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메피졸
보이기
![]() | |
![]() | |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4-Methyl-1H-pyrazole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7554-65-6 ![]() |
ATC 코드 | V03AB34 |
PubChem | 3406 |
드러그뱅크 | DB01213 |
ChemSpider | 3289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 |
분자량 | ? |
유의어 | 4-Methylpyrazole |
물리적 성질 | |
끓는점 | 204 ~ 207 °C (수식 오류: 알 수 없는 "~" 구두점 문자입니다. °F) (97,3 kPa 기준)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 |
생물학적 반감기 | ? |
배출 | ? |
처방 주의사항 | |
임부투여안전성 | C(미국)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정맥 주사 |
포메피졸(Fomepizole) 또는 4-메틸피라졸(4-methylpyrazole)은 메탄올과 에틸렌글라이콜 중독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물이다.[1] 단독 사용되거나 혈액 투석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1] 정맥 주사를 통해 이루어진다.[1]
공통 부작용으로는 두통, 구역질, 불면증, 불안정 등이 있다.[1] 임신 중에 복용하는 것이 태아에 안전한지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다.[1] 포메피졸은 메탄올과 에틸렌글리콜을 독성 분해 산물로 변환하는 효소를 차단함으로써 동작한다.[1]
포메피졸은 1997년 미국에서 의학 용도로 승인되었다.[1] 의료 체계에 필수적인 가장 효과적으로 안전한 의약 목록인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2] 미국에서 개별 약병 가격은 약 1000 미국 달러이다.[3]
기타 이용
[편집]의학용도 외에 배위화학에서 4-메틸피라졸의 역할이 연구되고 있다.[4]
각주
[편집]-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Fomepizole”.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21 December 2016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8 December 2016에 확인함.
- ↑ “WHO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19th List)” (PDF). 《World Health Organization》. April 2015. 13 December 2016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8 December 2016에 확인함.
- ↑ Wolfson, Allan B.; Hendey, Gregory W.; Ling, Louis J.; Rosen, Carlo L.; Schaider, Jeffrey J.; Sharieff, Ghazala Q. (2012). 《Harwood-Nuss' Clinical Practice of Emergency Medicine》 (영어) 5판.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376쪽. ISBN 9781451153453. 2016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Vos, Johannes G.; Groeneveld, Willem L. (1979). “Pyrazolato and related anions. Part V. Transition metal salts of 4-methylpyrazole”. 《Transition Metal Chemistry》 4 (3): 137–141. doi:10.1007/BF00619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