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I 효과
CSI 효과(CSI effect)는 2000년에 첫 방영된 CSI: 과학수사대와 같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법과학이 과장되게 묘사되면서 배심원의 태도에 변화가 생겼다고 여겨지는 현상이다. 배심원은 형사 재판에서 법과학 증거 (예: 지문 및 DNA 분석)가 많이 제시될 것을 기대하여 검찰의 효과적인 입증 기준을 높일 수 있다. 이 용어는 2004년 USA 투데이 기사에서 법과학을 다루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재판 배심원에게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면서 처음 보고되었다.[1]
이러한 믿음은 미국 법률 전문가들 사이에서 널리 퍼져 있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범죄 드라마가 그러한 효과를 일으킬 가능성이 낮다고 시사했다. 다만 CSI를 자주 시청하는 사람들은 정황증거에 더 낮은 가치를 둘 수 있다.[2] 기술이 발전하고 사회 전반에 걸쳐 보편화됨에 따라 사람들은 법과학 기술의 능력에 대해 더 높은 기대를 가질 수도 있다.[3] CSI 효과는 또한 미디어와 학계에서 형사 사법 시스템의 법과학 분야를 다시 대중화시켰다.
배경
[편집]CSI 효과는 2000년에 처음 방영된 텔레비전 프로그램 CSI: 과학수사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CSI에서 가상의 "범죄 현장 수사관"("CSI 요원") 팀은 라스베이거스 광역권에서 살인 사건을 해결한다. 각 에피소드에서 시신의 발견은 팀원들의 형사 수사로 이어지며, 이들은 법과학 증거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증인을 심문하고 용의자를 체포한다.[4]:ch.IIA
이 가상 프로그램의 인기로 세 편의 스핀오프가 제작되었다. 2002년에 첫 방영된 CSI: 마이애미, 2004년에 첫 방영된 CSI: 뉴욕, 그리고 2015년에 첫 방영된 CSI: 사이버이다. 2021년에는 새로운 스핀오프인 CSI: 베이거스가 방영되었으며, 윌리엄 피터슨과 조자 폭스가 길 그리섬과 사라 시들의 원래 역할을 다시 맡았다.
CSI 프랜차이즈의 성공으로 유사한 많은 프로그램이 제작되었다.[5] "CSI 효과"는 CSI 이전의 드라마 및 실화 범죄 텔레비전 시리즈인 American Justice, Cold Case Files, Cold Squad, Exhibit A: Secrets of Forensic Science, Forensic Files, Silent Witness, Waking the Dead와 같은 프로그램들과 연관되어 왔으며, 이후에는 Bones, 콜드 케이스, 크리미널 마인드, 크로싱 조던, NCIS, Numb3rs, 와이어 인 더 블러드, 위드아웃 어 트레이스 등의 프로그램들과도 연관되었다.[6]:ch.2[5][7]
닐슨 레이팅스에 따르면, 2005년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상위 10개 중 6개가 범죄 드라마였으며, CSI: 과학수사대는 2007년 11월에 1위를 차지했다.[6]:ch.2
인기 있는 범죄 드라마의 여러 측면은 비현실적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예를 들어, 드라마의 가상 인물들은 범죄 현장을 조사("처리")할 뿐만 아니라 급습을 지휘하고 용의자를 추적하고 체포하며 심문하고 사건을 해결하는데, 이는 실제로는 형사와 제복 경찰관의 책임이며 CSI 요원의 책임이 아니다. 또한, CSI 요원이 범죄 현장을 처리하는 경우, 수집된 증거의 검토 및 테스트에 관여하는 것은 과학적 증거의 공정성을 훼손할 수 있으므로 부적절하다. 실제 수사에서는 DNA 및 지문 데이터가 종종 확보하기 어렵고, 확보되더라도 처리하는 데 몇 주 또는 몇 달이 걸릴 수 있지만, 텔레비전의 범죄 연구소는 보통 몇 시간 내에 결과를 얻는다.[8][더 나은 출처 필요]
CSI의 첫 시즌에서 기술자들은 상처의 내부를 석고 주형으로 떠서 사용된 칼의 종류를 알아냈는데, 이는 현재 기술로는 불가능하다.[9]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등장인물들은 두 가지 증거 사이의 결정적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종종 "일치"라는 단어를 사용하지만, 실제 법과학 기술자들은 절대적인 확실성이 종종 불가능하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덜 명확한 용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10]
CSI 프랜차이즈의 제작자인 앤서니 E. 주이커는 쇼의 "모든 과학은 정확하다"고 주장했지만,[11] 연구자들은 CSI의 법과학 묘사를 "첨단 마법"이라고 묘사했다.[12] 법과학자 토마스 마우릴로는 CSI에 묘사된 과학 기술의 40%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추정했다.[13] 비현실적인 기술을 사용하는 것 외에도 CSI는 실제 수사에서 존재하는 모든 불확실성 요소를 무시하고, 대신 실험 결과를 절대적인 진실로 묘사한다.[14]
이러한 부정확한 묘사가 법과학 증거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바꿀 수 있다는 개념은 "CSI 효과"라고 불렸는데, 이 용어는 2004년부터 주류 언론에 등장하기 시작했다.[1][15][7]
