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푸젠호 항공모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푸젠함 (福建)

2025년 9월, 동중국해를 항해하는 푸젠함
개요
함명 푸젠함 (福建)
함종 항공모함
운용  중국 해군
기공 2015년 3월2016년 2월
진수 2022년 6월 17일
특징
함급 003형 항공모함
배수량 80,000톤 이상 (만재)
전장 316 m
선폭 76 m
흘수 11 m
추진 증기 터빈
속력 30 노트 이상 (56 km/h 이상)
승조원 약 2,700명 (항공요원 포함)
전자전 S-밴드 및 X-밴드 AESA 레이더
함재기 50기 이상
항공장비 3 × 전자기식 캐터펄트
어레스팅 기어

푸젠함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에서 운용하는 중국의 재래식 동력 항공모함이다. 중국 최초의 독자 설계 항공모함이며,[1] 캐터펄트 보조 이륙(CATOBAR)이 가능한 최초의 함선이다. 이전 중국 항공모함들은 스키점프대(STOBAR)를 사용했다.[2] 세계에서 미국 해군제럴드 R. 포드에 이어 두 번째로 함재기 발사를 위해 전자기식 캐터펄트를 장착한 항공모함이다. 푸젠함의 EMALS는 세계 최초의 중전압 직류(MVDC) 통합 전력 시스템으로 구동되며, 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의 교류(AC) 기반 EMALS보다 신뢰성이 더 높다.[3] 또한 전자기식 캐터펄트 시스템을 사용하여 5세대 전투기를 발사한 세계 최초의 항공모함이기도 하다.[4]

푸젠함은 장난 조선소에서 건조되어 2022년 6월 17일에 진수되었으며, 2024년 5월부터 해상 시험을 시작했다. 2019년, 미 육군대학의 분석가 로버트 팔리는 푸젠함이 "미국 밖에서 건조된 가장 크고 가장 진보된 항공모함"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5] 2025년 9월 22일, 중국 관영 매체는 푸젠함이 J-15T, J-35, KJ-600 전투/지원 항공기의 전자기식 캐터펄트 발사 시험을 수행하는 영상을 공개했으며, 이는 함선이 가까운 미래에 취역할 준비가 되었음을 시사한다.[6] 이 항공모함은 2025년 말에 취역할 것으로 예상된다.[7]

설계

[편집]

푸젠함의 함급은 원래 군사 관측가들에 의해 002형으로 지정되었다. 당시 미완성 상태였던 산둥함이 이전의 001형 랴오닝함의 개량 설계였기 때문에 001A형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산둥함은 2019년 12월 취역식에서 공식적으로 002형으로 확인되었고, 이후 관측가들은 건조 중인 푸젠함을 003형으로 부르기 시작했다.[출처 필요]

푸젠함은 원래 증기식 캐터펄트를 사용할 예정이었으나,[출처 필요] 이는 중국이 폐기된 HMAS 멜버른역공학하여 개발한 기술이었다.[8] 2013년, 인민해방군 해군 소장 인줘는 대신 전자기식 캐터펄트를 사용할 것이라고 보고했다.[9]

크기

[편집]

함선은 길이 316 m (1,036 ft 9 in), 폭 76 m (249 ft 4 in)으로 추정되며,[10] 만재 배수량은 80,000톤에서 85,000톤에 달한다.[1] 이는 미국 해군키티호크급 항공모함과 비교된다.[11][12]

항공

[편집]

비행갑판에는 3개의 중전압 직류 전자기식 캐터펄트, 어레스팅 기어가 장착된 경사 갑판, 그리고 2개의 우현 격납고 엘리베이터가 있다.[13]

푸젠함의 항공단은 최소 40기의 고정익기와 12기의 헬리콥터로 구성될 것으로 추정된다. 탑재 항공단에는 캐터펄트 호환 J-15T 다목적 전투기, J-15DT 전자전기,[14] J-35 스텔스 전투기, KJ-600 [공중조기경보통제기], 그리고 HZ-20 다목적 헬리콥터가 포함된다.[1]

추진

[편집]

푸젠함은 재래식 증기 터빈디젤 발전기로 구동된다.[10]

역사

[편집]

건조

[편집]
2022년 장난 조선소에 있는 푸젠함

건조는 2010년대 중반에 시작되었다. 2020년 7월에 첫 사전 제작된 블록 모듈이 건선거에 배치되었고, 2021년 7월에는 상부 구조물이 설치되었다.[15]

의장

[편집]

푸젠함은 2022년 6월 17일에 진수되었다.[10] 이전 중국 항공모함과 마찬가지로, 인민해방군 해군 명명 규정에 따라 중국의 성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16] 서방 언론은 푸젠성대만 해협을 사이에 두고 대만과 마주보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17] 2023년 11월에는 캐터펄트 시험이 시작되었다.[18]

