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패션 브랜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패션 브랜드(fashion brand)라는 용어는 패션 산업 내에서 운영되는 모든 브랜드를 포함한다.[1] 패션 브랜드는 상징성, 스타일, 경험적 요소를 결합하며,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제품을 차별화하고 공급망을 조율해야 한다.[2][3] 소비자들은 일반적으로 브랜드를 자신의 진정한 정체성이나 되고자 하는 이상적인 자아상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한다.[4][5][6]

역사

[편집]

19세기 중반 이전에는 옷이 주로 개개인을 위해 집에서 만들거나 양재사재단사를 고용하여 만들었다.[7] 오트쿠튀르의 기원은 19세기 중반 파리에서 찾을 수 있다. 찰스 프레데릭 워스는 하이패션 드레스메이킹을 도입하며 오트쿠튀르를 개척했다. 현재 이 개념은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샤넬, 발렌시아가, 크리스티앙 디오르는 오트쿠튀르 라인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패션 브랜드이다.[8]

그러나 20세기 초 기술 발전과 세계 자본주의의 부상과 함께 공장 생산과 백화점과 같은 소매점이 등장하여 표준화된 사이즈와 고정 가격으로 의류를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7]

글로벌 패션 브랜드

[편집]

패션 산업은 소매 산업 내에서 가장 활발하게 국제화되는 부문 중 하나로 널리 인식되고 있다.[9]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패션 브랜드의 상당 부분은 자국 외에서 대부분의 상업 활동을 수행한다.[9] 국제적인 운영은 H&M, 인디텍스, 나이키와 같은 주요 브랜드의 주요 수익원이다.[9] 나이키의 세계적인 성공은 스포츠 브랜드 성장에 있어 브랜드 확장의 중요성을 잘 보여준다. 아디다스, 리복, 푸마, 아식스를 포함한 이 산업의 다른 주요 브랜드들도 새로운 의류 및 신발 제품을 출시하며 이러한 추세를 따르고 있다.[10]

분류

[편집]

패션 산업은 남성, 여성, 아동을 위한 다양한 유형의 디자인, 생산, 유통, 마케팅, 소매, 광고, 프로모션을 포함한다. 여기에는 고급 디자이너 패션과 일상복, 오트쿠튀르 무도회 가운부터 캐주얼 트레이닝복까지 포함된다.[7] 패션 브랜드의 범주는 가격 세분화와 제품 품질 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1][3]

럭셔리 브랜드

[편집]

프리미엄 및 럭셔리 브랜드는 지정된 시장 부문에서 탁월한 성과를 보이며, 제품에 특정한 독특하고 가치 있는 기능과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으로 특징지어진다.[11] 예로는 구찌에르메스가 있다.[12][2]

미드-럭셔리 브랜드

[편집]

랠프 로런은 미국 시장에서 미드-럭셔리로 분류되는 패션 브랜드 중 하나이다.[13]

할인 슈퍼마켓 체인 또는 브랜드

[편집]

KiK, 리들, 알디는 현재 가격에 특히 민감하고 저렴한 옵션을 찾는 고객층을 대상으로 할인 부문을 확장하고 있다. 이 범주의 구매 결정은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1]

패스트 패션 브랜드

[편집]

최근에는 자라, H&M, 프라이마크, 망고와 같은 패스트 패션 기업들의 등장이 늘고 있다.[1] 이들 기업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패션 트렌드에 신속하게 적응하며 긍정적인 평판을 얻었다. 또한, 신선한 스타일과 더 넓은 범위의 제품에 대한 고객의 증가하는 수요는 생산 주기를 단축하고 마이크로 컬렉션을 도입하게 했다.[14][1][15]

패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편집]

패션 산업에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은 패션 브랜드가 이니셔티브, 플랫폼, 공간,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소비자와 더 넓은 사회와 소통하고 관계를 구축하는 방식을 의미한다.[5] 브랜드가 사용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은 다른 산업 및 부문에서 사용되는 것들과는 다른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5]

패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은 시각적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제품 디자인, 광고, 홍보, 브랜드 경험 등 다양한 활동을 포함한다.[5] 다른 형태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에는 스폰서십이나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를 통한 외부 단체와의 다양한 형태의 협력이 포함된다. 또한, 패션 브랜드는 종종 한정판 및 수집품을 만들기 위해 다른 브랜드와 한정적인 브랜드 협업을 한다.[16]

각주

[편집]
  1. “Fashion Brand”. 《www.brand-trust.de》. 2023년 5월 13일에 확인함. 
  2. “What is Fashion Brand | IGI Global” (미국 영어). 《www.igi-global.com》. 2023년 5월 13일에 확인함. 
  3. “Top15 Best Fashion Companies In India 2023 - Inventiva” (미국 영어). 2023년 3월 7일. 2023년 5월 14일에 확인함. 
  4.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Brand Personality on Consumer Behavior - Volume 3, No. 1, March, 2015 - Journal of Advanced Management Science (JOAMS)”. 《www.joams.com》. 2023년 5월 14일에 확인함. 
  5. Huggard, Emily; Cope, Jon (2020년 2월 19일). 《Communicating Fashion Brands: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s》 (영어). Routledge. ISBN 978-0-429-87558-8. 
  6. Tungate, Mark (2005). 《Fashion Brands: Branding Style from Armani to Zara》 (영어). Kogan Page Publishers. ISBN 978-0-7494-4299-6. 
  7. “Fashion industry | Design, Fashion Shows, Marketing, & Facts | Britannica” (영어). 《www.britannica.com》. 2023년 5월 14일에 확인함. 
  8. “What Does Couture Mean- Definition and French Translation - The Dapifer”. 2017년 7월 8일. 2017년 7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5월 14일에 확인함. 
  9. Jin, Byoungho; Cedrola, Elena (2016년 6월 28일). 《Fashion Brand Internationalization: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영어). Springer. 2쪽. ISBN 978-1-137-52337-2. 
  10. Bouchet, Patrick; Hillairet, Dieter; Bodet, Guillaume (2013). 《Sport Brands》 (영어). Routledge. 136쪽. ISBN 978-0-415-53284-6. 
  11. “Luxury Brands, Premium Brands”. 《www.brand-trust.de》. 2023년 5월 13일에 확인함. 
  12. Fionda, Antoinette M; Moore, Christopher M (March 2009). 《The anatomy of the luxury fashion brand》. 《Journal of Brand Management》 16. 347–363쪽. doi:10.1057/bm.2008.45. ISSN 1350-231X. S2CID 167898713. 
  13. Beras, Erika (2018년 8월 1일). “Mid-luxury brands say no to discounted goods” (미국 영어). 《Marketplace》. 2023년 5월 13일에 확인함. 
  14. Bhardwaj, Vertica; Fairhurst, Ann (February 2010). 《Fast fashion: response to changes in the fashion industry》. 《The International Review of Retail, Distribution and Consumer Research》 20. 165–173쪽. doi:10.1080/09593960903498300. ISSN 0959-3969. S2CID 167708658. 
  15. Sull, Donald; Turconi, Stefano (June 2008). 《Fast fashion lessons》. 《Business Strategy Review》 19. 4–11쪽. doi:10.1111/j.1467-8616.2008.00527.x. ISSN 0955-6419. S2CID 154671050. 
  16. Diaz Ruiz, Carlos; Cruz, Angela Gracia B. (2023년 1월 1일). 《Unconventional luxury brand collaborations: a new form of luxury consumption among young adults in China》. 《International Marketing Review》 40. 1–21쪽. doi:10.1108/IMR-04-2022-0099. ISSN 0265-1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