 열기 위한 블루 박스라는 런타임 환경을 포함하고 있었다. 애플 파일 서비스, 매킨토시 관리자, 퀵타임 스트리밍 서버, 웹오브젝트, 넷부트는 맥 OS X 서버 1.0부터 포함되었다.

맥 OS X 서버 10.0 (치타 서버)

[편집]

출시일: 2001년 5월 21일

맥 OS X 서버 10.0은 새로운 아쿠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적용하고 아파치, PHP, MySQL, Tomcat, WebDAV 지원, 매킨토시 관리자, 넷부트 등을 포함했다.

맥 OS X 서버 10.1 (푸마 서버)

[편집]

출시일: 2001년 9월 25일

맥 OS X 서버 10.2 (재규어 서버)

[편집]

출시일: 2002년 8월 23일

맥 OS X 서버 10.2는 업데이트된 애플 오픈 디렉터리와 파일 관리를 포함한다. 또한 넥스트에서 나온 Netinfo 아키텍처 대신 LDAP 기반으로 변화했다. 새로운 워크그룹 관리자의 인터페이스는 설정을 크게 향상시켰다. 또한 넷부트와 넷인스톨에 큰 변화를 주었다. NTP, SNMP, 아파치 HTTP 서버, Postfix, Cyrus, LDAP, AFP, 프린트 서버 등의 많은 네트워크 서비스들이 기본으로 제공되었다. 삼바 3의 탑재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클라이언트와 서버와의 통합을 가능하게 했다.

맥 OS X 서버 10.3 (팬서 서버)

[편집]

출시일: 2003년 10월 24일

이 버전에서는 삼바 3 탑재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클라이언트 및 서버와의 통합이 강화되고, 보안 기능이 향상되었다.

맥 OS X 서버 10.4 (타이거 서버)

[편집]

출시일: 2005년 4월 29일

타이거 서버는 64비트 응용 소프트웨어 지원, 액세스 제어 목록, Xgrid, 이메일 스팸 필터링 (SpamAssassin), 바이러스 감지 (클램AV),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서버, XMPP 기반 iChat 서버 등을 포함했다.[5]

2006년 8월 10일, 애플은 맥 OS X 서버의 첫 유니버설 바이너리 버전인 10.4.7을 출시했다. 이 버전은 파워PC인텔 플랫폼을 동시에 지원한다.

맥 OS X 서버 10.5 (레퍼드 서버)

[편집]

출시일: 2007년 10월 26일

레퍼드 서버는 위키 서버, 팟캐스트 프로듀서, 아이캘 서버 등 협업 기능에 중점을 두었다. 특히 아이캘 서버는 CalDAV 표준을 지원한 첫 상용 달력 서버 중 하나였다. 또한 오픈 브랜드 UNIX 03 인증을 획득하고 64비트 지원을 향상시켰다.

맥 OS X 서버 10.6 (스노 레퍼드 서버)

[편집]

출시일: 2009년 8월 28일

스노 레퍼드는 $499달러에 무제한 클라이언트 라이선스와 함께 판매되었다. 4GB 이상의 RAM을 탑재한 시스템에서 64비트 커널을 사용하는 완전한 64비트 운영 체제로 출시되었다.[6]

새로운 기능으로 아이캘 서버 2, CardDAV 프로토콜 표준을 지원하는 연락처 서버, 푸시 이메일 지원(아이폰 제외) 등이 추가되었다.

앱(App)으로의 전환 및 개발 중단

[편집]

OS X 10.7 (라이언)부터 맥 OS X 서버는 더 이상 별도의 운영 체제로 판매되지 않았다. 대신, 데스크톱 OS X과 통합되었으며, 서버 기능은 맥 앱 스토어를 통해 $49.99(이후 $19.99)에 구매할 수 있는 OS X Server 앱 형태로 제공되었다. 이 앱은 파일 공유, Xsan, 프로파일 관리자 및 Open Directory 등의 서비스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GUI 도구를 제공했다.

기능 축소: 2018년 macOS 10.14 (모하비) 출시와 함께 배포된 macOS 서버 5.7.1부터 많은 서비스가 지원 중단되었다. 여기에는 캘린더, 연락처, DHCP, DNS, 이메일, FTP, VPN, 웹 서버, 위키 등이 포함된다. 애플은 이러한 서비스들이 오픈 소스 커뮤니티에서 훌륭한 대안을 찾을 수 있다고 밝혔다.[4]

개발 중단: 2022년 4월 21일, 애플은 macOS 서버 앱의 개발을 공식적으로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최종 버전은 5.12.2가 되었다.[2]

최종 버전의 기능 및 마이그레이션

[편집]

개발 중단 시점의 macOS 서버(버전 5.12.2)는 다음 세 가지 주요 서비스에 중점을 두었다.