이 효과에 따라 피해자와 그 가족, 그리고 배심원들은 DNA 분석 및 지문 채취와 같은 시연된 기술로부터 즉각적인 답변을 기대하게 되는데, 실제 법과학 처리에는 며칠 또는 몇 주가 걸리며 검찰측 주장의 "결정적 증거"를 밝혀낼 보장이 없다. 지방 검찰청은 물리적 증거가 거의 없는 사건의 유죄 판결률이 배심원들에게 CSI의 영향으로 인해 크게 감소했다고 진술한다.[1]
2009년까지 내셔널 지오그래픽,[15] 사이언티픽 아메리칸,[16][17] 그리고 U.S. 뉴스 & 월드 리포트를 비롯한 신문과 잡지에 CSI 효과에 대한 250개 이상의 기사가 실렸다.[18]
연구 결과
[편집]CSI 효과는 최근의 현상이지만, 미디어가 미국의 사법 제도를 묘사하는 것이 대중의 인식을 크게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은 오랫동안 인식되어 왔다.[19]
한 변호사는 1990년 뉴욕 타임스에 "재판 전날 밤 L.A. 로를 보지 않는 변호사는 바보"라고 말했다.[20] 2002년 배심원 설문조사에 따르면 인기 있는 법원 쇼 Judge Judy 시청자들은 재판정 내에서 판사의 역할에 대해 크게 잘못 알고 있었다.[21]
"법률 또는 수사 시스템"에 대한 대중의 인식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는 이전 프로그램으로는 페리 메이슨 (1957–1966), 형사 Q (1976–1983) 및 로 앤 오더 프랜차이즈 (1990–현재)가 있다.[6]:ch.4
뉴스 미디어의 형사 재판 보도, 광범위한 인터넷 블로그 활동, 그리고 이노센스 프로젝트의 성공 또한 법과학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22] CSI 프랜차이즈 제작자 주이커는 "CSI 효과는 제 생각에 이 시리즈에서 나온 가장 놀라운 일입니다"라고 말했다.[23]
CSI 효과는 연구자 N. J. 슈바이처와 마이클 J. 색스에 의해 CSI가 범죄 피해자와 배심원들의 법과학, 특히 범죄 현장 수사 및 DNA 감식에 대한 실제 기대를 높인다고 주장되는 현상을 지칭하는 것으로 설명된다.[24] 도널드 E. 셸턴, 영 S. 김, 그리고 그렉 바락은 이것이 오늘날 많은 재판이 진행되는 방식을 변화시켰다고 말했는데, 검사들이 법정에서 더 많은 법과학 증거를 제시하도록 압력을 받는다는 것이다.[25]
2006년에는 이 효과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주로 법 집행관과 검사들의 일화에 불과했으며, 효과에 대한 실증적 검증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당시 발표된 한 연구에서는 이 현상이 도시 전설일 수 있다고 시사했다.[26] 2008년 심리학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이러한 유형의 프로그램을 많이 시청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CSI 효과의 증거를 찾지 못했다.[27]
도널드 E. 셸턴이 애나버의 1,027명의 잠재적 배심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CSI 시청자들은 비CSI 시청자들보다 과학적 증거에 대한 기대치가 높았지만, 대부분의 경우 판결을 내리는 데 과학적 증거는 필요하지 않았다.[28]
그러나 더 최근의 연구는 이러한 현대 텔레비전 쇼가 대중의 인식과 기대, 그리고 배심원 행동에 오해의 소지가 있는 영향을 미친다고 시사한다.[29][30]
"CSI 효과"를 인용하며, 적어도 한 연구자는 그러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영향 수준에 대해 배심원들을 선별할 것을 제안했다.[30]
배양 이론
[편집]"CSI 효과"에 대한 많은 연구는 조지 거브너의 배양 이론[31]을 인용하여 텔레비전 시청이 시청자의 현실 인식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설명한다. 거브너의 이론은 텔레비전이 스토리텔링의 중심 시스템이며 현실 왜곡을 유발한다고 주장한다. 배양 이론은 사람들이 텔레비전 세계에서 "사는" 시간이 많을수록 사회적 현실이 텔레비전에 묘사된 "현실"과 일치한다고 믿을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 이 이론은 텔레비전을 더 많이 시청하는 사람들이 텔레비전에 묘사된 다양한 모습에 기반하여 현실에 대한 특정 신념을 발전시킬 가능성이 더 높다고 제안한다.
한 연구는 거브너의 배양 이론을 대학생들에게 적용하여 미국 범죄 드라마가 그들의 현실 인식을 왜곡하는지 확인했다.[32] 미국 범죄 드라마를 많이 시청한 학생들은 밤에 미국에서 공격받을 가능성과 같은 현실에 대한 다양한 오해를 믿을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연구는 거브너의 이론을 CSI: 과학수사대, 성범죄수사대: SVU, 크리미널 마인드, 위드아웃 어 트레이스와 같은 인기 범죄 드라마의 내용 분석에 적용했다. 연구자들은 DNA가 이들 프로그램에서 자주 언급되었음을 발견했으며, 이는 가상 미디어의 배양이 현실 세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33]
현상
[편집]재판
[편집]법과학 범죄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인기는 배심원들 사이에 법과학 및 수사 절차의 본질에 대한 많은 오해를 불러일으킨다고 추정된다.[6]:ch.2 CSI 효과는 두 가지 주요 방식으로 판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설화된다.
