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AFC컵
보이기
2014년 AFC컵 | |
---|---|
개최기간 | 2014년 2월 2일 ~ 10월 18일 |
참가팀 | (1 (AFC)개 대륙) |
결과 | |
준우승 | ![]() |
통계 | |
최다 득점 | ![]() |
최우수 선수 | ![]() |
« 2013 2015 » |
2014년 AFC컵은 2014년에 개최된 AFC컵의 11번째 대회이다.
출전권 배정
[편집]2013년 11월에 2014년 AFC컵의 출전권 배정이 확정되었다. 지난 대회에서 변경된 점은 다음과 같다.
- 현재 AFC컵 출전 자격을 가진 클럽은 2014년 AFC 챔피언스리그 출전권을 갖게 된다. 단 AFC 챔피언스리그와 AFC컵의 출전 자격은 AFC 챔피언스리그 출전 규정을 충족시키는 축구 협회만 갖게 된다.
- 현재 AFC 프레지던트컵 출전 자격을 가진 축구 협회는 2014년 AFC컵 출전권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키르기스스탄과 팔레스타인이 2014년 AFC컵 참가 대상 팀으로 새로 지정되었다.
출전권 배정은 평가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
평가 등급 높음 (조별 예선 직행권 2장 배정) | |
평가 등급 낮으나 조별 예선 직행권 2장 배정 | |
평가 등급 낮음 (플레이오프 1장 배정) |
평가 결과 23위 이상을 평가 등급 높음으로, 24위 이하를 평가 등급 낮음으로 분류하였다. 단, AFC컵에 참가하지 않는 국가의 협회까지 순위에 포함되었다.
|
|
굵은 글씨로 된 국가는 AFC 챔피언스리그 2014 플레이오프에도 팀을 참가시키는 국가이다.
참가 팀
[편집]
서아시아 (A-D조)[편집]
|
동아시아 (E-H조)[편집]
|
- * 리그 상위팀들이 컵대회를 우승함에 따라 차순위 팀들이 진출하게 된다.
- ACL: 만일 해당 팀이 AFC 챔피언스리그 2014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조별 예선에 진출할 경우 해당 팀과 같은 국가의 축구 협회에 속해 있는 참가 대기 팀에게 2014년 AFC컵 출전권이 승계된다.
- 1: 인도 페더레이션 컵 2013의 일정이 참가 팀 제출 마감 시한을 넘기게 되면서 I리그 준우승 팀이 대신 참가하게 되었다.
- 2: 인도네시아 축구 협회는 인도네시아 슈퍼리그 팀을 참가시키기로 결정했다.
- 3: 말레이시아 슈퍼리그 2013 우승 팀인 라이온즈XII는 싱가포르 축구 협회에 속해 있는 팀이므로 AFC컵 참가 자격이 없어 준우승 팀이 대신 참가하게 되었다.
- 4: 2013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로 인해 MFF컵 2013의 개최가 취소되어 미얀마 내셔널리그 준우승 팀이 대신 참가하게 되었다.
일정
[편집]2014년 AFC컵 대회 경기 일정은 다음과 같다.[1]
단계 | 라운드 | 추첨 일자 | 1차전 | 2차전 |
---|---|---|---|---|
플레이오프 | 결승전 | 없음 | 2014년 2월 2일 | |
조별 예선 | 1차전 | 2013년 12월 10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2014년 2월 25일 ~ 2월 26일 | |
2차전 | 2014년 3월 11일 ~ 3월 12일 | |||
3차전 | 2014년 3월 18일 ~ 3월 19일 | |||
4차전 | 2014년 4월 1일 ~ 4월 2일 | |||
5차전 | 2014년 4월 8일 ~ 4월 9일 | |||
6차전 | 2014년 4월 22일 ~ 4월 23일 | |||
토너먼트전 | 16강전 | 2014년 5월 13일 ~ 5월 14일 | ||
8강전 | 2014년 5월 28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2014년 8월 19일 | 2014년 8월 26일 | |
준결승전 | 2014년 9월 16일 | 2014년 9월 30일 | ||
결승전 | 2014년 10월 18일 |
플레이오프
[편집]서아시아
[편집]단판 승부로 진행되며 90분 내에 승부가 나지 않으면 연장전, 승부차기가 진행된다. 2014년 2월 2일에 열리며 플레이오프 승자는 조별 예선에 진출한다.
