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X-마음
ITX-마음 | |
---|---|
![]() | |
개요 | |
국가 | ![]() |
종류 | 급행여객열차 |
현황 | 운행 중 |
지역 | ![]() |
기간 | 2023년 9월 1일 ~ 현재 |
운영자 | ![]() |
노선 | |
기점 | 서울 · 용산 · 청량리 · 동대구 · 서화성 · 홍성 · 강릉 |
역 수 | 65 |
종점 | 부산 · 목포 · 여수엑스포 · 동해 · 안동 · 익산 · 부전 · 태화강 · 홍성 |
운행 노선 | 경부선 · 호남선 · 전라선 · 태백선 · 영동선 · 중앙선 · 동해선 · 대구선 · 서해선 · 장항선 · 평택선 · 삼척선 |
차내 서비스 | |
장애인 접근성 | 지원 |
좌석 | 264석 |
세부 정보 | |
철도 차량 | 한국철도공사 22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전철화 | 교류 25,000V 60Hz |
운행 속도 | ATS/ATP 구간 150 km/h |
ITX-마음(ITX-MAUM)은 한국철도공사의 열차 등급 명칭으로, 준고속열차에 해당한다. 노후화가 된 무궁화호를 대체할 목적으로 등장했으며, 2023년 9월 1일부터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중앙선, 동해선, 영동선, 태백선, 대구선 등에서 운행을 시작했다. 법적으로 ITX-새마을과 등급이 동일하고 운임도 기존 ITX-새마을과 동일한 요금으로 책정했다. 다원시스가 제작한 간선 전기 동차 (EMU-150)가 운행된다.
역사
[편집]2022년 대국민 열차 명칭 공모가 진행되었으며, 총 8,175건의 후보안이 들어왔다. 이후 열차 명칭은 'ITX-마음'으로 결정되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이 태백선을 시작으로 한반도, 유라시아 너머까지 잇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ITX-마음으로 이름을 붙였다"고 설명하였다.[1]
2023년 9월,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태백선 운행이 시작되었다.[2] 2024년 12월, 중앙선 청량리-부전 구간(433km)의 운행이 시작되었다.[3]
연혁 |
|
차량·기술 사양
[편집]간선 전기 동차로 4량 편성, 또는 8량(중련) 편성으로 운행된다. 열차 외관은 바람 저항을 고려한 부드러운 유선형으로 설계되었으며, 색채 조합은 빨강과 검정이다.
실내 편의사양으로는 차내 무선인터넷, 좌석당 전원 콘센트·USB 포트, 독서등, 간이석 등이 있다. 승강장 높이에 따라 출입문 발판을 조정할 수 있다.[2]
차호
[편집]ITX-새마을의 210000호대에 이어 220000호대 차호를 부여받아 운행된다. 총 26편성이 운행 중이다.
운행 노선
[편집]2025년 1월 1일 기준 ITX-마음이 운행 중인 노선은 다음과 같다.
노선 | 구간 | 열차번호 | 비고 |
---|---|---|---|
경부선 | 서울 - 부산 | 1101~1108 | |
동대구 - 부산 | 1132, 1133 | ||
호남선 | 용산 - 익산 | 1141, 1142 | 계룡 정차 |
용산 - 목포 | 1161~1164 | 계룡 통과 용산~익산 구간은 호남선과 전라선 열차가 중련 운행한다. | |
장항선 | 용산 - 홍성 | 1151~1153 | |
전라선 | 용산 - 여수엑스포 | 1181~1184 | 계룡 통과 용산~익산 구간은 호남선과 전라선 열차가 중련 운행한다. |
동해선 | 동대구 - 부전 | 1172, 1175 | |
동대구 - 강릉 | 1241, 1260, 1261 | 평일에만 운행: 1241 주말에만 운행: 1261 | |
부전 - 강릉 | 1233~1234, 1250~1257 | 평일에만 운행: 1233~1234 주말에만 운행: 1253~1254 | |
영동선 ㆍ 태백선 | 청량리 - 동해 | 1191, 1192 | |
중앙선 | 청량리 - 안동 | 1200, 1205 | |
청량리 - 부전 | 1201~1204 | ||
서해선 | 서화성 - 홍성 | 1270, 1277 | |
평택선(순환) | 홍성 - 홍성 | 1290, 1295 |
정차역
[편집]2025년 1월 1일 기준 ITX-마음의 정차역은 다음과 같다. 필수 정차역은 굵은 글씨로 표현했다. 호남선 용산발 목포행/목포발 용산행 열차와 전라선 용산발 여수엑스포행/여수엑스포발 용산행 열차는 용산역부터 익산역까지 중련 운행한다.
