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하계 올림픽 바레인 선수단
| 올림픽 바레인 선수단 | ||||
|---|---|---|---|---|
| IOC 코드 | BRN | |||
| NOC | 바레인 올림픽 위원회 | |||
| 2020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
| 참가 선수 | 32명 (남자: 25명, 여자: 7명) | |||
| 참가 종목 | 5개 종목, 14개 세부 종목 | |||
| 기수 | 누스 유수프 압둘라 후세인 알사이드 | |||
| 메달 집계 종합 77위 |
0 |
1 |
0 |
1 |
| 역대 선수단 | ||||
| 하계 올림픽 | ||||
|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 2008 · 2012 · 2016 · 2020 · 2024 | ||||
| 하계 청소년 올림픽 | ||||
| 올림픽 바레인 선수단 | ||||
2020년 하계 올림픽 바레인 선수단은 2021년 일본 도쿄에서 열린 2020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올림픽 바레인 선수단이다.[1] 총 5개 종목에서 32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팔레스타인은 1984년 하계 올림픽 이후로 쉬지 않고 올림픽에 출전했으며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10번째로 참가하는 올림픽이 된다.
메달 집계
[편집]| 메달 | 이름 | 종목 | 부문 | 날짜 |
|---|---|---|---|---|
| 칼키단 가자헤네 | 육상 | 여자 10,000m |
8월 7일 |
출전 선수
[편집]아래 목록은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바레인 선수들의 수이다.
| 종목 | 남자 | 여자 | 총합 |
|---|---|---|---|
| 육상 | 9 | 5 | 14 |
| 복싱 | 1 | 0 | 1 |
| 핸드볼 | 14 | 0 | 14 |
| 사격 | 0 | 1 | 1 |
| 수영 | 1 | 1 | 2 |
| 총합 | 25 | 7 | 32 |
출전 종목
[편집]육상
[편집]
바레인은 세계 랭킹 기준 혹은 예선 통과 시간 기준에 따라 육상 본선 진출자에서 종목당 최대 3명까지 배출하는 데 성공하였다.[2][3]
각 종목별 성적은 아래와 같다.
트랙 종목
[편집]- 남자 부문
| 출전 선수 | 부문 | 본선 | 준결선 | 결선 | |||
|---|---|---|---|---|---|---|---|
| 결과 | 순위 | 결과 | 순위 | 결과 | 순위 | ||
| 사딕 미코 | 1500 m | 3:42.87 | 8 | 진출하지 못함 | |||
| 존 키벳 코시 | 3000m 장애물 | DNF | - | 빈칸 | 진출하지 못함 | ||
| 비르하누 발류 | 5000 m | 13:39.42 | 5 Q | 빈칸 | 13:03.20 | 6 | |
| 다윗 피카두 | 13:44.03 | 13 q | 빈칸 | 13:20.24 SB | 15 | ||
| 알레무 베켈레 | 마라톤 | 빈칸 | DNF | - | |||
| 엘하산 엘하바시 | 빈칸 | 2:15:56 | 25 | ||||
| 슈미 데차사 | 빈칸 | DNF | - | ||||
- 여자
| 출전 선수 | 부문 | 본선 | 준결선 | 결선 | |||
|---|---|---|---|---|---|---|---|
| 결과 | 순위 | 결과 | 순위 | 결과 | 순위 | ||
| 아미나트 유수프 자말 | 400m 허들 | 55.90 SB | 7 | 진출하지 못함 | |||
| 윈프레드 뮤타일 야비 | 3000m 장애물 | 9:10.80 | 1 Q | 빈칸 | 9:19.74 | 10 | |
| 칼키단 가자헤네 | 10,000m | 빈칸 | 29:56.18 | ||||
| 유니세 춤바 | 마라톤 | 빈칸 | 2:29:36 | 7 | |||
| 테지투 다바 | 빈칸 | DNF | - | ||||
필드 종목
[편집]- 남자
| 출전 선수 | 부문 | 본선 | 결선 | ||
|---|---|---|---|---|---|
| 거리 | 순위 | 거리 | 순위 | ||
| 압델라흐만 마흐무드 | 포환던지기 | 20.14 | 22 | 진출하지 못함 | |
복싱
[편집]바레인은 IOC의 복싱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아시아-오세아니아 올림픽 예선전에 슈퍼헤비급 매칭에서 1명이 우승하면서 올림픽 본선에 진출하는 데 성공하였다.