- 첫째, 배심원들이 필요하거나 사용 가능한 것보다 더 많은 법과학 증거를 기대하여, 그러한 증거가 없을 때 무죄 판결률이 높아진다.
- 둘째, 배심원들이 법과학 증거, 특히 DNA 증거에 대해 실제보다 더 큰 신뢰를 가지고 있어,[34] 그러한 증거가 있을 때 유죄 판결률이 높아진다.[12]
이러한 효과와 다른 효과들이 범죄 드라마에 의해 발생할 수 있지만, 가장 흔히 보고되는 효과는 배심원들이 명백한 유죄 증거에도 불구하고 피고인에게 잘못된 무죄를 선고한다는 것이다.[4] 특히 검찰은 증인 진술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DNA 증거를 제공해야 한다는 압력을 느끼고 있다고 보고했다.[35]
실제로 444명의 검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56%는 CSI 효과가 거의 항상 또는 항상 배심원에게 영향을 미친다고 믿었고, 81%는 CSI 효과가 판사에게 영향을 미친다고 믿었다.[36]
한 세간의 이목을 끈 사건에서, 로스앤젤레스군 지방 검사 스티브 쿨리는 로버트 블레이크의 살인 혐의 무죄 판결을 CSI 효과 탓으로 돌렸다. 쿨리는 블레이크의 유죄에 대한 두 증인의 증언에도 불구하고 "무죄" 평결이 나왔다고 언급하며, 배심원들이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어리석다"고 주장했다.[37][38]
2005년까지 일부 판사와 검사들은 CSI 효과에 대처하기 위해 재판 준비와 절차를 변경하기 시작했다.[39][40]
일부는 편향된 배심원을 선별하기 위해 배석적격심문 동안 범죄 드라마 텔레비전 시청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41]
예를 들어, 찰스와 드레이크 대 주 (2010) 사건에서 피고인들은 2급 살인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고, 예비심문 동안 판사는 CSI 효과에 대한 질문을 제시했다.[42] 이 경우 메릴랜드 항소법원은 CSI 효과 예비심문 질문이 편향된 언어와 무죄 선고에 대한 언급 없이 "유죄"라는 용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부적절하다고 판결했다.[43]
검사들은 또한 모두 진술과 최종 변론을 사용하여 CSI 효과의 가능한 영향을 최소화했다.[44]
고프 대 주 (2009) 사건에서 검사는 배심원 적격 심문 동안 배심원들에게 과학적 증거 없이 평결을 내릴 수 있는지 물었고, 최종 변론 동안 이 질문을 다시 상기시켰다.[45] 이 경우 CSI 효과에 대한 언급은 사용된 언어가 중립적이고 편향되지 않았기 때문에 허용 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었다.[45]
또한 배심원 지시도 CSI 효과에 대해 배심원들에게 알리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다.[46]
앳킨스 대 주 (2011) 사건에서 배심원들은 과학적 증거가 사건의 유효성을 위해 필수적이지 않다는 지시를 받았다.[47] 법원은 과학적 증거에 관한 이 배심원 지시가 부적절하다고 판결했는데, 주가 입증 책임을 다하지 않았기 때문이다.[47]
게다가 검사들은 특정 형태의 물리적 증거가 자신들의 사건과 관련이 없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전문가 증인을 고용했다.[48] 한 호주 살인 사건에서는 변호인이 배심원이 DNA 증거를 잘못 해석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판사 단독 재판을 요청했다.[49]
배석적격심문 중 질문을 추가하고 모두 진술 및 최종 변론을 하는 것 외에도, 검사들은 범죄 기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시청하는 배심원을 피하기 위해 배심원 선정 과정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1]
2006년까지 CSI 효과는 법률 전문가들 사이에서 실제 현상으로 널리 받아들여졌지만, 이를 입증하거나 반증할 실증적 증거는 거의 없었다.[50]
2008년 연구원 모니카 로버스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모든 미국 법률 전문가의 약 80%가 법과학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영향을 받아 판결이 바뀌었다고 믿었다.[51]
뉴욕 대학교 교수 톰 R. 타일러는 심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범죄 드라마는 무죄 판결보다 유죄 판결률을 높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주장했다. 드라마는 배심원이 피고인에게 무죄를 선고할 때 얻을 수 없는 정의감과 종결감을 조장하기 때문이다. 무죄 판결률의 인지된 증가는 피고인에 대한 동정심이나 법적 권위에 대한 신뢰 하락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52]
2006년 미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비슷한 결론에 도달했다. CSI의 영향은 검찰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낮으며, 실제로는 그들을 도울 수도 있다는 것이다.[53]
CSI 효과에 대한 가장 큰 실증 연구 중 하나는 2006년 워시트노군 순회 법원 판사 도널드 셸턴과 이스턴 미시간 대학교의 두 연구원에 의해 수행되었다. 그들은 1,000명 이상의 배심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배심원의 법과학 증거에 대한 기대치는 증가했지만, 범죄 드라마 시청과 유죄 판결 경향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없음을 발견했다.[54]
법과학 증거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는 것에 대한 또 다른 설명은 소위 "기술 효과"이다. 즉, 기술이 발전하고 사회 전반에 걸쳐 보편화됨에 따라 사람들은 법과학 기술의 능력에 대해 더 높은 기대를 갖게 된다는 것이다.[3]
셸턴은 한 배심원이 검찰이 잔디에서 지문 채취를 하지 않은 것에 대해 불평한 사례를 설명했는데,[55] 이는 불가능한 절차이며 어떤 범죄 드라마에서도 시연되지 않았다.[6]:ch.7 같은 저자들이 수행한 후속 연구에서는 CSI를 자주 시청하는 사람들이 정황증거에 더 낮은 가치를 둘 수 있지만, 그들의 시청은 목격자 증언에 대한 평가나 여러 유형의 증거가 있는 사건에서 유죄를 선고하는 경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2]
CSI 효과에 대한 많은 이야기는 무죄 판결률이 증가했다고 가정하지만, 이는 종종 전적으로 사례 증거에 기반한다.
