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루테티아
보이기
![]() | 이 문서의 일부는 오래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최신 정보로 교체해야 합니다.(2021년 2월) |
21 루테티아 21 Lutetia | |
![]() 로제타가 2010년 7월 10일에 촬영 | |
발견 | |
---|---|
발견자 | 헤르만 마이어 살로몬 골드슈미트 |
발견일 | 1852년 11월 15일 |
궤도 성질 | |
궤도 긴반지름(a) | 2.435 |
근일점(q) | 2.036 |
원일점(Q) | 2.834 |
공전 주기(P) | 3.80(1387.902일) |
평균 공전 속도 | 18.96 |
궤도 경사(i) | 3.604 |
궤도 이심률(e) | 0.164 |
승교점 경도(Ω) | 80.917 |
근일점 편각(ω) | 250.227 |
물리적 성질 | |
분광형 | M |
지름 | (121± 1) × (101 ± 1) × (75 ± 13) km |
평균 밀도 | 5.55±0.88 g/cm3 |
질량 | (1.700 ± 0.017)×1018 |
표면 중력 | ~0.05 m/s² |
탈출 속도 | ~0.069 km/s |
반사율 | 0.19 ± 0.01 |
자전 주기 | 8.1655시간 |
겉보기등급 | +9.25~+13.17 |
절대등급(H) | +7.29 |
평균 온도 | 170–245 K |
21 루테티아(21 Lutetia)는 소행성대의 소행성 중 하나이며, 특이한 분광형을 가지는 소행성이다. 루테티아라는 이름은 파리의 라틴식 이름을 따온 것이다.
발견과 탐사
[편집]루테티아는 1852년 11월 15일, 골드시미트가 파리의 그의 아파트 발코니에서 발견했다.[1][2] 루테티아의 궤도는 1852년 11월에서 12월, 독일인 천문학자인 게오르그 룀커가 계산했다.[3] 1903년, 하버드 대학교 관측소의 에드워드 피커링이 충 위치에 있는 루테티아를 찍었다. 그는 그 때의 밝기를 10.8등급으로 계산했다.[4]
2010년 7월 10일, 유럽 우주국의 로제타가 추류모프-게라시멘코 혜성을 탐사하러 가는 도중 루테티아를 지나쳤다.[5] 그 과정에서 얻은 정보로 루테티아는 M형 소행성으로 판단되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Lardner, Dionysius (1867). “Handbook of astronomy”. James Walton. 222쪽.
|장=
이 무시됨 (도움말) - ↑ Goldschmidt, H. (1852년 6월). “Discovery of Lutetia Nov. 15”.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12: 213. Bibcode:1852MNRAS..12..213G.
- ↑ Leuschner, A. O. (1935). “Research surveys of the orbits and perturbations of minor planets 1 to 1091 from 1801.0 to 1929.5”. 《Publications of Lick Observatory》 19: 29. Bibcode:1935PLicO..19....1L.
- ↑ Pickering, Edward C. (1903년 1월). “Missing Asteroids”. 《Harvard College Observatory Circular》 69: 7–8. Bibcode:1903HarCi..69....7P.
- ↑ M. A. Barucci, M. Fulchignoni and A. Rossi (2007). “Rosetta Asteroid Targets: 2867 Šteins and 21 Lutetia”. 《Space Science Reviews》 128 (1-4): 67–78. doi:10.1007/s11214-006-9029-6.
외부 링크
[편집]- JPL Ephemeris
- 루테티아 스냅뷰 보관됨 2010-07-12 - 웨이백 머신
- 루테티아 전체 해상도 사진 보관됨 2022-10-31 - 웨이백 머신
- Parent article of image by Planetary Society 보관됨 2012-03-18 - 웨이백 머신
- 21 루테티아 - JPL 소천체 데이터베이스
![]() |
이 글은 소행성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