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브루타

하브루타(히브리어: חַבְרוּתָא 핫브루타, 영어: chavruta, havruta)는 정통 유대교 교리를 따르는 유대인의 전통적 학습방법이다. 문자적 의미는 함께 (together), 우정, 동료 등을 뜻한다. 예시바(yeshiva) 및 코렐(kollel)에서 주류적 학습법이다. 교사-학생간의 관계와 달리, 하브루타 학습에서는 각자가 분석하고 자신의 생각을 조직화하여 상대방에게 설명하며, 상대방의 이야기를 듣고 질문하면서, 때로는 전혀 새로운 관점을 발견하기도 한다. 2000년대에 들어 전화 및 인터넷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좁은 의미로는 동급생, 넓은 의미로는 가정, 선생님과 서로 대화함으로써 서로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 사고력, 창의력을 함양할 수 있다. 친구를 의미하는 아람어인 하베르에서 유래한 용어로, 학생들끼리 짝을 이루어 서로 질문을 주고받으며 논쟁하는 유대인의 전통적인 토론 교육 방법. 유대교 경전인 ≪탈무드≫를 공부할 때 주로 사용되지만 오늘날에서 그 범위가 넓어져 가고 있다.
나이와 성별, 계급에 차이를 두지 않고 두 명씩 짝을 지어 공부하며 논쟁을 통해 진리를 찾아가는 방식이다. 이때 부모와 교사는 학생이 마음껏 질문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고 학생이 스스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1][2]
하브루타는 소통을 하며 답을 찾아가는 과정 속에서 다층적으로 지식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나의 주제에 대한 찬반양론을 동시에 경험하게 되므로 이를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와 해결법을 이끌어 낼 수도 있다.
하브루타는 정통 유대교 신자들 사이에서 행해지는 교육법이다. 일반 가정에서의 이스라엘 교육 방식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정의
[편집]하브루타는 "우정"[1] 또는 "동반자 관계"[3]를 의미하는 아람어 단어이다. 미슈나와 게마라의 랍비들은 함께 토라를 연구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써 chaver (חבר, "친구"또는 "동반자")를 사용한다.[4][5] 현대의 언어에서, 하브루타는 "학습 파트너"로 정의된다.[4]
정통 유대교에서, 하브루타는 두명의 학생이 하나 하나를 배우는 것을 말한다. 3명 이상의 학생들이 함께 배울 때는 chavurah (히브리어 : חַבוּרָה, 그룹)라고 한다.[6] 개혁 유대교는 하브루타의 아이디어를 함께 공부하는 두세 명, 세 명, 네 명 또는 다섯 명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장시켰다.[2][7]
효과
[편집]교사가 학생에게 강의하고 시험을 통해 정보를 암기하고 다시 반복하는 기존 교실 학습과는 달리,[8] 또 학생들이 독립적인 연구를 하는 학회와는 달리, 하브루타는 학생들이 학습 과제를 구두로 설명한다. 또한, 상대의 논증에 오류를 찾아내고 서로의 생각에 대해 질문하며 종종 본문의 의미에 대해 완전히 새로운 통찰력을 갖게 된다.[1][2][9]
하브루타는 학생들이 배움에 집중하며, 추리력을 날카롭게 하고, 생각을 말로 발전시키고, 논리적인 논쟁로 그의 생각을 정리하도록 돕는다.[10] 이러한 유형의 학습은 또한 모호하게 유지될 수 있는 아이디어에 정밀성과 명확성을 부여한다. 다른 사람의 의견에 귀 기울이고, 분석하고, 대응하는 것은 타인에 대한 존경을 심어준다. 하브루타를 방해하는 것은 예의에 어긋난다고 여겨진다.[11] 하브루타와의 관계는 또한 그의 하브루타에서 실망하거나 취소하는 것을 싫어하기 때문에 자신의 연구에 대한 학생들의 개인적인 노력을 강화한다.[12]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World Wide Agora》. 155쪽.
- ↑ 가 나 다 ISEAS, 편집. (2010년 12월 31일). 《26. Bringing young people together》. Singapore: ISEAS–Yusof Ishak Institute Singapore. 36–36쪽. ISBN 978-981-4311-35-9.
- ↑ Forta, Arye, 1942- (1995). 《Judaism.》 New판. Oxford: Heinemann. ISBN 0-435-30321-X.
- ↑ 가 나 “Volume 1925 - Japan Chronicle Commercial Supplement > Date 26 November 1925”. 2020년 5월 4일에 확인함.
- ↑ Hezser, Catherine, 1960- (1997). 《The social structure of the rabbinic movement in Roman Palestine》. Tübingen: Mohr Siebeck. ISBN 3-16-146797-3.
- ↑ “EDOS: Where We Are”. 2012년 3월 26일. 2012년 3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5월 4일에 확인함.
- ↑ Moskowitz, Rabbi Michael L. (May–June 2011). 《Turn It Again – The Joy of Shabbat Tish》 (PDF). 2017년 3월 12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5월 4일에 확인함.
- ↑ Bouskila, Rabbi Daniel (2003년 6월 5일). “Learning Together”.
- ↑ Schwartzbaum, Avraham. (1988). 《The bamboo cradle : a Jewish father's story = [Chu yao lan]》. Jerusalem: Feldheim Publishers. ISBN 0-87306-459-3.
- ↑ “Zobin, Zvi (1996). Breakthrough to Learning Gemora: A concise, analytical guide. Kest-Lebovits. pp. 104–106.”.
- ↑ “""The wise man does not speak before one who is wiser than him and does not break into the words of another" (Avot 5:7)" (PDF). Ohrnet. Ohr Somayach. 13 (39): 2. 15 July 2006.”.
- ↑ “The Jewish Chronicle.”. 2020년 5월 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