2009년 8개 주에서 유죄 판결 통계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형사 검사의 의견과는 달리 CSI가 첫 방영된 이후 몇 년 동안 무죄 판결률은 감소했다. 특정 재판의 결과는 CSI 첫 방영 전후 여부보다는 재판이 진행된 주에 훨씬 더 강하게 의존한다.[56]
위스콘신 대학교-밀워키의 2010년 연구는 범죄 드라마 시청과 DNA 증거에 대한 인식된 이해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지만, 그러한 시청이 배심원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는 증거는 없다고 시사한다.[57] 2010년 8월 현재 CSI 시청과 무죄 판결률 사이의 상관관계를 입증한 실증적 증거는 없다.[58][59]
한 연구원은 CSI 효과(및 페리 메이슨 증후군 및 백의 증후군과 같은 다른 법정 효과)에 대한 인식이 배심원들의 무능함 때문이 아니라 배심원 제도 전체에 대한 일반적인 불신 때문이라고 주장했다.[60]
학계
[편집]CSI 효과는 법과학자들이 교육받고 훈련받는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과거에는 법과학 분야에 진출하려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과학 분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한 후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러나 CSI와 같은 프로그램의 인기로 인해 법과학 학부 과정 및 대학원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61]
2004년 플로리다 국제 대학교와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의 법과학 프로그램은 CSI 효과의 결과로 알려져 두 배로 증가했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이 비현실적인 기대를 가지고 그러한 프로그램에 입학한다.[62] 법과학에 대한 직업적 관심은 미국 외 다른 국가들, 예를 들어 호주,[63] 영국,[64] 그리고 독일[65]의 학생들 사이에서 확산되었다. 스위스 로잔 대학교의 법과학 프로그램의 인기가 증가한 것도 CSI 효과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66]
법과학 프로그램의 인기가 높아져 범죄 연구소 일자리에 더 많은 지원자가 생겼지만,[15] 이러한 과정이 학생들을 실제 법과학 업무에 충분히 준비시키지 못한다는 우려도 있다.[67]:602 졸업생들이 과학 학위에서 얻을 수 있는 기본적인 과학 원리에 대한 확실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61] 많은 법과학 학생들이 지나치게 명확한 답을 가진 단순화된 연습을 접하게 되는데, 이는 법과학의 힘에 대해 왜곡된 인식을 줄 수 있다.[68] 앨버커키 경찰청은 지역 주민들에게 "진정한 법과학 기술의 능력과 한계"를 익숙하게 하는 "시민 CSI" 과정을 개발하여 미래의 법과학자들과 배심원들 모두의 과학 문해를 향상시키려고 노력했다.[67]:605
법과학 범죄 드라마는 종종 존재하지 않는 기술을 묘사한다고 비판받지만, 이러한 드라마들은 발명가와 연구팀에게 영감을 줄 수 있는데, 과학적 혁신이 공상 과학 소설에서 처음 묘사되는 것이 드물지 않기 때문이다.[6]:ch.12
고등 교육에서 법과학, 형사 사법, 범죄학, 심리학 과정의 대중화는 범죄 관련 텔레비전 프로그램 때문일 수도 있다. CSI와 Bones와 같은 법과학 기반 프로그램이 법과학 프로그램의 인기를 높인 반면, 크리미널 마인드와 콴티코는 각각 심리학 및 형사 사법 프로그램을 홍보했다.[69]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 연구에 따르면, 형사 사법 전공자들은 자신의 전공이나 직업에 대한 개인적인 결정을 미디어에 기반하지 않았지만, 동료 학생들이 그렇게 했다고 믿었다.
