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2019 Y4(ATLAS)
![]() 2020년 3월 14일에 촬영한 C/2019 Y4의 모습. | |
발견 | |
---|---|
발견자 | 소행성 지상충돌 최종 경보 시스템(ATLAS) |
발견일 | 2019-12-28 |
궤도 특성 | |
원일점 | 662 AU |
근일점 | 0.25284 AU |
긴반지름 | 331 AU |
이심률 | 0.99923 |
공전 주기 | 6026 a |
경사 | 45.38° |
120.57° | |
근점 편각 | 177.41° |
마지막 근일점 | 2020-05-31, 00:21:35 UTC |
다음 근일점 | 서기 7000년 경 |
지구 MOID | 0.631 AU |
목성 MOID | 1.393 AU |
C/2019 Y4 (아틀라스)(C/2019 Y4 (ATLAS)), 통칭 아틀라스 혜성(Comet ATLAS)은 2019년 12월 28일 소행성 지상충돌 최종 경보 시스템(ATLAS)이 처음으로 관측한 포물선에 가까운 혜성이다.[1] 2020년 4월 2일 경 혜성이 여러 조각으로 쪼개졌다.[2][3] 혜성이 쪼개지는 현상은 크로이츠 선그레이저 혜성에서 흔하며 혜성이 계속 희미해져서 4월 이후로는 거의 보이지 않는 상태이다.[4] 5월 중순부터는 망원경으로도 잘 보이지 않기 시작하였고, 5월 20일 완전히 사라져 보이지 않게 되었다.[5]
C/2019 Y4 (ATLAS)는 2020년 기준 밝았을 때 +7등급까지 올라간 혜성으로 쌍안경이나 망원경으로 기린자리 인근 별자리에서 찾을 수 있었다.[6] 혜성은 점차 밝아지며 2020년 4월 말 - 5월 초 사이엔 육안으로도 관측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었다.[7] 하지만 혜성 분해 이후 현재는 최고 밝기에서 6배 정도 더 어두운 +9등급[5]이며 C/2017 T2 (PanSTARRS), C/2019 Y1 (ATLAS), C/2020 F8 (SWAN)보다도 어두운 상태이다. 5월 23일 지구와 최근접점에 도달하며 5월 31일 태양과 가장 가까운 근일점을 지난 것으로 추정된다.[8]
2020년 4월 6일, 천문학자 모임인 더 애스트로노머스 텔레그램(The Astronomer's Telegram)에서는 아틀라스 혜성이 붕괴되었을 것 같다는 보고가 올라왔다.[2][3] 관측 결과 혜성이 최소 10개 조각으로 쪼개졌으며 이 중 6개 조각은 혜성 핵 주변에서 회전하고 있어 아틀라스 혜성 자체의 원심력이 증가하고 있다.
발견
[편집]C/2019 Y4 혜성은 2019년 12월 28일 하와이 마우나로아산 정상의 0.5m 반사 망원경에서 촬영한 CCD 사진에서 처음 발견되었다.[9] 이 사진은 소행성 지상충돌 최종 경보 시스템의 관측 작업 중 촬영된 것이었다. 발견 당시 지구에서는 큰곰자리 위치에 있었으며 혜성의 겉보기 등급은 19.6 정도였다.[10][11] 래리 데니우(Larry Denneau)는 처음으로 혜성임을 알아차렸고[10] 이 천체를 소행성체 센터의 혜성 추정체 확인 페이지에 업로드해서 다른 천문학자들에게 알렸다. 이후 수 일 간의 추가 관측 결과 혜성의 코마가 보이기 시작했고 이 코마는 관측을 이어나갈수록 점점 길어졌다.[9]
초기 관측 및 밝기
[편집]2월 초에서 3월 말 사이 아틀라스 혜성은 등급이 17에서 8로 밝기가 4천 배 정도 증가했다.[12] 2020년 3월 한달에만 밝기가 4배 증가하였다.[11] C/2019 Y4는 이원자 탄소의 방출로 보이는 초록색과 아쿠아색 꼬리를 가지고 있으며 꼬리의 길이가 태양 크기의 2배인 1.2°10' 각도에 330만 km 길이이다. 아틀라스 혜성의 꼬리 바깥쪽은 희미하지만 가스 필라멘트가 별을 가로질러 쓸어내리는 것이 보인다.[13] 확산체인 혜성은 일반인이 육안으로도 보기 위해서는 겉보기 등급이 대략 +3-4까지 되어야 한다. 4월 초 혜성이 쪼개지면서 급격하게 어두워졌다.[14]
궤도
[편집]발견 당시 아틀라스 혜성은 태양으로부터 거의 3 AU 정도 떨어져 있었다.[11] 2019년 12월 28일, 2020년 1월 9일 2번의 관측을 토대로 소행성체 전자천문력에서는 공전 주기가 4,400년, 근일점은 0.25 AU로 계산하였다. C/2019 Y4의 궤도가 1844년 대혜성(C/1844 Y1)과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아틀라스가 이 대혜성에서 떨어져 나간 파편 중 하나일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9][13]
JPL 소행성체 데이터베이스에서는 2020년 2월 18일을 역기점으로 사용한 분석에서 공전 주기가 약 6,000년이라고 계산하였으나 이는 행성계 안에서 일어나는 섭동을 포함해 계산한 값이다. 혜성이 행성의 중력 범위 내로 들어가기 전으로 사용하는 인바운드 주기(근일점으로 돌아올 때의 주기)는 4,800년 정도이다.[6] 이 혜성은 2020년 5월 31일 태양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근일점에 도달할 예정이다.[8] 행성계를 떠난 후에는 혜성이 약 5,200년의 주기를 가질 것으로 추정된다.
