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염화비닐리덴
보이기
	
	
| 이름 | |
|---|---|
| IUPAC 이름
 Poly(1,1-dichloroethene)[1] 
 | |
| 별칭
 Poly(vinylidene dichloride) 
Polydene  | |
| 식별자 | |
| 약어 | PVDC | 
| ChemSpider | 
  | 
| ECHA InfoCard | 100.125.127 | 
CompTox Dashboard (EPA) 
 | 
|
| 성질 | |
| (C2H2Cl2)n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
폴리염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chloride, poly鹽化vinyl-)은 열가소성 플라스틱의 하나로 수정처럼 투명하고 질기다. 육류를 비롯한 식품 포장에 사용한다.
역사
[편집]랄프 와일리(Ralph Wiley)는 1933년 우연히 폴리염화비닐리덴을 발견하였다.[2]
폴리염화비닐리덴 섬유
[편집]염화비닐리덴(H2C=CCl2)의 첨가 중합체인데 일반적으로 소량의 염화비닐을 가하여 혼성 중합한 것을 이용한다. 방충망, 시트 등으로 쓰인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Vinylidene Chloride”. 《pubchem.ncbi.nlm.nih.gov》. 2019년 8월 28일에 확인함.
 - ↑ John W. Klooster (2009년 7월 30일). 《Icons of Invention: The Makers of the Modern World from Gutenberg to Gates》. ABC-CLIO. 466–쪽. ISBN 978-0-313-34743-6. 2012년 7월 12일에 확인함.
 
| 이 글은 화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