범죄
[편집]CSI 효과는 범죄가 저질러지는 방식도 바꿀 수 있다. CSI: 과학수사대가 첫 방영된 해인 2000년, 미국 전체 강간 사건의 46.9%가 경찰에 의해 해결되었다. 2005년까지 이 비율은 41.3%로 떨어졌다. 일부 수사관들은 이러한 감소를 CSI 효과 탓으로 돌렸는데, 범죄 드라마가 범죄자들이 증거를 숨기거나 파괴하는 방법을 종종 의도치 않게 자세히 설명하기 때문이다. 여러 강간 피해자들은 가해자들이 폭행 후 자신들을 샤워하게 하거나 표백제로 몸을 씻게 했다고 보고했다.[70]
2005년 12월, 저메인 매키니는 오하이오주 트럼불군의 한 주택에 침입하여 두 여성을 살해했다. CSI의 팬이었던 매키니는 자신의 범죄 증거를 제거하기 위해 이례적인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표백제로 손을 씻고, 시신과 옷을 불태웠으며, 살인 무기를 호수에 버리려 시도했다. 매키니는 결국 체포되었다.[71]
로스앤젤레스군 살인 부서장 레이 피비는 범죄자들에게 증거를 숨기는 방법을 가르치는 것 외에도 범죄 드라마가 "텔레비전에서 (범죄에서) 벗어나는 것이 얼마나 간단한지 볼 때 그들을 격려할 수도 있다"고 언급했다.[71]
다른 이들은 CSI와 같은 프로그램이 범죄자들에게 교육적 효과를 주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웨스트버지니아 대학교 법과학 이니셔티브 책임자인 맥스 호크는 CSI가 범죄자들을 교육할 수도 있지만,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처음부터 그리 똑똑하지 않다고 말했다.[70]
증거를 숨기려는 시도가 더 많은 증거를 만들어낸다면 범죄 드라마가 그 반대 효과를 가질 수도 있다. 호크는 침에 DNA가 있기 때문에 봉투를 핥지 않았지만, 대신 접착 테이프에 지문과 머리카락 샘플을 남긴 범죄자들의 예를 들었다.[16]
매키니 사건의 수석 수사관 태미 클라인은 자신이 수사하는 살인 사건들은 "대부분 상당히 어리석은" 사람들에 의해 저질러진다고 말했다. 미국 형사 변호인 협회의 전 회장 래리 포즈너는 폭력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예방 조치를 취하지 않기 때문에 텔레비전 법과학 프로그램이 그들의 행동에 어떤 영향도 미칠 가능성이 낮다고 주장했다.[71]
유죄 판결을 받은 연쇄 강간범 조나단 헤인즈는 피해자들에게 법과학 증거를 파괴하도록 강요했다. 그는 피해자 중 한 명이 CSI 텔레비전 시리즈를 시청하고 영감을 받아 자신의 머리카락을 고의로 뽑아 나중에 그의 차에서 발견되어 그가 공격과 연관되어 체포된 후에야 잡혔다.[72]
경찰서장 효과
[편집]CSI 효과의 덜 알려진 하위 범주 중 하나는 경찰서장 효과로 알려져 있다. 경찰서장 효과는 범죄 관련 텔레비전 쇼가 범죄자들에게 법 집행 기관으로부터 탐지를 피하는 방법을 교육했다는 것을 시사한다.[73] 범죄 관련 텔레비전 쇼는 범죄 현장에 DNA가 남을 가능성을 줄이는 범죄자들의 기술, 예를 들어 장갑을 끼거나 표백제를 사용하는 방법을 자주 보여준다. 이 효과는 전략적으로 거짓말 탐지기 검사를 통과하는 것과 같이 DNA와 관련 없는 증거에도 미친다.
경찰 수사
[편집]법 집행관들은 종종 텔레비전의 비현실적인 묘사에서 비롯된 수사에 대한 문의와 요구를 받는다. 2010년 캐나다 경찰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일부는 이러한 CSI의 영향을 받은 문의에 좌절했지만, 대부분은 이를 대중에게 실제 경찰 업무에 대해 알릴 기회로 보았다.[74]
새로운 기술과 법과학에 대한 대중의 인식 증가는 미제 사건 해결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경찰 수사관들 사이에서 더 높은 책임감을 고취했다.[75]
그러나 법과학 증거에 대한 수요 증가는 법과학 실험실에 감당하기 어려운 업무량을 초래할 수 있다.[11] 일부 범죄 연구소는 매년 수천 건의 사건을 처리한다.[76][77]
많은 법 집행 기관은 수집하는 물리적 증거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충분한 보관 공간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78] 일부 수사에서는 DNA 증거를 단순히 제대로 보관할 공간이 없기 때문에 수집하지 않기도 한다.[79]
각주
[편집]- ↑ 가 나 다 Willing, Richard: "'CSI effect' has juries wanting more evidence," August 5, 2004, USA Today retrieved April 2010 and October 16, 2022; also at: http://usatoday30.usatoday.com/news/nation/2004-08-05-csi-effect_x.htm%7Cpublisher=USA Today, retrieved April 30, 2010
- ↑ 가 나 Kim, Young S; Barak, Gregg; Shelton, Donald E (2009). 《Examining the "CSI-effect" in the cases of circumstantial evidence and eyewitness testimony: Multivariate and path analyses》. 《Journal of Criminal Justice》 37. 22쪽. doi:10.1016/j.jcrimjus.2009.07.005. 2013년 6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Shelton, Donald E; Kim, Young S; Barak, Gregg (Fall 2009). 《An Indirect-Effects Model of Mediated Adjudication: The CSI Myth, the Tech Effect, and Metropolitan Jurors' Expectations for Scientific Evidence》 (PDF). 《Vanderbilt Journal of Entertainment and Technology Law》 12. 9쪽. 2013년 6월 1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 가 나 Podlas, Kimberlianne (2007). 《The 'CSI Effect' and Other Forensic Fictions》 (PDF). 《Loyola of Los Angeles Entertainment Law Review》 27. 90쪽. 2010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 가 나 Sellwood, Claire (Winter 2009). “Good Gore” (PDF). 《Sydney Alumni Magazine》. 18–9면. 2011년 1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Ramsland, Katherine. “The CSI Syndrome”. Turner Broadcasting System. 2013년 6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Chesen, Jeff (July 2008). “The 'CSI Effect'—There's No Such Thing as Questions, Just Hidden Answers”. 《It's Evident》 (NCSTL). 2012년 10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 “CSI: Unrealistic”. 《TechnicianOnline.com》 (College Media Network). 2008년 7월 20일. 2011년 6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23일에 확인함.
