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플로그룹 R (mtDNA)
보이기
하플로그룹 R은 인류 미토콘드리아 DNA 하플로그룹의 일종이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남부 경로 대확장이 일어나고 얼마 지나지 않은 약 65,000년 전에 하플로그룹 N에서 일찍이 분기되어 나와 호모 사피엔스 인구가 유라시아로 빠르게 확장함과 동반하여 퍼진 것으로 보인다.
분포
[편집]모계 하플로그룹 R 및 그 파생 그룹들은 지역별로 차이는 있으나 유라시아, 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북아프리카, 동북아프리카의 각지에 걸쳐 넓게 분포한다.
특히 남아시아의 원주민들에게서 분기가 오래되고 조밀하게 나타난다는 점에서 초기 발생 당시 남아시아에서 동남아시아에 걸친 해안 지역을 거친 후 확장했을 가능성이 제시된다. 최근공통조상 연구 등을 통한 추정치로는 하플로그룹 L3으로부터 하플로그룹 N이 파생된지 오래 지나지 않아 R이 발생하였는데, L3에서 하플로그룹 M이 파생된 시기보다도 훨씬 이른 것으로 보인다.
기저형인 R*은 소코트라섬, 동북아프리카, 중동, 근동, 아라비아 반도에서 1% 내외로 발견된다. 시베리아에서 발견된 약 45,000년 전의 유골 Ust'-Ishim man에서도 R*(구 명칭 U*)이 검출되었다.[1][2]
하위 분기
[편집]- R0 (pre-HV)
- R1
- R2'JT (pre-JT)
- R3: 아르메니아
- R5: 인도에서 고빈도
- R6'7 (16362)
- R6: 남아시아
- R7: 남아시아
- R8
- R9 (16304)
- R9b: 동남아시아, 특히 말레이 원주민에게서 고빈도.
- (249d)
- R9c: 말레이시아, 타이완 원주민에게서 고빈도
- F: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 R11'B (16189)
- R12'21
- R12: 오스트레일리아
- R21: 말레이시아 네그리토 등
- R22: 니코바르 제도 원주민에게서 고빈도
- R30: 남아시아
- R31: 남아시아
- P: 오스트레일리아, 멜라네시아
- U: 중동, 유럽 등
각주
[편집]- ↑ Marrero, Patricia; Abu-Amero, Khaled K; Larruga, Jose M; Cabrera, Vicente M (2016). “Carriers of human mitochondrial DNA macrohaplogroup M colonized India from southeastern Asia”. 《BMC Evolutionary Biology》 16 (1): 246. doi:10.1186/s12862-016-0816-8. PMC 5105315. PMID 27832758.
- ↑ Larruga, Jose M; Marrero, Patricia; Abu-Amero, Khaled K; Golubenko, Maria V; Cabrera, Vicente M (2017). “Carriers of mitochondrial DNA macrohaplogroup R colonized Eurasia and Australasia from a southeast Asia core area”. 《BMC Evolutionary Biology》 17 (1): 115. doi:10.1186/s12862-017-0964-5. PMC 5442693. PMID 28535779.
미토콘드리아 이브 (L) | |||||||||||||||||||||||||||||||||||||||
L0 | L1–6 | ||||||||||||||||||||||||||||||||||||||
L1 | L2 | L3 | L4 | L5 | L6 | ||||||||||||||||||||||||||||||||||
M | N | ||||||||||||||||||||||||||||||||||||||
CZ | D | E | G | Q | O | A | S | R | I | W | X | Y | |||||||||||||||||||||||||||
C | Z | B | F | R0 | pre-JT | P | U | ||||||||||||||||||||||||||||||||
HV | JT | K | |||||||||||||||||||||||||||||||||||||
H | V | J | 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