팀 1 | 결과 | 팀 2 |
---|---|---|
라브샨 쿨롭 ![]() |
2 – 1 | ![]() |
샤바브 알다히리야 ![]() |
1 – 1 (연장) (승부차기 7 – 8) |
![]() |
조별 예선
[편집]조별 예선 추첨은 2013년 12월 10일에 진행되었다. 같은 협회에 속해 있는 클럽은 서로 같은 조에 편성되지 않는다. 조별 예선은 32개 팀을 8개 조로 나누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며 각 조의 1, 2위 팀이 16강전에 진출한다. 승리시 승점 3점, 무승부시 승점 1점을 얻는다. 만약 승점이 같은 팀이 있을 경우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동점자를 가린다.
- 승점이 같은 팀 가운데 상대전적이 앞서는 팀
- 승점이 같은 팀 가운데 골득실이 더 큰 팀 (원정 다득점은 적용되지 않음)
- 승점이 같은 팀 가운데 다득점을 한 팀
- 조별 리그에서의 골득실차
- 조별 리그에서의 다득점
- 승점이 같은 팀끼리의 승부차기
- 경고 및 퇴장의 수가 적은 팀
- 추첨
A조
[편집]
|
|
B조
[편집]
|
|
C조
[편집]
|
|
D조
[편집]
|
|
E조
[편집]
|
|
F조
[편집]
|
|
G조
[편집]
|
|
H조
[편집]
|
|
토너먼트전
[편집]16강전
[편집]16강전은 조별 예선의 결과에 따라 각 조 1위와 다른 조 2위가 서로 맞붙으며 각 조 1위의 홈에서 단판 승부로 치러진다.
팀 1 | 결과 | 팀 2 | ||
---|---|---|---|---|
서아시아 | ||||
사파 베이루트 ![]() |
0 – 1 | ![]() | ||
알카디시야 ![]() |
4 – 0 | ![]() | ||
쿠웨이트 SC ![]() |
3 – 0 | ![]() | ||
아르빌 ![]() |
0 – 0 (연장) (승부차기 3 – 0) |
![]() | ||
동아시아 | ||||
페르시푸라 자야푸라 ![]() |
9 – 2 | ![]() | ||
빗사이 닌빈 ![]() |
4 – 2 | ![]() | ||
하노이 T&T ![]() |
5 – 0 | ![]() | ||
킷치 ![]() |
2 – 0 | ![]() |
8강전
[편집]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하노이 T&T ![]() |
0 – 3 | ![]() |
0 – 1 | 0 – 2 |
빗사이 닌빈 ![]() |
3 – 4 | ![]() |
2 – 4 | 1 – 0 |
알카디시야 ![]() |
3 – 3 (a) | ![]() |
1 – 1 | 2 – 2 |
쿠웨이트 SC ![]() |
4 – 8 | ![]() |
3 – 2 | 1 – 6 |
준결승전
[편집]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아르빌 ![]() |
3 – 2 | ![]() |
1 – 1 | 2 – 1 |
알카디시야 ![]() |
10 – 2 | ![]() |
4 – 2 | 6 – 0 |
결승전
[편집]2014년 AFC컵 우승 |
---|
![]() |
알카디시야 1번째 우승 |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AFC. “AFC Calendar of Competitions 2014” (PDF).
외부 링크
[편집]- (영어) AFC컵 공식 홈페이지
- (영어) AFC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