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티만시스크
보이기
	
	
| 한티만시스크 Ханты-Мансийск  | |||||
|---|---|---|---|---|---|
  | |||||
| 행정 | |||||
| 국가 | |||||
| 지역 | 우랄 연방관구 | ||||
| 행정 구역 | 한티만시 자치구 | ||||
| 역사 | |||||
| 설립 | 1930년 | ||||
| 지리 | |||||
| 면적 | 337.76 km2 | ||||
| 해발 | 50 m | ||||
| 시간대 | UTC+5 (YEKT) | ||||
| 인문 | |||||
| 인구 | 103,117명(2021년) | ||||
| 인구 밀도 | 293.98명/km2 | ||||
| 지역 부호 | |||||
| 우편번호 | 628000 | ||||
| 지역번호 | +7 3467 | ||||
| 웹사이트 | (러시아어) 공식 웹사이트 | ||||

한티만시스크(러시아어: Ха́нты-Манси́йск, 문화어: 한띄-만씨스크)는 한티만시 자치구의 중심지이다. 이르티시강이 흐르고, 15km지점에서 오비 강이 흐른다.
1940년에 지어졌을 때는 오스탸코보굴스크(Остяко-Вогульск)라고 불여졌다.
인구
[편집]| 연도 | 인구 | ±% | 
|---|---|---|
| 1939 | 7,488 | — | 
| 1959 | 20,677 | +176.1% | 
| 1970 | 24,754 | +19.7% | 
| 1979 | 28,266 | +14.2% | 
| 1989 | 34,462 | +21.9% | 
| 2002 | 53,953 | +56.6% | 
| 2010 | 80,151 | +48.6% | 
| 2021 | 107,473 | +34.1% | 
| Source: Census data | ||
인구 수: 107,473 (2021년 인구 조사);[1] 80,151 (2010년 인구 조사);[2] 53,953 (2002년 인구 조사);[3] 34,462 (1989년 인구 조사).[4]. Ethnic composition (2010):[5]
기후
[편집]| Khanty-Mansiysk의 기후 |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역대 최고 기온 °C (°F) | 2.7 (36.9)  | 
4.5 (40.1)  | 
13.0 (55.4)  | 
25.1 (77.2)  | 
34.5 (94.1)  | 
34.5 (94.1)  | 
34.5 (94.1)  | 
31.6 (88.9)  | 
27.3 (81.1)  | 
20.4 (68.7)  | 
8.7 (47.7)  | 
3.1 (37.6)  | 
34.5 (94.1)  |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14.9 (5.2)  | 
−13.6 (7.5)  | 
−3.5 (25.7)  | 
3.7 (38.7)  | 
12.9 (55.2)  | 
20.2 (68.4)  | 
23.0 (73.4)  | 
18.9 (66.0)  | 
11.8 (53.2)  | 
3.5 (38.3)  | 
−7.1 (19.2)  | 
−12.8 (9.0)  | 
3.5 (38.3)  | 
| 일일 평균 기온 °C (°F) | −18.9 (−2.0)  | 
−17.3 (0.9)  | 
−8.1 (17.4)  | 
−1.2 (29.8)  | 
7.4 (45.3)  | 
15.2 (59.4)  | 
18.3 (64.9)  | 
14.5 (58.1)  | 
7.8 (46.0)  | 
0.5 (32.9)  | 
−10.4 (13.3)  | 
−16.8 (1.8)  | 
−0.8 (30.7)  |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22.9 (−9.2)  | 
−21.6 (−6.9)  | 
−12.7 (9.1)  | 
−5.5 (22.1)  | 
2.8 (37.0)  | 
10.9 (51.6)  | 
14.0 (57.2)  | 
10.6 (51.1)  | 
4.4 (39.9)  | 
−2.3 (27.9)  | 
−13.6 (7.5)  | 
−20.9 (−5.6)  | 
−4.7 (23.5)  | 
| 역대 최저 기온 °C (°F) | −49 (−56)  | 
−46.5 (−51.7)  | 
−40.1 (−40.2)  | 
−31.3 (−24.3)  | 
−14.9 (5.2)  | 
−4.6 (23.7)  | 
1.2 (34.2)  | 
−1 (30)  | 
−7.5 (18.5)  | 
−28.6 (−19.5)  | 
−43.4 (−46.1)  | 
−49 (−56)  | 
−49 (−56)  |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32 (1.3)  | 
22 (0.9)  | 
27 (1.1)  | 
29 (1.1)  | 
46 (1.8)  | 
55 (2.2)  | 
61 (2.4)  | 
83 (3.3)  | 
55 (2.2)  | 
45 (1.8)  | 
39 (1.5)  | 
36 (1.4)  | 
530 (20.9)  | 
| 평균 강우일수 | 0.4 | 1 | 3 | 10 | 17 | 18 | 17 | 20 | 21 | 15 | 4 | 1 | 127.4 | 
| 평균 강설일수 | 27 | 25 | 20 | 15 | 7 | 1 | 0.03 | 0.1 | 3 | 16 | 25 | 27 | 166.13 | 
| 평균 상대 습도 (%) | 83 | 81 | 76 | 69 | 65 | 66 | 71 | 78 | 81 | 83 | 85 | 84 | 77 |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31 | 100 | 174 | 206 | 250 | 289 | 304 | 219 | 140 | 79 | 44 | 10 | 1,846 | 
| 출처 1: Pogoda.ru.net[6] | |||||||||||||
| 출처 2: NOAA (sun only, 1961–1990)[7] | |||||||||||||
각주
[편집]- ↑ Russian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Всероссийск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2020 года. Том 1 [2020 All-Russian Population Census, vol. 1] (XLS) (러시아어).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 ↑ Russian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11). Всероссийск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2010 года. Том 1 [2010 All-Russian Population Census, vol. 1] (러시아어).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 ↑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1 May 2004). Численность населения России, субъектов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в составе федеральных округов, районов, городских поселений, сельских населённых пунктов – районных центров и сельских населённых пунктов с населением 3 тысячи и более человек [Population of Russia, Its Federal Districts, Federal Subjects, Districts, Urban Localities, Rural Localities—Administrative Centers, and Rural Localities with Population of Over 3,000] (XLS) (러시아어).
 - ↑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89 г. Численность наличного населения союзных и автономных республик, автономных областей и округов, краёв, областей, районов, городских поселений и сёл-райцентров [All Union Population Census of 1989: Present Population of Union and Autonomous Republics, Autonomous Oblasts and Okrugs, Krais, Oblasts, Districts, Urban Settlements, and Villages Serving as District Administrative Centers] (러시아어). Институт демографии Национального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ого университета: Высшая школа экономики [Institute of Demography at the National Research University: Higher School of Economics]. 1989 – Demoscope Weekly 경유.
 - ↑ “ВПН том 3. Таблица 4. Население по национальности и владению русским языком по городским округам и муниципальным районам Ханты-Мансийского автономного округа — Югра” (PDF). 2013년 12월 2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월 7일에 확인함.
 - ↑ “Pogoda.ru.net” (러시아어). Weather and Climate. 2012년 10월 6일에 확인함.
 - ↑ “Climate Normals for Hanty-Mansijsk”. 미국 해양대기청. 2013년 1월 1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러시아어) 공식 웹사이트
 
| 이 글은 러시아의 도시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