- 성적
| 출전 선수 | 부문 | 16강전 | 준준결승 | 준결승 | 결승 | |
|---|---|---|---|---|---|---|
| 상대방 결과 |
상대방 결과 |
상대방 결과 |
상대방 결과 |
순위 | ||
| 다니스 라피포프 | 남자 슈퍼헤비급 | L 1–3 |
진출하지 못함 | |||
핸드볼
[편집]바레인 남자 핸드볼 국가대표팀은 2019년 카타르 도하에서 열린 AHF 남자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본선에 진출하는 데 성공하였다.[4]
- 성적 요약
| 팀 | 부문 | 조별 예선 | 8강전 | 준결승 | 결승 / BM | ||||||
|---|---|---|---|---|---|---|---|---|---|---|---|
| 상대방 점수 |
상대방 점수 |
상대방 점수 |
상대방 점수 |
상대방 점수 |
순위 | 상대방 점수 |
상대방 점수 |
상대방 점수 |
순위 | ||
| 남자 국가대표팀 | 남자 토너먼트 | L 31–32 |
W 26-25 |
L 21-31 |
W 32-30 |
L 20-30 |
4 | L 42-28 |
진출하지 못함 | ||
- 선수 목록
바레인 남자 핸드볼 국가대표팀은 본선 B조에 편성되었으며, 2021년 7월 11일 최종 명단이 발표되었다.[5]
핸드볼 수석 코치:
아론 크리스티아운손
|
조별 토너먼트
[편집]|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
| 1 | 5 | 4 | 0 | 1 | 174 | 139 | +35 | 8[a] | 8강전 진출 | |
| 2 | 5 | 4 | 0 | 1 | 154 | 134 | +20 | 8[a] | ||
| 3 | 5 | 4 | 0 | 1 | 144 | 142 | +2 | 8[a] | ||
| 4 | 5 | 1 | 0 | 4 | 129 | 149 | −20 | 2[b] | ||
| 5 | 5 | 1 | 0 | 4 | 143 | 156 | −13 | 2[b] | ||
| 6 | 5 | 1 | 0 | 4 | 146 | 170 | −24 | 2[b] |
순위 결정방식: 1) 포인트; 2) 국가별당 포인트; 3) 국가별당 골득실; 4) 국가별당 득점; 5) 단순 골득실; 6) 단순 골 횟수; 7) 무승부.
(H) 홈경기.
비고:
- 예선전
| 2021년 7월 24일 16:15 |
32 - 31 | 국립 요요기 경기장 | ||
| 3× |
5× |
| 2021년 7월 26일 19:30 |
25 - 26 | 국립 요요기 경기장 | ||
| 4× |
5× |
| 2021년 7월 28일 9:00 |
31 - 21 | 국립 요요기 경기장 | ||
| 1× |
3× |
| 2021년 7월 26일 11:00 |
32 - 30 | 국립 요요기 경기장 | ||
| 4× |
4× |
- 8강전
| 2021년 8월 3일 9:30 |
42-28 | 국립 요요기 경기장 | ||
| 3× |
5× |
사격
[편집]바레인은 올림픽 예선전에서 1명의 선수가 예선 통과 기준을 만족하면서 여자 클레이 사격 선수 마리암 하사니가 올림픽 본선에 진출하게 되었다.[6]
- 성적
| 출전 선수 | 부문 | 본선 | 결선 | ||
|---|---|---|---|---|---|
| 점수 | 순위 | 점수 | 순위 | ||
| 마리암 하사니 | 여자 스키트 | 112 | 24 | 진출하지 못함 | |
수영
[편집]바레인은 2021년 6월 28일 FINA 점수제에 기초하여 국제 수영 연맹(FINA)로부터 올림픽 개인전에 출전할 최고 순위의 선수 두 명(남자 1명, 여자 1명)을 보내달라는 기본 출전권을 얻었다.
- 성적
| 출전 선수 | 부문 | 본선 | 준결승 | 결승 | |||
|---|---|---|---|---|---|---|---|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시간 | 순위 | ||
| 압둘라 아흐메드 | 남자 100m 접영 | DSQ | 진출하지 못함 | ||||
| 누스 유수프 압둘라 | 50m 자유형 | 28.87 | 60 | 진출하지 못함 | |||
각주
[편집]- ↑ “Joint Statement from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and the Tokyo 2020 Organising Committee”. Olympics. 2020년 3월 24일. 2020년 3월 28일에 확인함.
- ↑ “iaaf.org – Top Lists”. IAAF. 2019년 4월 8일에 확인함.
- ↑ “IAAF Games of the XXXII Olympiad – Tokyo 2020 Entry Standards” (PDF). IAAF. 2019년 4월 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8일에 확인함.
- ↑ “Bahrain shock Qatar, qualify for Tokyo 2020”. 《ihf.info》 (International Handball Federation). 2019년 10월 26일. 2019년 10월 31일에 확인함.
- ↑ “16 لاعباً في القائمة النهائية لمنتخب اليد للمشاركة في أولمبياد طوكيو 2020” (아랍어). bna.bh. 2021년 7월 11일. 2021년 7월 11일에 확인함.
- ↑ “Quota Places by Nation and Number”. 《www.issf-sports.org/》. ISSF. 2021년 6월 15일. 2021년 6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1년 6월 1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