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ber.js
보이기
![]() | |
원저자 | Yehuda Katz |
---|---|
개발자 | Ember Core Team |
발표일 | 2011년 12월 8일 |
안정화 버전 | 6.3.0[1] ![]() |
저장소 | |
프로그래밍 언어 | 자바스크립트 |
운영 체제 | 크로스 플랫폼 |
종류 |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
라이선스 | MIT 허가서[2] |
상태 | 개발 중 |
웹사이트 | www |
Ember.js는 모델-뷰-뷰모델(MVV) 패턴에 기반을 둔 오픈 소스 자바스크립트 웹 프레임워크이다. 공통 이디엄(idiom)과 최상의 프랙티스(practice)를 프레임워크에 도입함으로써 개발자들이 스케일링이 가능한 싱글 페이지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게 한다.[3]
Ember는 수많은 유명 웹사이트에 사용되는데, 여기에는 디스코스,[4] 그루폰,[5] 링크드인, Vine, Live Nation, 노드스트롬, 트위치, 치폴레가 포함된다.[6] 주로 웹 프레임워크로 간주되지만 Ember로 데스크톱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도 만들 수 있다.[7][8][9] Ember 데스크톱의 가장 저명한 예로 애플 뮤직,[10](아이튠즈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의 한 기능)이 있다. Ember의 상표는 Tilde사가 소유하고 있다.[11] 롤 클라이언트에서도 쓰인다
기본 개념
[편집]Ember는 5가지 주요 개념을 구성한다:[12]
- 루트(Routes)
- Ember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상태는 URL로 표현한다. 각 URL은 사용자에게 보이는 것을 제어하는, 상응하는 루트가 있다.
- 모델(Models)
- 모든 루트는 이와 연결되는 모델이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의 현재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담고 있다.[13] 서버의 JSON 객체를 불러들여 해당 객체들을 모델로 사용하기 위해 jQuery를 사용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들은 Ember 데이터 등의 모델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이를 관리한다.
- 템플릿(Templates)
- 애플리케이션의 HTML을 빌드하기 위해 템플릿을 사용할 수 있으며 HTMLBars 템플릿 언어로 작성한다. (HTMLBars는 문자열이 아닌 DOM 요소를 만드는 핸들바이다.)[14]
- 컴포넌트(Components)
- 컴포넌트는 사용자 지정 HTML 태그이다.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여 동작을 구현하며 보이는 형태는 HTMLBars 템플릿을 사용하여 정의한다. 컴포넌트는 자신의 데이터를 "소유"한다. 네스트(nest) 처리할 수 있으며 액션(이벤트)를 통해 부모 컴포넌트와 통신할 수 있다. Polymer 등 다른 컴포넌트 라이브러리들을 Ember에 사용할 수도 있다.[15]
- 서비스(Services)
- 서비스는 사용자 세션 등 장기간 데이터를 보유하기 위한 싱글톤(singleton) 객체이다.[16]
Ember 2.0
[편집]Ember 2.0은 2015년 8월 31일 출시되었다.[17]
Ember 소프트웨어 스택
[편집]Ember.js는 Ember 코어 팀이 개발하고 지원하는 완전한 프론트엔드 스택의 한 구성 요소이다.
각주
[편집]- ↑ “Release 6.3.0”. 2025년 3월 17일. 2025년 3월 28일에 확인함.
- ↑ “ember.js/LICENSE”. 《GitHub》 (영어). 2017년 4월 27일에 확인함.
- ↑ Aghassipour, Alexander; Chacko, Shajith (2012년 11월 30일). “Enterprise Apps Are Moving To Single-Page Design”. 테크크런치.
- ↑ “Discourse-Built with Ember.js”. 《GitHub》. 2015년 7월 15일에 확인함.
- ↑ “Building With Ember.js at Groupon”. 《TalentBuddy》. 2015년 10월 15일에 확인함.
- ↑ http://libscore.com/?#Ember
- ↑ “Ember-Write Once, Run Everywhere”. 《GitHub》. 2015년 7월 5일.
- ↑ “Build better desktop apps with Ember”. 《SpeakerDeck》. 2015년 7월 5일.
- ↑ “Wicked Good Ember 2015 talk - Build better desktop apps with Ember, video”. 2015년 7월 5일. 2015년 7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15일에 확인함.
- ↑ “Built with ember - Apple Music”. 《BuiltWithEmber》. 2019년 9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Ember.js: Legal”. 《emberjs.com》 (영어). 2019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Frank Treacy. “5 Essential Ember 2.0 Concepts You Must Understand”. 《EmberIgniter》. 2016년 7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8월 31일에 확인함.
- ↑ “Ember.js - Models: Introduction”. 《Emberjs》. 2014년 1월 21일에 확인함.
- ↑ Jackson, Robert. “HTMLBars”. 《GitHub》. 2015년 2월 18일에 확인함.
- ↑ “How To Add Polymer To Your Ember Project”. 《ProgramWithErik》. 2015년 8월 11일에 확인함.
- ↑ “Ember Services Tutorial”. 《ProgramWithErik》. 2015년 7월 27일에 확인함.
- ↑ “Ember Releases”. 2018년 12월 15일에 확인함.
추가 문헌
[편집]- Builes, Adolfo (2015). “Ember-cli 101”. 《Leanpub》. Regularly updated.
- Erdi, Balint (2015). “Rock and Roll with Ember.js”. 《balinterdi.com》. Regularly updated.
- White, Matthew (2015). 《Deliver Audacious Web Apps with Ember 2》. The Pragmatic Programmers, LLC. ISBN 978-1-68050-078-3. 2018년 9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1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