- 경부선 :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대전 - 영동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청도 - 밀양 - 물금 - 구포 - 부산
- 호남선: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9] - 천안 - 조치원[10]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11]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12] - 일로[13] - 목포
- 전라선: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14] - 천안 - 조치원[15] - 신탄진 - 서대전 - 논산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16] - 구례구[17]-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 중앙선: 청량리 - 덕소 - 양평 - 용문 - 양동 - 서원주 - 원주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 - 안동 - 의성 - 군위 - 영천 - 아화 - 경주 - 북울산- 태화강- 남창- 기장-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 동해선: 동대구 - 하양 - 영천 - 경주 - 북울산 - 태화강 - 기장 - 남창 - 센텀 - 신해운대 - 부전 / 강릉 - 정동진 - 묵호 - 동해 - 추암 - 삼척해변 - 삼척 - 근덕 - 임원 - 옥원 - 흥부 - 죽변 - 울진 - 매화 - 기성 - 평해 - 후포 - 고래불 - 영해 - 영덕 - 월포 - 포항 - 서경주 -경주 - 북울산 - 태화강- 남창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 강릉 - 정동진 - 묵호 - 동해 - 삼척해변 - 삼척 - 흥부 - 울진 - 기성 - 후포 - 고래불 - 영해 - 영덕 - 월포 - 포항 - 서경주 - 영천 -하양 - 동대구
차내 안내 방송
[편집]음원
[편집]- 중간정차역 도착시 : 어린 달
- 종착역 도착시 : 날자꾸나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태백선 신규 열차 'ITX-마음' 명명…다음 달 1일부터 운행(종합)”. 《연합뉴스》. 2023년 8월 25일.
- ↑ 가 나 “코레일, 태백역서 친환경 신형 열차 'ITX-마음' 개통·시승식”. 《연합뉴스》. 2023년 8월 25일.
- ↑ “코레일, 중앙선 완전개통…KTX-이음·ITX-마음 운행 시작”. 《뉴시스》. 2024년 12월 20일.
- ↑ 《ITX-마음의 상표 정보》, doi:10.8080/4020230152774
- ↑ 이상호 선임기자 (2023년 8월 25일). “태백선 신규 열차 ‘ITX-마음’…다음 달 1일부터 운행”. 《경향신문》.
- ↑ “신설노선 신설역 사업부서 편제 및 관리역 지정 검토(안)”. 국토교통부. 2024년 10월 8일. 2024년 10월 21일에 확인함.
- ↑ “서해선축 3개 노선 ITX-마음 구간별 운임 알림”. 《레츠코레일》. 2024년 10월 25일. 2024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 박주영 기자 (2025년 1월 1일). “부산서 강릉까지 환승 없이 열차로 간다…동해선 오늘 개통”. 《조선일보》.
- ↑ 하행 2대는 전부 정차하고 상행 2대는 전부 통과한다.
- ↑ 상행, 그 중에서도 1164만 정차한다.
- ↑ 1141, 1142열차만 정차
- ↑ 하행, 그 중에서도 1163만 통과하며, 함평나비축제 기간에는 정차한다.
- ↑ 상행, 그 중에서도 1162만 정차한다.
- ↑ 하행 1대만 정차하며 상행열차 1대 하행열차 1대는 정차 나머지는 모두 평택역 통과
- ↑ 상행, 그 중에서도 1184만 정차한다.
- ↑ 상행,하행 각각 1편씩 정차한다.
- ↑ 하행 1대만 정차하며 상행열차 1대 하행열차 1대는 정차 나머지는 구례구역 통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