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균문학작가상
보이기
허균문학작가상은 최초의 한글소설인 《홍길동전》의 작가인 허균의 문학혼을 기리고, 변화와 개혁의 시대인 21세기에 걸맞는 문학인을 발굴하기 위해, 강원일보와 허균 허난설헌선양사업회가 1999년부터 전국의 신인 및 기성작가를 대상으로 중편소설 부문을 공모하는 문학상이다.[1]
역대 수상 작품
[편집]- 2006년 1회 이순원[2]
- 2007년 2회 구효서 《조율》[3]
- 2008년 3회 김도연 《소와 함께 여행하는 법》[4]
- 2009년 4회 한창훈 《나는 여기가 좋다》[5]
- 2010년 5회 강동수 《제국익문사》[6]
- 2011년 6회 김도언 《꺼져라 비둘기》[7]
- 2012년 7회 김숨 《노란개를 버리러》[8]
- 2016년 8회 최은영 《쇼코의 미소》[9]
- 2017년 9회 조선희 《세 여자》[10]
- 2018년 10회 김별아 《구월의 살인》[11]
- 2019년 11회 박상영 《알려지지 않은 예술가의 눈물과 자이툰 파스타》[12]
각주
[편집]- ↑ “허균문학작가상”. 《강릉시청》. 2018년 11월 23일에 확인함.
- ↑ “[인터뷰]제1회 허균문학작가상 수상 이순원씨”. 2006년 9월 18일.
- ↑ “[인터뷰]`허균문학작가상' 수상한 구효서씨”. 《강원일보》. 2007년 9월 17일.
- ↑ “<허균문학작가상> “현실과 마술 절묘하게 섞는 솜씨 빼어나””. 《강원일보》. 2008년 9월 1일.
- ↑ “허균문학작가상에 한창훈씨 `나는 여기가 좋다'”. 《강원일보》. 2009년 9월 1일.
- ↑ “교산허균문학상에 본사 강동수 논설위원…소설 `제국익문사`로 수상”. 《국제신문》. 2010년 9월 24일.
- ↑ ““세상의 작은 목소리에 귀 기울이겠다””. 《강원일보》. 2011년 9월 26일.
- ↑ “[강릉]김숨 허균문학작가상 수상”. 《강원일보》. 2012년 9월 17일.
- ↑ ““3년만에 부활한 작가상 허균 문학혼 기려””. 《강원일보》. 2016년 9월 26일.
- ↑ 김경애 (2017년 10월 16일). “‘허균문학작가상’에 조선희 ‘세 여자’”. 《한겨레신문》. 2018년 8월 28일에 확인함.
- ↑ “[제10회 허균문학작가상 시상식]“고향 강릉서 수상해 더 뿌듯하고 감사””. 《강원일보》. 2018년 10월 8일.
- ↑ “시대 앞서가는 퀴어소설로 거부감 없이 사람들 매료”. 《강원일보》. 2019년 9월 16일.
![]() |
이 글은 문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