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어슨투코투코
보이기
![]() | |
---|---|
![]() 피어슨투코투코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쥐목 |
아목: | 호저아목 |
과: | 투코투코과 |
속: | 투코투코속 |
종: | 피어슨투코투코 (C. pearsoni) |
학명 | |
Ctenomys pearsoni | |
Lessa & Langguth, 1983 | |
보전상태 | |
|
피어슨투코투코(Ctenomys pearsoni)는 투코투코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2] 우루과이의 토착종이며, 해발 200m 이하에서 발견된다.[1] 피어슨투코투코는 여러 개의 구멍(평균 13개)을 가진 굴을 파며, 건조한 풀로 만든 한 두개의 둥지를 포함하고 있다. 모래로 된 흙 지역을 좋아하지만 어느 정도 융통성이 있다.[1] 개발과 농업 그리고 목장을 위한 서식지 감소 때문에 위협을 받고 있다.[1] 2n=68~70, FN=80~88과 2n=56, FN=77~79을 포함하여 다양한 핵형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 분류군이 여러 종을 대표되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2] 도르비니투코투코(C. dorbignyi)는 2n=70 형태에서 세포유전학적으로 구별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2] 학명은 미국 동물학자 피어슨(Oliver Payne Pearson)의 이름에서 유래했다.[3][4]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Ctenomys pearsoni”.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09년 1월 5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Woods, C.A.; Kilpatrick, C.W. (2005). “Infraorder Hystricognathi” [호저하목].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538–1600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Lidicker, W. Z.; Patton, J. L. “In Memoriam: Oliver Payne Pearson”. 《Online Biographies of UC Faculty and Administrators》. 2012년 2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5월 11일에 확인함.
- ↑ Beolens, Bo; Watkins, Michael; Grayson, Michael (2009년 9월 28일). 《The Eponym Dictionary of Mammal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12–313쪽. ISBN 978-0801893049. OCLC 270129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