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아미노페놀
보이기
| |||
이름 | |||
---|---|---|---|
우선명 (PIN)
4-Aminophenol[1] | |||
별칭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385836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04.198 | ||
EC 번호 |
| ||
2926 | |||
KEGG | |||
MeSH | Aminophenols | ||
PubChem CID
|
|||
UNII | |||
UN 번호 | 2512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6H7NO | |||
몰 질량 | 109.128 g·mol−1 | ||
겉보기 | 무색 결정 또는 적황색 결정 | ||
밀도 | 1.13 g/cm3 | ||
녹는점 | 187.5 °C (369.5 °F; 460.6 K) | ||
끓는점 | 284 °C (543 °F; 557 K) | ||
1.5 g/100 mL | |||
용해도 | |||
log P | 0.04 | ||
산성도 (pKa) |
| ||
구조 | |||
사방정계 | |||
열화학 | |||
표준 생성 엔탈피 (ΔfH⦵298)
|
-190.6 kJ/mol | ||
위험 | |||
GHS 그림문자 | ![]() ![]() ![]() | ||
신호어 | 경고 | ||
H302, H332, H341, H400, H410 | |||
P201, P202, P261, P264, P270, P271, P273, P281, P301+312, P304+312, P304+340, P308+313, P312, P330, P391, P405, P501 |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인화점 | 195 °C (383 °F; 468 K) (cc) | ||
반수 치사량 또는 반수 치사농도 (LD, LC): | |||
LD50 (median dose)
|
671 mg/kg | ||
관련 화합물 | |||
관련 아미노페놀
|
2-아미노페놀 3-아미노페놀 | ||
관련 화합물
|
아닐린 페놀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4-아미노페놀(영어: 4-aminophenol)은 화학식이 C6H7NO인 유기 화합물이다. 4-아미노페놀은 전형적으로 흰색 분말[3]로 이용 가능하며, 로디날(Rodinal)이라는 이름으로 시판되는 흑백 필름의 현상액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약간의 친수성을 나타내는 4-아미노페놀 흰색 분말은 알코올에 적당히 용해되며, 뜨거운 물에서 재결정화될 수 있다. 염기의 존재 하에서 4-아미노페놀은 쉽게 산화된다. 4-아미노페놀의 메틸화된 유도체인 N-메틸아미노페놀 및 N,N-다이메틸아미노페놀은 상업적 가치가 있다.
4-아미노페놀은 아미노페놀의 3가지 이성질체들 중 하나이며, 다른 2자리는 2-아미노페놀 및 3-아미노페놀이다.
제조
[편집]페놀로부터
[편집]4-아미노페놀은 나이트로화에 이은 철에 의한 환원에 의해 페놀로부터 생성된다. 대안적으로 나이트로벤젠의 부분 수소화는 페닐하이드록실아민을 생성하며, 페닐하이드록실아민은 주로 4-아미노페놀로 재배열된다.[4]
- C6H5NO2 + 2 H2 → C6H5NHOH + H2O
- C6H5NHOH → HOC6H4NH2
나이트로벤젠으로부터
[편집]4-아미노페놀은 페닐하이드록실아민으로의 전환에 의해 나이트로벤젠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며, 페닐하이드록실아민은 4-아미노페놀로 자발적으로 재배열된다.[5]
용도
[편집]4-아미노페놀은 유기화학에서 사용되는 빌딩 블록이다. 두드러지게 4-아미노페놀은 아세트아미노펜의 산업적 합성에서 최종 중간생성물이다. 4-아미노페놀은 아세트산무수물로 처리하면 다음과 같이 아세트아미노펜이 생성된다.[6][7][8]
![]()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Blue Book)》. Cambridge: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690쪽. doi:10.1039/9781849733069-FP001. ISBN 978-0-85404-182-4.
- ↑ Haynes, William M., 편집. (2016).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97판. CRC Press. 5–89쪽. ISBN 978-1498754286.
- ↑ CRC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65th Ed.
- ↑ Mitchell, S.C. & Waring, R.H. "Aminophenols." In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2002 Wiley-VCH, doi:10.1002/14356007.a02_099
- ↑ Polat, K.; Aksu, M.L.; Pekel, A.T. (2002), “Electroreduction of nitrobenzene to p-aminophenol using voltammetric and semipilot scale preparative electrolysis techniques”, 《Journal of Applied Electrochemistry》 (Kluwer Academic Publishers) 32: 217–223, doi:10.1023/A:1014725116051
- ↑ Ellis, Frank (2002). 《Paracetamol: a curriculum resource》. Cambridge: Royal Society of Chemistry. ISBN 0-85404-375-6.
- ↑ Anthony S. Travis (2007). 〈Manufacture and uses of the anilines: A vast array of processes and products〉. Zvi Rappoport. 《The chemistry of Anilines Part 1》. Wiley. 764쪽. ISBN 978-0-470-87171-3.
- ↑ Elmar Friderichs; Thomas Christoph; Helmut Buschmann, 〈Analgesics and Antipyretics〉, 《울만 공업화학 백과사전(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Weinheim: Wiley-VCH, doi:10.1002/14356007.a02_269.pub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