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076형 강습상륙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076형 강습상륙함급 드론 항공모함 강습상륙함
개요
함종 드론 항공모함 강습상륙함
함급명 076형 강습상륙함
제작자 후둥중화조선
운용자  중국 해군
이전 함급 075형 강습상륙함
진수일 2024년 12월 27일
건조중 1척
운용수 1척
특징
배수량 만재 50,000톤[1]
전장 252.3 m -- 260 m
선폭 45 m -- 52 m
추진 ** 2 × 21 MW 가스 터빈[2]
무장 3 × H/PJ-11 30 mm (1.2 in) CIWS

3 × HHQ-10 SAM 24발

함재기 헬리콥터

UCAV
선양 J-35

보트 2 × 726형 공기부양상륙정
수용능력 병력 1,000명 이상
외부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utMO_tFdivU

076형 강습상륙함(NATO 보고명: 위란급 강습상륙함)은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이 운용하는 대형 강습상륙함이다.[3] 075형 강습상륙함의 후속함으로 크기도 더 커졌고, 능력도 더 향상된다. 076형은 배수량비행갑판 크기 면에서 이전 075형보다 훨씬 크다. 또한 트윈 상부구조물 설계[4], 선미 웰 도크[5]CATOBAR 시스템인 전자기식 캐터펄트어레스팅 기어를 갖추고 있어 경비행기고정익기를 운용할 수 있다. 이 고정익기는 훙두 GJ-11과 같은 UCAV일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076형이 다목적 강습상륙함인 동시에 드론 항공모함의 역할을 겸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개발

[편집]

2020년 중반, 076형과 관련된 공식 제안요청서인터넷에 공개되었다. 제안요청서의 사양에는 21 MW 가스 터빈디젤 엔진 발전기, 중전압 직류 통합 전력 시스템, 그리고 웰 도크가 포함되었다. 지정된 항공 장비에는 UAV 데크, 탄약 엘리베이터, 30톤 비행갑판 엘리베이터, 경비행기를 위한 전자기 CATOBAR 시스템이 포함되었다.

이 함급의 네임쉽은 상하이에 위치한 후둥중화조선에서 건조되었으며, 2025년 초에 진수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네임쉽은 2024년 12월 27일에 진수되었으며, 함정 번호 51과 쓰촨이라는 이름이 부여되었다.[6][7][8][9]

설계

[편집]

076형은 전장 비행갑판, 내부 격납고, 양쪽에 두 개의 대형 항공기 엘리베이터와 전면 갑판부에 하나의 소형 엘리베이터를 갖추고 있다.[10] 이 함선은 해군 헬리콥터UCAV를 운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J-35와 같은 유인 고정익기도 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10][3] WZ-7GJ-11[10]과 같은 고정익 UAV는 003형 항공모함에 장착된 것과 유사한 크기의 전자기식 캐터펄트를 통해 발사될 수 있다. 고정익기의 착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선미 갑판에는 어레스팅 기어가 장착되어 있다.[11] 상륙 작전을 위한 수륙양용차를 발진시킬 수 있는 웰 도크는 선미에 위치한다.[5]

이 함급의 주 추진 방식은 가스 터빈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이유로 함선은 "트윈 아일랜드" 상부구조물 구성을 갖게 될 것이다.[4] 이를 통해 하나의 상부구조물은 항법에 전념하고 다른 하나는 항공 작전에 집중할 수 있다.[5] 3개의 1130형 CIWS 포탑, 3개의 HHQ-10 단거리 지대공 미사일 포대, 그리고 플레어, 채프, 소나 디코이로 채워진 4개의 대응 장치 발사기를 포함하여 여러 대공 방어 및 대응 시스템이 함선 주변에 장착되어 있다.[5]

076형은 이전 075형 강습상륙함보다 크다.[5][12] 전략국제연구센터는 이 함선의 전체 톤수를 만재 배수량 50,000톤으로 추정했으며, 중국 국영 언론은 이 함선의 배수량이 "40,000톤 이상"이라고 밝혔다.[13]