- ↑ Lawson, Tamara F (2009년 11월 3일). 《Before the Verdict and Beyond the Verdict: The CSI Infection Within Modern Criminal Jury Trials》 (PDF). 《Loyola University Chicago Law Journal》 41. 132, 142쪽. 2011년 6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1일에 확인함.
- ↑ Toobin, Jeffrey (2007년 5월 7일). “The CSI Effect: The truth about forensic science.”. 《The New Yorker》. 2010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Nanji, Ayaz (2005년 2월 10일). “Prosecutors Feel The 'CSI Effect'”. 《CBS News》. 2010년 12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Schweitzer, NJ; Saks, M. J. (2007년 3월 12일). 《The CSI Effect: Popular Fiction About Forensic Science Affects Public Expectations About Real Forensic Science》 (PDF). 《Jurimetrics》 47. 357–64쪽. 2010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 Cole, Simon; Dioso, Rachel (2005년 5월 13일). “Law and the Lab”. 《The Wall Street Journal》. 2013년 9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 Kruse, Corinna (March 2010). 《Producing Absolute Truth: CSI Science as Wishful Thinking》. 《American Anthropologist》 112. 79–91쪽. doi:10.1111/j.1548-1433.2009.01198.x.
- ↑ 가 나 다 Lovgren, Stefan (2004년 9월 23일). “'CSI Effect' Is Mixed Blessing for Real Crime Labs”. National Geographic News. 2004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Mirsky, Steve (2005년 4월 25일). “Crime Scene Instigation: TV superscientists affect real courts, campuses and criminals”. 《Scientific American》. 2010년 12월 30일에 확인함.
- ↑ Houck, Max M (July 2006). “CSI: Reality”. 《Scientific American》. 84–9면. 2010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 Roane, Kit R (2005년 4월 17일). “The CSI Effect”. U.S. News & World Report. 2011년 2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28일에 확인함.
- ↑ Chase, Anthony (Spring 1986). 《Lawyers and Popular Culture: A Review of Mass Media Portrayals of American Attorneys》. 《American Bar Foundation Research Journal》 11. 281–300쪽. doi:10.1111/j.1747-4469.1986.tb00242.x. JSTOR 828180. (구독 필요)
- ↑ Margolick, David (1990년 5월 6일). “Ignorance of 'L.A. Law' Is No Excuse for Lawyers”. 《The New York Times》. 2012년 9월 25일에 확인함.
- ↑ Podlas, Kimberlianne (August 2002). 《Should we Blame Judge Judy? The messages TV courtrooms send viewers》. 《Judicature》 86. 38쪽. 2010년 12월 21일에 확인함. (구독 필요)
- ↑ Baskin, Deborah R; Sommers, Ira B (2010). 《Crime-Show-Viewing Habits and Public Attitudes Toward Forensic Evidence: The "CSI Effect" Revisited》. 《Justice System Journal》 31. 97–113쪽. doi:10.1080/0098261X.2010.10767956. JSTOR 27977480. S2CID 148464719.
- ↑ Dakss, Brian (2005년 3월 21일). “The CSI Effect: Does The TV Crime Drama Influence How Jurors Think?”. 《CBS News》. 2011년 4월 13일에 확인함.
- ↑ N. J. Schweitzer and Michael J. Saks The CSI Effect: Popular Fiction About Forensic Science Affects Public Expectations About Real Forensic Science. Jurimetrics 보관됨 2 10월 2007 - 웨이백 머신 , Spring 2007
- ↑ Donald E. Shelton, Young S. Kim and Gregg Barak A Study of Juror Expectations and Demands Concerning Scientific Evidence: Does the 'CSI Effect' Exist? Vanderbilt Journal of Entertainment & Technology Law
- ↑ Podlas, Kimberlianne (2006년 3월 17일). 《The CSI Effect: Exposing the Media Myth》 (PDF). 《Fordham Intellectual Property, Media & Entertainment Law Journal》 16. 429–465쪽. 2011년 7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9월 12일에 확인함.
- ↑ Harrington, Evan (2008년 5월 22일). “CSI Effect: Myth, Menace, or MacGuffin. Media Influence and Mock Jury Verdicts”. 《ResearchGate》. 2024년 7월 1일에 확인함.
- ↑ Shelton, Donald E. (March 2008). 《The 'CSI Effect': Does It Really Exist?》.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 Academic Search Premier 경유.
- ↑ Holmgren, Janne A.; Fordham, Judith (January 2011). 《The CSI Effect and the Canadian and the Australian Jury》. 《Journal of Forensic Sciences》 56. S63–S71쪽. doi:10.1111/j.1556-4029.2010.01621.x. PMID 21155799. S2CID 21221066.
- ↑ 가 나 Alldredge, John "The 'CSI Effect' and Its Potential Impact on Juror Decisions," (2015) Themis: Research Journal of Justice Studies and Forensic Science: Vol. 3: Iss. 1, Article 6., retrieved 31 May 2017
- ↑ Gerbner, George (1998). 《Cultivation analysis: An overview.》. 《Mass Communication & Society》 1. 175–194쪽. doi:10.1080/15205436.1998.9677855.
