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7 프리스트
보이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20년 5월) |
![]() | 이 문서는 위키백과의 편집 지침에 맞춰 다듬어야 합니다. (2020년 5월 16일) |
M7 프리스트 | |
---|---|
![]() | |
종류 | 자주포 |
국가 | 미국 |
역사 | |
생산년도 | 1942년 |
제원 | |
중량 | 50,640 lb (22.97 metric tons) |
길이 | 20 ft (6.02 m) with sandshields |
폭 | 9.41 ft (2.87 m) with sandshields |
높이 | 9.67 ft (2.95 m) over AA machine gun |
승무원 | 7 |
장갑 | 51 mm (2 in) |
주무장 | 105 mm M1/M2 곡사포 69 rounds |
부무장 | 1 x .50cal M2 MG 300 rounds |
엔진 | Continental R-975 C1 (400 or 340 hp (298 or 254 kW)) |
서스펜션 | vertical volute spring |
작전반경 | 120 mi (193 km) |
최고속도 | 24 mph (39 km/h) on road 15 mph (24 km/h) off road |
M7 자주포 프리스트는 미국 및 연합군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사용하던 자주포이다. M4 셔먼 또는 M3 리 전차 차체를 이용했다. '프리스트'라는 이름은 영국군이 붙인 이름이다.
개발
[편집]1942년 당시 미군은 화력지원을 위해 M3 반궤도 장갑차에 75mm 곡사포를 장착하였으나 화력 지원에 한계가 있었다. 그대신에 중전차인 M3 리 전차 차체에 강력한 105mm 곡사포를 장착하여 1942년부터 생산을 시작하였다. 이 자주포는 6 ~ 7명을 태울 수 있었고 M2 중기관총을 장착하였고, 후기형은 M3 리 전차 차체 대신에 M4 셔먼 차체를 이용하였다. 약 5,000 대가 생산되었으며 영국군에도 이 자주포를 대량으로 운용하였다.
기종
[편집]- M7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다.
- M7B1
가장 보편화된 타입이다.
- M7B2
마지막 생산형이며 한국 전쟁 당시에도 사용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