아틀라스 혜성이 파편으로 쪼개지면서 각 파편의 속도는 10 m/s 정도 달라졌다. 이 정도의 속도 변화로도 현재 거의 포물선에 가까운 궤도가 장기간에 걸쳐서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조각 이름 | 궤도 주기 (년) |
지구 최근접 거리 |
---|---|---|
C/2019 Y4-A | 포물선[15] | 모듈:Convert 282번째 줄에서 Lua 오류: attempt to index local 'cat' (a nil value). |
C/2019 Y4-B | 포물선[16] | 모듈:Convert 282번째 줄에서 Lua 오류: attempt to index local 'cat' (a nil value). |
C/2019 Y4-C | 포물선[17] | 모듈:Convert 282번째 줄에서 Lua 오류: attempt to index local 'cat' (a nil value). |
C/2019 Y4-D | 99±81[18] | 모듈:Convert 282번째 줄에서 Lua 오류: attempt to index local 'cat' (a nil value). |
위치
[편집]
2020년 1월에서 3월 사이엔 아틀라스 혜성이 큰곰자리 인근에 있었다. 4월에는 혜성이 점점 이동하며 기린자리 부근으로 이동하였다. 5월 12일부터는 페르세우스자리 쪽으로 넘어가 이동하였다. 5월 23일에는 지구로부터 최 근접점에 있는데, 이때가 신월 인데다 태양으로부터 17도 정도에 있다. 근일점에 닿는 5월 31일 에는 태양으로부터 12도 정도 떨어진 황소자리 부근에 있을 예정이다.[19]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Dickinson, David (2020년 2월 25일). “Comet Y4 Atlas in Outburst: First Good Comet for 2020?”. 《Universe Today》. 2020년 2월 29일에 확인함.
- ↑ 가 나 Ye, Quanzhi; Zhang, Qicheng (2020년 4월 6일). “ATel #13620: Possible Disintegration of Comet C/2019 Y4 (ATLAS)”. The Astronomer's Telegram. 2020년 4월 6일에 확인함.
- ↑ 가 나 Steele, I.A.; Smith, R.J.; Marchantn, J. (2020년 4월 6일). “ATel #13622: C/2019 Y4 ATLAS - confirmation of nuclear change”. 《The Astronomer's Telegram》. 2020년 4월 7일에 확인함.
- ↑ Seiichi Yoshida (2020년 4월 14일). “C/2019 Y4 ( ATLAS )”. 2020년 4월 17일에 확인함.
- ↑ 가 나 Ghosh, Trinankur. “Comet Observation database (COBS)”. 2020년 4월 9일에 확인함. (2019Y4 Chart) 보관됨 2020-05-02 - 웨이백 머신
- ↑ 가 나 JPL Horizons barycentric solution for epoch 1950 (before entering planetary region)
Goto JPL Horizons
Ephemeris Type: Orbital Elements
Center: @0 (Solar System Barycenter)
Time Span: 1950-01-01 to 2050-01-01 and Step Size: 100 years
1950-Jan-01 is "PR= 1.76E+06 / 365.25 days" = 4818 years - ↑ 박종익 (2020년 3월 21일). “[우주를 보다] 맨눈으로도 보인다…초승달처럼 빛나는 혜성 온다”. 서울신문. 2020년 4월 5일에 확인함.
- ↑ 가 나 “C/2019 Y4 (ATLAS)”.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Jet Propulsion Laboratory. 2020년 3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Green, Daniel W. E. (2020년 1월 11일). “COMET C/2019 Y4 (ATLAS)”. 《Liste de distribution des circulaires de l'Union Astronomique Internationale et du Minor Planet Center》 (메일링 리스트). 2020년 3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3월 25일에 확인함.
- ↑ 가 나 “MPEC 2020-A112 : COMET C/2019 Y4 (ATLAS)”. 《minorplanetcenter.net》. Minor Planet Electronic Circular. Cambridge, Massachusetts: Minor Planet Center. 2020년 1월 10일. 2020년 3월 2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Ling, Alister (2020년 3월 25일). “Comet ATLAS may soon be visible to the naked eye”. 《Astronomy》. Kalmbach Media. 2020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Yirka, Bob (2020년 3월 23일). “Comet ATLAS may put on quite a show”. 《Phys.org》. Science X Network. 2020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가 나 King, Bob (2020년 3월 25일). “Comet ATLAS: Will it Become a Naked-Eye Object?”. 《Sky & Telescope》. AAS Sky Publishing, LLC. 2020년 3월 27일에 확인함.
- ↑ “Comet C/2019 Y4 (ATLAS): after an unexpected, a bit irregular, rising in brightness the comet is now fading”. 2020년 4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10일에 확인함.
- ↑ JPL SBDB: C/2019 Y4-A
- ↑ JPL SBDB: C/2019 Y4-B
- ↑ JPL SBDB: C/2019 Y4-C
- ↑ JPL SBDB: C/2019 Y4-D
- ↑ Rao, Joe (2020년 3월 16일). “Newfound Comet ATLAS is getting really bright, really fast”. 《Space.com》. 2020년 3월 2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C/2019 Y4 ( ATLAS ) – Seiichi Yoshida
- C/2019 Y4 (ATLAS) – Hubble image
- C/2019 Y4 (ATLAS) – Fragments (20 April 2020) – Ye Quanzhi
- C/2019 Y4 (ATLAS) elongated (16 May 2020) – Michael Jäger
- C/2019 Y4 (ATLAS) approaching perihelion in STEREO HI-1 (25 May 2020) – Karl Batt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