- ↑ Kim, J. K. (2007). 《U.S. crime drama show and the cultivation effect》. 《Conference Papers: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 ↑ Rhineberger-Dunn, G; Briggs, S. J.; Rader, N. E. (2017). 《The CSI effect, DNA discourse, and popular crime dramas》. 《Social Science Quarterly》 98. 532–547쪽. doi:10.1111/ssqu.12289.
- ↑ Mandal, Ananya (2010년 3월 28일). “DNA evidence often overwhelms jurors to convict wrongly says research”. Medical News. 2010년 12월 27일에 확인함.
- ↑ Nanji, Ayaz (2005년 2월 10일). “Prosecutors Feel The 'CSI Effect'”. 《CBS News》. 2010년 12월 12일에 확인함.
- ↑ Stevens, D. J. (2009). 《CSI Effect, Prosecutors, and Wrongful Convictions》. 《Criminal Law Bulletin》 45. 4쪽.
- ↑ Cole, Simon; Dioso, Rachel (2005년 5월 13일). “Law and the Lab”. 《The Wall Street Journal》. 2013년 9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 Winton, Richard (2005년 3월 24일). “Blake Jurors 'Stupid', DA Says”. 《Los Angeles Times》. 2010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 Watkins, Michael J (2004년 8월 3일). “Forensics in the media: Have attorneys reacted to the growing popularity of forensic crime dramas?” (PDF). Florida State University. 84쪽. 2005년 5월 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 “The CSI Effect and its Real-Life Impact on Justice” (PDF). Maricopa County Attorney's Office. 2005년 6월 30일. 5쪽. 2006년 5월 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 Lawson, Tamara F (2009년 11월 3일). 《Before the Verdict and Beyond the Verdict: The CSI Infection Within Modern Criminal Jury Trials》 (PDF). 《Loyola University Chicago Law Journal》 41. 132, 142쪽. 2011년 6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1일에 확인함.
- ↑ Kinsey, Caroline L. (2012). 《CSI: From the Television to the Courtroom》. 《Virginia Sports and Entertainment Law Journal》 11. 313–361쪽 – HeinOnline 경유.
- ↑ Charles and Drake v. State, 997 A.2d 154 (2010).
- ↑ Lawson, Tamara F (2009년 11월 3일). 《Before the Verdict and Beyond the Verdict: The CSI Infection Within Modern Criminal Jury Trials》 (PDF). 《Loyola University Chicago Law Journal》 41. 132, 142쪽. 2011년 6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Goff v. State, 14 So.3d 625 (2009).
- ↑ Kinsey, Caroline L. (2012). 《CSI: From the Television to the Courtroom》. 《Virginia Sports and Entertainment Law Journal》 11. 313–361쪽 – HeinOnline 경유.
- ↑ 가 나 Atkins v. State, 26 A.3d 979 (2011).
- ↑ Bergslien, Elisa (May 2006). 《Teaching to Avoid the 'CSI Effect'》.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83. 690–691쪽. Bibcode:2006JChEd..83..690B. doi:10.1021/ed083p690. S2CID 93305698.
- ↑ Goodman-Delahunty, Jane; Verbrugge, Hielkje (August 2010). “Reality, fantasy, and the truth about CSI effects”. 《InPsych》 (Australian Psychological Society). 2011년 3월 20일에 확인함.
- ↑ Tyler, Tom R. (2006년 2월 28일). 《Viewing CSI and the Threshold of Guilt: Managing Truth and Justice in Reality and Fiction》 (PDF). 《The Yale Law Journal》 115. 1050–1085쪽. doi:10.2307/20455645. JSTOR 20455645. 2011년 7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 Robbers, Monica L. P. (March 2008). 《Blinded by Science: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in Forensic Television Shows and its Effect on Criminal Jury Trials》. 《Criminal Justice Policy Review》 19. 84–102쪽. doi:10.1177/0887403407305982. S2CID 143604296. (구독 필요)
- ↑ Tyler, Tom R. (2006년 2월 28일). 《Viewing CSI and the Threshold of Guilt: Managing Truth and Justice in Reality and Fiction》 (PDF). 《The Yale Law Journal》 115. 1050–1085쪽. doi:10.2307/20455645. JSTOR 20455645. 2011년 7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 Podlas, Kimberlianne (2006년 3월 17일). 《The CSI Effect: Exposing the Media Myth》 (PDF). 《Fordham Intellectual Property, Media & Entertainment Law Journal》 16. 453쪽. 2011년 7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 Shelton, Donald E; Kim, Young S; Barak, Gregg (2007). 《A Study of Juror Expectations and Demands Concerning Scientific Evidence: Does the 'CSI Effect' Exist?》. 《Vanderbilt Journal of Entertainment and Technology Law》 9. 367쪽. 2013년 5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 Shelton, Donald E (2008년 3월 17일). 《The 'CSI Effect': Does It Really Exist?》.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Journal》 259. 2010년 11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 Cole, Simon A; Dioso-Villa, Rachel (2009). “Investigating the 'CSI Effect' Effect: Media and Litigation Crisis in Criminal Law”. 《Stanford Law Review》 61 (6): 1339, 1358. SSRN 1401417.
