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3LCD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3LCD는 현대 디지털 프로젝터에 사용되는 주요 LCD 프로젝션 컬러 이미지 생성 기술의 이름이자 브랜드이다. 3LCD 기술은 1980년대 일본 영상 회사인 세이코 엡손에 의해 개발 및 개선되었고, 1988년에 프로젝터 사용을 위해 처음으로 라이선스를 취득했다. 1989년 1월, 엡손은 최초의 3LCD 프로젝터인 VPJ-700을 출시했다.[1]

엡손이 여전히 3LCD 기술을 소유하고 있지만, 이 기술은 단순히 기술의 이름을 딴 관련 조직인 "3LCD"에 의해 판매되고 있다. 이 조직은 제품에 3LCD 기술을 사용하도록 라이선스를 받은 프로젝터 제조업체들의 컨소시엄이다.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약 40개의 다른 프로젝터 브랜드가 3LCD 기술을 채택했다.

전자 산업 연구 회사인 퍼시픽 미디어 어소시에이츠(Pacific Media Associates)에 따르면, 3LCD 기술을 사용하는 프로젝터는 2009년 세계 디지털 프로젝터 시장의 약 51%를 차지했다.[2]

3LCD 기술은 이미지 생성 엔진에 사용되는 3개의 LCD 패널 칩에서 이름을 따왔다.

3LCD 기술 작동 방식

[편집]

백색광에서 색상 생성:
3LCD 기술을 사용하는 프로젝터는 램프의 백색광을 "다이크로익 미러"라고 불리는 특수 이색성 필터/반사체 어셈블리를 통해 통과시켜 빨강, 초록, 파랑의 세 삼원색으로 분리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각 다이크로익 미러는 특정 색상 파장의 빛만 통과시키고 나머지는 반사시킨다.[3] 이런 방식으로 백색광은 세 개의 원색 광선으로 분리되고, 각 광선은 자체 LCD 패널로 향하며 그 패널을 통과한다.

LCD에서의 이미지 생성:
프로젝터의 세 LCD 패널은 투사할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전자 신호를 수신하는 요소이다. LCD의 각 화소는 액정으로 덮여 있다. 액정에 주어지는 전하를 변경함으로써, LCD의 각 화소는 완전히 불투명해질 때까지 어둡게 할 수 있으며(완전한 검정색을 위해), 완전히 투명해질 때까지 밝게 할 수 있고(완전한 흰색을 위해 모든 램프 빛이 통과하도록 허용), 다양한 투명도로 음영을 조절할 수 있다(다양한 회색 음영을 위해). 이는 디지털 시계의 문자가 배터리가 새것일 때는 LCD에 진하고 검게 나타나지만, 배터리가 약해지면 점차 흐려지는 방식과 유사하다. 이런 방식으로, 각 원색의 모든 화소에 대한 밝기 수준을 매우 정밀하게 제어하여 화면에 필요한 최종 화소의 특정 색상과 밝기 수준을 생성할 수 있다.

컬러 이미지 재결합 및 투사:
각 색상 빛이 개별 LCD 패널을 통과한 후, 광선은 이색성 프리즘에서 재결합되어 최종 이미지를 형성하고, 이 이미지는 렌즈를 통해 반사되어 나간다.[4]

경쟁

[편집]

주류 프로젝터 시장에서 3LCD 기술의 경쟁자는 단일 칩 DLP 기술(텍사스 인스트루먼트가 개발)과 훨씬 적은 정도로 LCOS 프로젝션 기술이다.

장점

[편집]

3LCD 프로젝션 기술 지지자들은 이 기술이 가장 가까운 경쟁 기술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 3LCD 프로젝터는 단일 칩 DLP 프로젝터보다 더 높은 색광 출력을 가질 수 있다. 이는 3LCD 프로젝터가 모든 세 가지 색상의 광선을 혼합하고 투사하여 각 개별 화소의 색상을 형성하는 반면, 단일 칩 DLP 프로젝터는 한 번에 하나씩 순차적으로 색상을 투사하며 인간의 색상 인지에 의존하여 각 화소의 올바른 색상을 혼합하고 해석하기 때문이다.
  • 3LCD 프로젝터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밝기 등급의 단일 칩 DLP 프로젝터에 비해 전력 소모가 적다.
  • 단일 칩 DLP 프로젝터의 작동 방식은 때때로 이미지나 관찰자의 눈이 움직일 때 잘못된 색상이 잠시 인식되는 "무지개" 또는 "색상 분리 효과"를 시청자가 보게 한다.[5] 3LCD 프로젝터는 세 가지 기본 색상을 항상 표시하므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 3LCD 프로젝터는 투사된 이미지의 각 화소에 밝기 수준의 부드러운 변화를 주어 더 미세한 이미지 그라데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이는 LCD 패널의 각 화소에 대한 액정이 전하를 변화시킴으로써 미세한 불투명도 수준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단일 칩 DLP 프로젝터는 DMD 칩의 각 화소에 램프 빛을 렌즈로 반사하는 단일 거울을 가지고 있다. 이 프로젝터는 거울을 켜거나 끄는 상태 사이에서 다양한 주파수로 진동시켜 각 화소의 밝기를 변화시키고, 인간의 인지에 의존하여 각 화소의 밝기를 해석한다.
  • 3LCD 프로젝터는 일반적으로 LCOS 또는 3칩 DLP 기술을 사용하는 프로젝터보다 가격이 저렴하다.

단점

[편집]
  • 대형 픽셀 피치를 가진 구형 3LCD 프로젝터는 보통 "스크린 도어 효과"가 있다.
  • 단일 칩 DLP 프로젝터는 일반적으로 비슷한 가격 또는 밝기 등급의 구형 3LCD 모델에 비해 명암비가 높다.
  • 가장 작은 단일 칩 DLP 프로젝터는 가장 작은 3LCD 프로젝터 모델보다 작다.
  • 현재 LCOS 프로젝터 모델은 일반적으로 3LCD 프로젝터보다 더 높은 해상도에서 더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한다.

각주

[편집]
  1. “Epson Introduces the first LCD projector for sale (1989)”. 2009년 12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2월 10일에 확인함. 
  2. “3LCD 그룹 보도 자료, 2010년 3월 11일: 3LCD, 2009년 전 세계 시장 점유율 1위 발표”. 2017년 3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7월 12일에 확인함. 
  3. “다이크로익 미러”. 《www.3lcd.com》. 2022년 11월 29일에 확인함. 
  4. “다이크로익 프리즘”. 《www.3lcd.com》. 2022년 11월 29일에 확인함. 
  5. Langendijk, Erno H. A.; Swinkels, Stefan; Eliav, Dan; Ben-Chorin, Moshe (2012). 《Suppresssion of color breakup in color-sequential multi-primary projection displays》. 《Journal of the Society for Information Display》 14. 325쪽. doi:10.1889/1.2185281. S2CID 15350265.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