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use and Effect (킨의 음반)
보이기
| 《Cause and Effect》 | ||||
|---|---|---|---|---|
![]() | ||||
| 킨의 정규 음반 | ||||
| 발매일 | 2019년 9월 20일 | |||
| 녹음일 | 2018년~2019년 | |||
| 장르 | 얼터너티브 록 | |||
| 길이 | 46:02 | |||
| 언어 | 영어 | |||
| 레이블 | 아일랜드 | |||
| 프로듀서 | 데이비드 코스텐, 킨 | |||
| 킨 연표 | ||||
| ||||
《Cause and Effect》는 영국의 얼터너티브 록 밴드 킨의 다섯 번째 스튜디오 음반으로, 2019년 9월 20일, 아일랜드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다.[1] 이 음반은 《Strangeland》 (2012년) 이후 처음 발매된 스튜디오 음반이며, 2014년 초부터 2018년 말까지의 휴지기 이후에 나온 작품이다.[2] 《Cause and Effect》는 영국 음반 차트에서 2위에 올랐다.[3]
홍보
[편집]첫 번째 싱글 〈The Way I Feel〉은 2019년 6월 6일, BBC 라디오 2와 유튜브를 통해 공개되었다.[4]
두 번째 싱글 〈Love Too Much〉은 2019년 8월 8일, BBC 라디오 2와 유튜브를 통해 공개되었다.[5]
평가
[편집]《Cause and Effect》는 평론가들로부터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메타크리틱에서는 주류 매체의 리뷰를 100점 만점으로 환산해 제공하는데, 이 음반은 7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평균 68점을 기록하여 "대체로 호의적인 평가"로 분류되었다.[7]
올뮤직의 닐 Z. 영은 이 음반에 5점 만점에 3.5점을 부여하며, "혁신적인 컴백은 아니지만, 《Cause and Effect》는 극적인 변화를 겪은 10년 동안 배운 지혜와 진솔함으로 익숙한 공식을 새롭게 살려낸 만족스러운 복귀작"이라고 평했다.[8]
곡 목록
[편집]모든 곡들은 킨에 의해 작사/작곡하였다.
| # | 제목 | 재생 시간 |
|---|---|---|
| 1. | 〈You're Not Home〉 | 5:31 |
| 2. | 〈Love Too Much〉 | 3:09 |
| 3. | 〈The Way I Feel〉 | 4:06 |
| 4. | 〈Put the Radio On〉 | 4:11 |
| 5. | 〈Strange Room〉 | 4:23 |
| 6. | 〈Stupid Things〉 | 3:48 |
| 7. | 〈Phases〉 | 3:36 |
| 8. | 〈I'm Not Leaving〉 | 4:13 |
| 9. | 〈Thread〉 | 4:51 |
| 10. | 〈Chase the Night Away〉 | 4:03 |
| 11. | 〈I Need Your Love〉 | 4:11 |
인증
[편집]| 국가 | 인증 | 판매량/출하량 |
|---|---|---|
| 영국 (BPI)[18] | 실버 | 60,000 |
각주
[편집]- ↑ “Keane announce Dublin and Belfast gigs and new album”. 《Rte.ie》. 2019년 6월 6일. 2019년 6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19일에 확인함.
- ↑ “Cause and Effect - Keane | User Reviews”. 《AllMusic》. 2019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19일에 확인함.
- ↑ “Official Albums Chart Top 100 | Official Charts Company”. 《Official Charts》. 2022년 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8월 31일에 확인함.
- ↑ “Keane - the Way I Feel”. 《YouTube》. 2019년 9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Keane - Love Too Much”. 《YouTube》. 2019년 9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Cause & Effect by Keane reviews”. AnyDecentMusic?. 2019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Cause and Effect by Keane Reviews and Tracks”. Metacritic. 2020년 7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가 나 Yeung, Neil Z. “Cause and Effect - Keane”. AllMusic. 2019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Hasted, Nick (2019년 9월 20일). “CD: Keane - Cause And Effect”. 《The Arts Desk》. 2020년 9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7월 9일에 확인함.
- ↑ McCormick, Neil (2019년 9월 19일). “Cause and Effect, Keane review: an album of strange beauty from a sadder, wiser band”. 《The Daily Telegraph》. 2019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LUCKHURST, PHOEBE (2019년 9월 20일). “Keane's muted comeback Cause and Effect won't convert non-believers” (영어). 《Evening Standard》. 2020년 3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7월 9일에 확인함.
- ↑ Hunter-Tilney, Ludovic (2019년 9월 20일). “Keane: Cause and Effect — themes of middle-aged crisis”. 《Financial Times》. 2019년 9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Aroesti, Rachel (2019년 9월 20일). “Keane: Cause and Effect review – even a jaunty indie quartet can have a mid-life crisis”. 《The Guardian》. 2019년 9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White, Adam; O'Connor, Roisin (2019년 9월 19일). “Album reviews: Liam Gallagher – Why Me? Why Not. and Keane – Cause and Effect”. 《The Independent》. 2019년 9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Richards, Will (2019년 9월 13일). “Keane – 'Cause And Effect' review”. 《NME》. 2019년 9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Aizlewood, John. “Keane: Cause & Effect” November 2019판. 《Q》. 404호. 112쪽.
- ↑ Hodgkinson, Will (2019년 9월 20일). “Keane: Cause and Effect review — comforting, elegant and uplifting”. 《The Times》. 2019년 9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British album certifications – Keane – Cause and Effect” (영어). 영국 축음기 협회. 2020년 11월 6일.
외부 링크
[편집]- Cause and Effect - 디스코그스 (발매 목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