- ↑ Brewer, Paul R.; Ley, Barbara L (March 2010). 《Media Use and Public Perceptions of DNA Evidence》. 《Science Communication》 32. 110쪽. doi:10.1177/1075547009340343. S2CID 145500313. (구독 필요)
- ↑ Goodman-Delahunty, Jane; Verbrugge, Hielkje (August 2010). “Reality, fantasy, and the truth about CSI effects”. 《InPsych》 (Australian Psychological Society). 2011년 3월 20일에 확인함.
- ↑ Podlas, Kimberlianne. 《The Potential Impact of Television on Jurors》 (PDF). August 2010 Impression and Pattern Evidence Symposium.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Greensboro. 11쪽. 2011년 1월 1일에 확인함.
- ↑ Brickell, Wendy (Summer 2008). 《Is It the CSI Effect or Do We Just Distrust Juries》. 《Criminal Justice》 23. 16–17쪽. 2011년 4월 7일에 확인함.
- ↑ 가 나 “Police chief criticises forensic courses”. 《BBC News》. 2003년 12월 10일. 2010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Lemaine, Alexander (2004년 9월 13일). “'CSI' spurs campus forensics scene”. 《U-T San Diego》. 2011년 7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1일에 확인함.
- ↑ “How to Crack the CSI Effect”. 《The Age》. 2008년 10월 20일. 2011년 1월 4일에 확인함.
- ↑ Dowling, Tim (2009년 10월 15일). “The grisly truth about CSI degrees”. 《The Guardian》. 2011년 1월 4일에 확인함.
- ↑ Keuneke, S.; Graß, H.; Ritz-Timme, S. (2010). 《'CSI-Effekt' in der deutschen Rechtsmedizin Einflüsse des Fernsehens auf die berufliche Orientierung Jugendlicher》 [The CSI effect in German forensic medicine: Effect of television on the career orientation of juveniles] (독일어). 《Rechtsmedizin》 20. 400–407쪽. doi:10.1007/s00194-010-0668-2. ISSN 1434-5196. S2CID 23614038. 2012년 9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1일에 확인함.
- ↑ Isani, Shaeda (2010년 9월 29일). 《Quand la science enquête : imaginaires & représentations de la FASP criminalistique》 [When science investigates: imaginations & representations of criminalistic "fiction with a professional background"] (프랑스어). 《Revue de l'Institut des Langues et des Cultures d'Europe et d'Amérique》 2010. doi:10.4000/ilcea.583. ISBN 978-2-84310-180-9. 2011년 1월 7일에 확인함.
- ↑ 가 나 Stephens, Sheila (Spring 2007). 《The 'CSI Effect' on Real Crime Labs》. 《New England Law Review》 41. 591–607쪽.
- ↑ Bergslien, Elisa (May 2006). 《Teaching to Avoid the 'CSI Effect'》.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83. 690–691쪽. Bibcode:2006JChEd..83..690B. doi:10.1021/ed083p690. S2CID 93305698.
- ↑ Davis, B. K.; Brooke, E. J. (2021). 《Making better offenders? Exploring the perceptions of the CSI Effect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riminal Justice Education》 32. 446–463쪽. doi:10.1080/10511253.2021.1912128. S2CID 236542470.
- ↑ 가 나 Greenwood, Jill King (2006년 11월 25일). “Criminals get tips from forensic television shows”. 《Pittsburgh Tribune-Review》. 2010년 12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Pace, Gina (2006년 1월 30일). “'CSI': Crime Scene Instructions?”. 《CBS News》. 2010년 12월 11일에 확인함.
- ↑ Orr, James (2011년 9월 9일). “Victim used own DNA to trap serial rapist soldier”. 《The Telegraph》. 2011년 9월 12일에 확인함.
- ↑ Davis, B. K.; Brooke, E. J. (2021). 《Making better offenders? Exploring the perceptions of the CSI Effect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riminal Justice Education》 32. 446–463쪽. doi:10.1080/10511253.2021.1912128. S2CID 236542470.
- ↑ Huey, Laura (2010). 《'I've seen this on CSI': Criminal investigators' perceptions about the management of public expectations in the field》. 《Crime, Media, Culture》 6. 49–68쪽. doi:10.1177/1741659010363045. S2CID 143003819.
- ↑ Stevens, Dennis J. (2008). 《An Introduction to American Policing》. Jones & Bartlett Learning. 406쪽. ISBN 978-0-7637-4893-7. 2010년 12월 21일에 확인함.
- ↑ “High-Tech Crime Lab Sorts 3,600 Cases Each Year”. Hearst Properties, Inc. 2010년 12월 1일. 2012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24일에 확인함.
- ↑ “Backlogs and Their Impact o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2010년 7월 12일. 2011년 8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24일에 확인함.
- ↑ Durnal, Evan W. (2010년 3월 12일). 《Crime scene investigation (as seen on TV)》. 《Forensic Science International》 199. 1–5 [4]쪽. doi:10.1016/j.forsciint.2010.02.015. PMID 20227206. (구독 필요)
- ↑ Pratt, Travis C. 외 (March 2006). 《This Isn't CSI》. 《Criminal Justice Policy Review》 17. 38쪽. doi:10.1177/0887403405278815. S2CID 144871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