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F-41
| DF-41 | |
|---|---|
| 기본 정보 | |
| 종류 | 대륙간 탄도 미사일 |
| 제작자 | 중국발사체기술연구원(CALT) |
| 사용자 | 중국 인민해방군 로켓군 |
| 도입 | 2017년 |
| 제원 | |
| 엔진 | 3단 고체연료 로켓 |
| 추진 | 3단 고체연료 |
| 발사 중량 | ~80000kg[1] |
| 길이 | ~22m[1] |
| 직경 | ~2.25m[1] |
| 속력 | 마하 25[2] |
| 사거리 | ~12,000~15,000km[1] |
| 탄두 | 8 x 250 kt 또는 10 x 150 kt MIRV |
| 유도 | 관성항법장치, 성정 업데이트 및 베이더우 지원 가능[3] |
| 발사대 | 사일로, 도로 이동식 TEL, 철도 이동식 |

둥펑-41 또는 DF-41 (NATO 보고명: CH-SS-20;[4] 이전 보고명: CSS-10[5])은 중국 인민해방군 로켓군이 운용하는 4세대 중국 고체연료 도로 이동식 대륙간 탄도 미사일이다. DF-41은 중국이 개발한 둥펑 시리즈 전략 미사일의 4세대이다.[6] 이 미사일은 2019년 10월 1일 중국 국경절 열병식에서 공식적으로 공개되었다.
설계
[편집]
이 미사일은 보고된 바에 따르면 12,000~15,000km 사이의 작전 사거리를 가진다.[1] 최고 속도는 마하 25에 달하며,[7] MIRV (최대 10개) 운반이 가능하다고 믿어진다.[8] MIRV 기술 개발은 중국의 핵 억지력 능력을 저하시키는 미국의 국가 미사일 방어 시스템 배치에 대한 대응으로 보고되었다.[9] 이 프로젝트는 1986년에 시작되었으며,[8] 현재 JL-3 프로그램과 연계될 수 있다.
DF-41이 3~8개의 탄두를 운반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었지만, 분석가들은 추가적인 페이로드가 많은 관성항법장치에 사용되면서 3개의 탄두만 운반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생각한다.[10]
개발
[편집]2013년 4월, 중화민국 국가안보국 국장은 중화민국 입법원에 DF-41이 아직 개발 중이며 배치되지 않았다고 보고했다.[11]
미국 국방부는 2013년 중국 군사 개발에 대한 의회 보고서에서 DF-41에 대한 명확한 언급은 없었지만, "중국이 다탄두 각개 목표 재돌입 비행체를 운반할 수 있는 새로운 도로 이동식 ICBM을 개발 중일 수 있다"고 명시했는데, 이는 DF-41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12]
2014년 8월, 중국 산시성 (섬서성) 환경 감시 센터 웹사이트가 DF-41 ICBM 환경 감시 현장에 대한 뉴스 보고서를 우연히 게재했으며, 이 뉴스 보고서(및 전체 웹사이트)는 대중의 관심을 받은 직후 삭제되었다.[13]
2015년 8월, 이 미사일은 네 번째 시험 비행을 했다.[3] 2015년 12월, 이 미사일은 다섯 번째 시험 비행을 했다. 2016년 4월, 중국은 DF-41의 7번째 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2017년 1월 23일, 중국이 러시아와 접한 헤이룽장성에 전략 탄도 미사일 여단을 배치했으며, 또 다른 전략 탄도 미사일 여단이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배치되었다고 보고되었다.[14]
2017년 11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국 방문 이틀 전에 고비 사막에서 DF-41이 시험되었다.[15][16]
2019년 10월 1일, 중국은 건국 70주년 국경일 열병식에서 이 미사일들을 처음으로 공개적으로 선보였다. [17]
철도 이동식 버전
[편집]2015년 12월 5일, 중국은 러시아 RT-23 몰로데츠와 유사한 DF-41의 새로운 철도 이동식 버전의 발사 시험을 실시했다.[18]
사일로 기반 버전
[편집]2021년, 미국 과학자 연맹(FAS)은 중국이 간쑤성 옥문관 근처에 DF-41용 미사일 사일로 120개를, 신장 위구르 자치구 하미시 근처에 110개를 건설하고 있다고 밝혔다.[19]
세 번째 기지는 2021년 8월 내몽골 자치구 어얼둬쓰시 근처에서 건설 중인 것이 발견되었다. 새로운 기지는 100개 이상의 ICBM을 수용할 것이다.[20]
미국 관리들은 이 세 개의 새로운 미사일 기지가 총 350~400개의 새로운 장거리 핵미사일을 수용할 것이라고 말했다.[21][22]
시험발사
[편집]2024년 9월 25일, 중국 중국 인민해방군 로켓군이 훈련용 모의 탄두를 탑재한 ICBM 1발을 현지시간 오전 8시 44분 태평양 공해 해역으로 발사해 목표 해역에 정확하게 탄착시켰다. 둥펑-31 AG인 것으로 추정된다.