  • 프로파일 관리자: 모바일 장치 관리 솔루션으로, 조직 내의 macOS 및 iOS 장치를 구성하고 관리한다.
  • Open Directory: LDAP 기반의 디렉터리 서비스로, 사용자 계정 및 인증을 중앙에서 관리한다.
  • Xsan: 스토리지 에어리어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을 관리한다.

애플의 개발 중단 발표에 따라, 프로파일 관리자와 Open Directory 기능은 macOS 10.13 (하이 시에라) 및 이후 버전에 기본 기능으로 완전히 통합되었다.[2] Xsan 관리 도구 또한 macOS에 기본 내장되어 있다. 캐싱 서버, Time Machine 서버, 파일 공유 기능 역시 macOS 자체의 공유 환경설정에서 관리할 수 있다.

시스템 요구 사항

[편집]

최종 버전 (macOS Server 5.12.2)

[편집]

macOS 서버 5.12.2 (최종 앱 버전)의 시스템 요구 사항은 다음과 같다.

요구 사항
운영 체제 macOS Monterey 12.3 및 이후 버전[1]
RAM 4GB
하드 드라이브 10GB의 여유 공간

과거 버전 (맥 OS X 서버 10.6)

[편집]

맥 OS X 서버 10.6 (스노 레퍼드)의 시스템 요구 사항은 다음과 같다.[7]

요구 사항
프로세서 인텔 프로세서
RAM 2GB
하드 드라이브 10GB의 여유 공간

기술적 사양 (10.6 스노 레퍼드 기준)

[편집]
10.6 스노 레퍼드 서버의 기술적 사양 (펼치기)
{{{2}}}

파일 및 프린팅 서비스

디렉터리 서비스 및 인증

  • 오픈 디렉터리 (OpenLDAP, Kerberos, SASL)
  • NT 도메인 서비스 (삼바 3)
  • 백업 도메인 컨트롤러(BDC)
  • LDAP 디렉터리 커넥터
  • 액티브 디렉터리 커넥터
  • BSD 설정 파일 (/etc)
  • RADIUS

메일 서비스

캘린더링

웹 호스팅

협업 서비스

  • 위키 서버 (RSS)
  • 아이챗 서버 2 (XMPP)

애플리케이션 서버

미디어 스트리밍

클라이언트 관리

  • 관리된 설정
  • 넷부트
  • 넷인스톨
  •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서버
  • 포터블 홈 디렉터리

네트워킹과 VPN

배포 컴퓨팅

  • Xgrid 2

고 가용성 기능

파일 시스템

  • HFS+ (저널링, 대소문자 구분/구분하지 않음)
  • FAT
  • NTFS (작성 지원은 맥 OS X 스노 레퍼드 서버에서만 가능)
  • UFS (읽기 전용)

관리 기능

  • 서버 어시스턴트
  • 서버 관리
  • 서버 설정
  • 서버 상태 위젯
  • 워크그룹 관리자
  • 시스템 이미지 유틸리티
  • 보안 셸 (SSH2)
  • 서버 모니터
  • RAID 유틸리티
  • SNMPv3 (Net-SNMP)

각주

[편집]
  1. “macOS Server 5.12.2의 새로운 기능”. 《Apple Support》. Apple. 2022년 4월 27일. 2025년 11월 2일에 확인함. 
  2. “macOS Server의 변경 사항에 대비하기”. 《Apple Support》. Apple. 2022년 5월 12일. 2025년 11월 2일에 확인함. 
  3. “Mac OS X Server Snow Leopard - UNIX”. Apple. 2010년 4월 30일에 확인함. 
  4. “macOS Server 5.7.1 및 이후 버전에 관하여”. 《Apple Support》. Apple. 2022년 5월 12일. 
  5. “Apple”. 2006년 8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1월 25일에 확인함. 
  6. “Apple - Mac OS X Server Snow Leopard - 64-bit Computing”. 2009년 8월 26일에 확인함. 
  7. “Mac OS X Server - Technical Specifications”. 2009년 6월 8일. 2011년 6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0월 1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