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풍안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풍안군
豊安君
(君)
이름
이효손
李孝孫
신상정보
출생일 1403년 5월 2일(1403-05-02)
출생지 조선 풍해도 송도
사망일 1463년 8월 26일(1463-08-26)(60세)
사망지 조선 한성부
왕조 조선
가문 조선 왕조 전주 이씨
부친 무안군 이방번(양부)
영천군 이담(생부)
모친 삼한국대부인 개성 왕씨(양모)
첩실 원주 변씨(양서모)
군부인 수원 백씨(생모)
첩실 철원 김씨(친서모)
배우자 군부인 삭녕 신씨
자녀 광평군 이여(양자)
문평군 이종윤(친장자)[1]
문양군 이계윤(친차자)[2]
기타 친인척 영순군 이부(양손자)
태조 이단(양조부)
의안군 이화(친조부)
창성군 이의경(사촌 형)
하릉군 이확(사촌 동생)
종교 불교

풍안부수 이효손(豊安副守 李孝孫, 1403년 5월 2일~1463년 8월 26일)은 조선왕족 종실이다. 본관전주(全州)이고, 무안대군(이방번, 1381년~1398년)의 양자(養子)이기도 하며, 광평대군(이여, 1425년~1444년)의 양부(養父)가 된다.

사후 약 809년 여가 흘러 지난 1872년(고종 9)에 풍안군(豊安君)으로 추증되었다.

생애

[편집]

의안군 이화의 친손자이며, 영천군 이담의 슬하 2남 5녀 중 장남(長男)이다.

1412년(태종 12)에 풍안부수(豊安副守)로 책봉된 그는, 젊은 시절에 결혼을 하여 슬하 2남을 얻은 이후 35세 때인 1437년(세종 19)에 5촌 종숙부 무안대군의 양자로 출계하였다. 그와 동시에 광평대군(세종의 적5자)을 양자로 삼았고, 친장자 문평군을 사촌 남동생 하릉도정에게, 친차자 문양군을 사촌 형 창성군에게 각각 양자로 출계시켰다.

친척 관계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사촌 동생 하릉군 이확의 양자로 출계.
  2. 사촌 형 창성군 이의경의 양자로 출계.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