둥펑-31 AG는 2017년 7월 내몽골에서 열린 중국 인민해방군 창건 90주년 기념 열병식 때 공개된 바 있다.
발사 차량이 비포장도로를 지나갈 수 있어 추적해 파괴하기 어려운 것으로 평가된다.
중국이 태평양으로 ICBM을 시험 발사한 것은 1980년 DF-5 이후 44년 만에 처음이다.
샘 로게빈 호주 로위연구소 국제안보 전문가는 "사거리가 만 2천~만 5천km에 달하는 이동식 대륙간탄도미사일인 DF-41을 시험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같이 보기
[편집]- RT-2PM 토폴 - 러시아의 8바퀴 핵미사일
- RT-2PM2 토폴-M - 러시아의 8바퀴 핵미사일
- RS-24 야르스 - 러시아의 8바퀴 핵미사일
- KN-08 - 2012년 공개된 북한의 8바퀴 핵미사일
- 미니트맨 - 현재 실전배치되어 있는 유일한 미국의 지상발사 핵미사일. 트럭 이동식이 아니다. 무게도 러시아 중국 보다 10톤 정도 적은 30톤이다.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DF-41 (Dong Feng-41 / CSS-X-20)” (미국 영어).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2019년 10월 8일. 2017년 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7월 28일에 확인함.
- ↑ “5 fastest missiles in the world [2024]”. 2024년 4월 25일.
- ↑ 가 나 “DF-41 (Dong Feng-41 / CSS-X-20)”. 《Missile Threat》.
- ↑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2023년 2월 15일). 〈6 Asia〉. 《The Military Balance 2023》. London: Routledge. doi:10.4324/9781003400226. ISBN 9781003400226. S2CID 256916955.
- ↑ Lennox 2003, 52쪽.
- ↑ “China's strategic deterrents on display” (미국 영어). 《China Daily》. 2019년 10월 2일. 2019년 10월 19일에 확인함.
- ↑ “China Reports DF-41 ICBM Test-Launch: Armed Forces International News”. 2014년 8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DF-41 (CSS-X-10) (China) - Jane's Strategic Weapon Systems”. 《Janes.com》. 2010년 6월 1일. 2011년 3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아르준 수브라마니안 P (2012년 11월 12일). “DF-41: China's answer to the US BMD efforts”. 방위연구분석연구소. 2014년 3월 8일에 확인함.
- ↑ 크리스텐슨, 한스 M.; 노리스, 로버트 S. (2018). 《Chinese nuclear forces, 2018》. 《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74. 289–295쪽. Bibcode:2018BuAtS..74d.289K. doi:10.1080/00963402.2018.1486620.
- ↑ 로게 첸 and 소피아 우 (2013년 4월 15일). “China yet to deploy 094 sub, JL-2 & DF-41 missiles: security head”. 《Focus Taiwan》 (중앙통신사). 2013년 4월 19일에 확인함.
- ↑ Military and Security Developments Involving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3 (PDF) (보고서). 《Office of the Secretary of Defense》 (U.S. Department of Defense). 2013. 6쪽. 2015년 1월 1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월 18일에 확인함.
- ↑ “China 'confirms new generation long range missiles'”. Daily Telegraph. AFP. 2014년 8월 1일. 2014년 8월 2일에 확인함.
- ↑ Say Hello to China's ICBMs, SpaceDaily.com, 2017-01-30
- ↑ “Did China test a missile that could strike US ahead of Trump's visit?” (영어). 《South China Morning Post》. 2017년 11월 9일. 2019년 6월 8일에 확인함.
- ↑ 보라, 쿠킬 (2017년 11월 10일). “Ahead of Trump visit, China likely tested 12,000-km-range missile that could strike anywhere in US”. 《International Business Times, India Edition》.
- ↑ “China displays new hypersonic nuclear missile on 70th anniversary”. 《www.aljazeera.com》.
- ↑ 피셔 주니어, 리처드 (2015년 12월 23일). “China developing new rail-mobile ICBM, say US officials”. 《Jane's 360》. 2015년 12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0월 25일에 확인함.
- ↑ “China Is Building A Second Nuclear Missile Silo Field” (미국 영어).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21년 8월 1일에 확인함.
- ↑ “EXCLUSIVE: China building third missile field for hundreds of new ICBMs”. 《워싱턴 타임스》.
- ↑ “The Chinese Nuclear Breakout and the Biden Administration's Nuclear Posture Review | RealClearDefense”. 2021년 8월 28일.
- ↑ “China's nuclear missile silo expansion: From minimum deterrence to medium deterrence” (미국 영어). 《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2021년 9월 1일. 2021년 10월 2일에 확인함.
- 레녹스, 덩컨 편집 (2003). 《제인 전략 무기 시스템》. 영국 서리 카울즈던: 제인스 정보 그룹. ISBN 0-7106-08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