해상 시험

[편집]

푸젠함은 2024년 5월에 해상 시험을 시작했다. 첫 시험은 5월 1일부터 8일까지 진행되었다.[19]

2025년 8월 1일, 중국 언론은 J-15T 함재기가 전자기식 캐터펄트를 사용하여 발사되는 장면을 암시하는 영상을 공개했다.[20]

아홉 번째 해상 시험은 2025년 9월 10일에 시작되었다. 9월 12일에는 대만 해협을 통과하여 남중국해로 향하는 것이 확인되었다.[21]

2025년 9월 22일, 중국 관영 방송은 J-15T, 선양 J-35, 시안 KJ-600 항공기가 함선의 전자기식 캐터펄트를 통해 완전한 발사 및 회수 순서를 수행하는 여러 영상과 사진을 공개했다.[22] 인민해방군 해군은 푸젠함이 "초기 완전 갑판 운용 능력"을 달성했다고 발표했다.[23]

각주

[편집]
  1. Asia-Pacific Regional Security Assessment 2023, 71쪽.
  2. Asia-Pacific Regional Security Assessment 2023, 70쪽.
  3. “China’s J-35 Electromagnetic Launch: Not a Catch-Up to the US, But an Overtake”. 《The China Academy》. 2025년 9월 23일. 2025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10월 17일에 확인함. 
  4. “China's J-35 fighter beats F-35C, becomes first stealth jet to be launched from an aircraft carrier using EMALS; Fujian breaks US Navy's monopoly, watch video”. 《The Economic Times》. 2025. 2025년 10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5년 10월 8일에 확인함. 
  5. Farley, Robert (2019년 5월 10일). “The Significance of China's Second Indigenous Aircraft Carrier”. The Diplomat. 2019년 6월 7일에 확인함. 
  6. Lariosa, Aaron-Matthew (2025년 9월 22일). “Chinese Aircraft Carrier Fujian Launches Stealth Jet, Early Warning Aircraft in Catapult Tests”. United States Naval Institute. 2025년 9월 26일에 확인함. 
  7. Satam, Parth (2025년 9월 22일). “J-35, J-15 and KJ-600 Shown Operating Off PLA Navy’s Fujian Carrier”. 《The Aviationist》. 
  8. Hobbs, HMAS Melbourne (II) – 25 Years On, p. 9
  9. “Chinese aircraft carrier should narrow the gap with its U.S. counterpart”. 《english.peopledaily.com.cn》. People's Daily. 2013년 10월 18일. 2013년 10월 18일에 확인함. 
  10. “How Advanced Is China's Third Aircraft Carrier?”,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2023년 5월 17일, 2024년 5월 25일에 확인함 
  11. Funaiole, Matthew P.; Jr, Joseph S. Bermudez; Hart, Brian (2021년 6월 15일). “China's Third Aircraft Carrier Takes Shape”. 《CSIS》. 
  12. Chen, Frank (2019년 5월 28일). “Third PLA carrier could be China's Kitty Hawk”. Asia Times. 2019년 6월 7일에 확인함. 
  13. Rahmat, Ridzwan (2024년 5월 16일). “Special Report: China gears up third carrier for more enduring operations despite flight deck flaw”. 《Janes》. 2024년 5월 25일에 확인함. 
  14. Satam, Parth (2025년 9월 22일). “J-35, J-15 and KJ-600 Shown Operating Off PLA Navy’s Fujian Carrier”. 《The Aviationist》. 
  15. “China's third aircraft carrier could launch this year but still needs jets”. 2021년 7월 16일. 
  16. Newdick, Thomas (2022년 6월 17일). “China Launches The Fujian, Its Most Capable Aircraft Carrier Yet (Updated)”. 《The Drive》. 
  17. Martin Quin Pollard (2022년 6월 18일). “China launches third aircraft carrier, named after province opposite Taiwan”. 《Reuters》. 2022년 6월 18일에 확인함. 
  18. Trevithick, Joseph (2023년 11월 27일). “China's New Aircraft Carrier Begins Catapult Testing”. 《The Drive》. 
  19. Zhao, Ziwen (2024년 5월 8일). “Smooth sailing for China's Fujian aircraft carrier as it finishes first sea trial”. 《South China Morning Post》. 
  20. Trevithick, Joseph (2025년 8월 1일). “China Teases First Catapult Launches From Its New Carrier Fujian”. 《The War Zone》. 
  21. “海军福建舰赴南海相关海域开展科研试验和训练任务”. 《中国新闻网》. 2025년 9월 12일. 
  22. Xiao, Josh (2025년 9월 22일). “China Showcases Electromagnetic Carrier Catapult For First Time”. 《Bloomberg News》. 
  23. Zhao, Lei (2025년 9월 22일). “CNS Fujian achieves milestone with electromagnetic launch of advanced Naval aircraft”. 《China Dai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