함선 목록

[편집]
함정 번호 이름 명명된 곳 건조사 진수일 취역일 현황
51[6] 쓰촨[6] 쓰촨성 후둥중화조선,
상하이[6]
2024년 12월 27일[6] 2027년 (예정) 의장 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P. Funaiole, Matthew; Hart, Brian; Powers-Riggs, Aidan; S. Bermudez Jr., Joseph (2024년 8월 1일). “China’s Massive Next-Generation Amphibious Assault Ship Takes Shape”.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2. 张宏、胡洋、熊言义、王雅文、王旭阳 (2022). 《舰船发电机舱典型火灾场景仿真分析》. 《舰船工程》 15. 2023년 6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6월 8일에 확인함. 
  3. Chan, Minnie (2020년 7월 27일). “Chinese shipbuilder planning advanced amphibious assault ship”.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2021년 1월 5일에 확인함. 
  4. Newdick, Thomas (2024년 10월 7일). “China's Monster Amphibious Assault Ship Has Twin Island Superstructures Optimized For Aviation Ops”. 《The War Zone》. 2024년 10월 17일에 확인함. 
  5. Trevithick, Joseph (2024년 12월 27일). “China’s Monster Type 076 Amphibious Assault Ship Seen Like Never Before At Launch Ceremony”. 《The War Zone》. 
  6. “China launches first Type 076 amphibious assault ship”. 《China Military》. 2024년 12월 27일. 
  7. Lendon, Brad; Gan, Nectar (2024년 12월 27일). “China launches new amphibious assault ship in a race to rival US military”. 《CNN》. 
  8. “China launches new generation assault ship 'Sichuan'. 《DW》. 2024년 12월 27일. 
  9. Xiao, Josh (2024년 12월 27일). “China Launches Largest Amphibious Warship in Show of Naval Power”. 《Bloomberg News》. 
  10. Sutton, H. I. (2020년 7월 23일). “Stealth UAVs Could Give China's Type-076 Assault Carrier More Firepower”. 《포브스. 2021년 1월 3일에 확인함. 
  11. Wu, Huizhong (2024년 12월 27일). “China unveils amphibious assault ship that can launch fighter jets”. 《Defense News》. 
  12. “China’s Type 076 Sichuan is a next-level amphibious assault ship” (영어). 《South China Morning Post》. 2025년 7월 17일. 2025년 7월 17일에 확인함. 
  13. Hille, Kathrin (2024년 12월 27일). “China launches biggest amphibious assault ship in projection of military power”. 《Financial Times》. 

역사

[편집]

배경

[편집]

군사 분석가들은 미국이 F-35B 전투기를 개발했으며 이들 중 상당수를 일본에 판매하여 상륙작전함과 착륙 헬리콥터 부두를 사실상 항공 모함으로 만들어 중국 국가에 엄청난 위협을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은 F-35B와 같은 STOVL 전투기를 보유하고 있지 않지만 전자기 발사 시스템 기술을 습득했다. 따라서 중국이 방어를 위해 STOVL 항공기의 대안으로 상륙 공격 선에서 항공기를 발사하는 데 전자 투석기를 사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분석가들은 적대적인 F-35B가 장착 된 전함에서 나왔다고 말한다. 그런가하면 분석가들은 중국의 075형 상륙 작전 함과 마찬가지로 076형도 존재한다면 남중국해와 대만 섬의 섬 점령 작전에 배치 될 수 있으며 중국의 해외 이익을 보호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이제 전 세계 국가에 많은 인적 자원, 투자, 프로젝트 및 전략적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075형 강습상륙함2019년부터 상하이시에서 2척을 진수했지만 고정익기를 발진시킬 능력이 없는 STOVL 방식의 함정이다.[1]

전개

[편집]

2020년 7월 24일 중국 관영 『Global Times』는 “中國船舶集團有限公司(CSSC) 소속 708연구소가 현재 건조중인 Type 075형 4만톤 규모의 헬기강습상륙함(LHA)에 이어 신형 Type 076형 LHA 건조준비를 하고 있다”고 보도하였다.[1]

특징

[편집]

중국형 강습상륙함

[편집]

CATOBAR 방식을 채택한다면, 미국의 아메리카급 강습상륙함, 와스프급 강습상륙함과 유사하다. 기본적으로 강습상륙함의 형태와 포지션을 갖추고 있고 전투기 함재 계획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다.

드론(Drone) 함재기

[편집]

중국판 RQ-4 글로벌 호크로 평가받는 GJ-11 무인기를 함재할 것으로 보이며, KJ-200 조기경보기도 운용 가능해 보인다.

전략적 가치

[편집]

2020년 7월 21일 『Meta Defense』는 만일 중국 해군이 항모에 GJ-11 무인함재기 탑재에 성공한다면, 이는 “미 해군이 운용하고 있는 11척 항모와 8척 LHD 전력체계에 치명적 위협이다”라고 평가하였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편집]
  1. “Media speculate on China's possible next generation amphibious assault ship Type 076 - Global Times”. 2020년 7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8월 2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