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브델루리온
![]() | |
---|---|
화석 범위: 캄브리아기 제3절 | |
![]() 화석표본 | |
생물 분류ℹ️ | |
역: | 진핵생물역 |
계: | 동물계 |
상문: | 탈피동물상문 |
문: | 절지동물문 |
강: | †공하강 |
속: | †팜브델루리온속 Budd, 1997 |
모식종 | |
† Pambdelurion whittingtoni | |
Budd, 1997 |
팜브델루리온(학명: Pambdelurion)은 그린란드 북부의 캄브리아기 시리우스 파세트 발굴현장에서 발굴된 범절지동물의 멸종한 속이다. 같은 곳에서 발견된 케리그마켈라와 비슷한 체형을 가지고 있어, 팜브델루리온이 절지동물과 매우 가깝다고 여겨지는데, 원시 절지동물이라 할 수 있는 엽족동물의 특징들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특징
[편집]

팜브델루리온은 캄브리아기 동물 중에서는 거대한 편이며 몸길이는 55cm에 달할 정도로 크다.[1] 중국에서 팜브델루리온과 매우 닮은 옴니덴스(Omnidens)가 발견되었으며, 동종이명이명으로 보고 있으나, 팜브델루리온의 몸 비율에 따라 몸길이 1.5m로 더 큰 크기의 추정치가 나왔다.
팜브델루리온의 머리에는 유조동물의 더듬이 및 라디오돈트목의 전방부속지와 상동인 커다란 부속지가 달린다. 이 전방부속지는 근육이 약하게 붙어 있으며, 비교적 연약해, 먹이를 움켜쥐기 보다는 주로 감각기관으로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한다.[2] 부속지 사이에는 가시돌기 3쌍이 머리 앞에 붙어있으며, 이 돌기들도 감각기능을 가졌을 것으로 보인다.[3] 눈은 이전에는 찾기 어려웠으나 일부 시각에서는 케리그마켈라와 유사한 눈이 있다는 견해가 있다.[4] 머리 아래에는 입이 있으며, 비절지류 탈피동물의 것과 비슷한 구주(oral cone)가 있다.
몸통은 11쌍의 근육이 없고 아가미가 있는 옆지느러미가 달리며, 지느러미 아래로 엽족이 하나 씩 달린다. 몸통 근육은 절지동물보다는 유조동물과 매우 닮아있다. 큐티클은 단단하지 않다.
내장 전면부는 크며, 다른 탈피동물들처럼 근육질 인두를 가지고 있다. 내장의 좀 더 뒷부분에는 소화샘들이 짝을 이루고 있다.
연구사
[편집]팜브델루리온 휘팅토니(Pambdelurion whittingtoni)는 1997년 그레이엄 E. 버드(Graham E. Budd) 교수가 명명한 것이다. 속명은 그리스어로 ‘매우 혐오스럽다‘는 의미로 이 동물의 무서운 외양에서 따왔으며, 종소명은 고생물학자 해리 B. 휘팅턴을 기리는 의미로 붙인 것이다.[5]
모식표본명은 MGUH 24508이다.
계통분류
[편집]절지동물 줄기군의 계통발생도[6][7][8] | |||||||||||||||||||||||||||||||||||||||||||||
| |||||||||||||||||||||||||||||||||||||||||||||
팜브델루리온은 현생 완보동물, 유조동물, 그리고 절지동물의 조상으로 구성된 범절지동물의 다계통군, 엽족동물의 구성원으로 취급받는다. 이들은 다른 현생 분류군보다도 절지동물과 좀 더 연관이 깊으나, 모든 현생 절지류의 최근 공통 조상이 나타나기 전에 갈라져 나왔다. 팜브델루리온은 절지동물 줄기군 중에서, 아가미가 있는 옆지느러미를 가진 엽족동물이며, 케리그마켈라와 오파비니아를 포함하는 기엽족류로도 알려진 한 분류군의 일부이다.[9] 기엽족류는 엽족류들 사이에서는 절지동물과 가장 가까운 근연이며, 기엽족류 조상에서 라디오돈트목과 진절지동물이 갈라져 나왔다.
거의 동시대의 중국 마오텐산 혈암에서 발견된 옴니덴스라는 생물(학명: Omnidens)은 팜브델루리온과 명확하게 구별할 수 없으며, 동종이명일 가능성이 있다.[1] 그러나 마오텐산 혈암의 팜브델루리온과 같은 기엽족류라는 증거는 없기 때문에, 옴니덴스는 메가딕티온 또는 젠사노포디아와 같은 일부 다른 엽족류의 구기일 수 있다.
생태
[편집]팜브델루리온은 절지동물을 포함한 식단을 가진 포식자였을 것으로 보인다.[10] 또, 효율적으로 유영할 수 있는 능력이 떨어지는 저서성 동물이었을 것이다.[2] 팜브델루리온은 시리우스 파세트 생물군에서 가장 크고 풍족한 생물체 중 하나였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Vinther 등. 2016.
- ↑ 가 나 Young & Vinther 2017.
- ↑ Ortega-Hernández & Budd 2016.
- ↑ Fleming, James F.; Kristensen, Reinhardt Møbjerg; Sørensen, Martin Vinther; Park, Tae-Yoon S.; Arakawa, Kazuharu; Blaxter, Mark; Rebecchi, Lorena; Guidetti, Roberto; Williams, Tom A.; Roberts, Nicholas W.; Vinther, Jakob; Pisani, Davide (2018년 12월 5일). “Molecular palaeontology illuminates the evolution of ecdysozoan vision”.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영어) 285 (1892). doi:10.1098/rspb.2018.2180. ISSN 0962-8452. PMC 6283943. PMID 30518575.
- ↑ Budd 1997, 126쪽.
- ↑ Caron & Aria 2020.
- ↑ Howard 등. 2020.
- ↑ Zeng 등. 2020.
- ↑ Ortega-Hernández 2016.
- ↑ Vannier 등. 2014.
참고 문헌
[편집]- Budd, G. E. (1997). 〈Stem group arthropods from the Lower Cambrian Sirius Passet fauna of North Greenland〉. Fortey, R. A.; Thomas, R. H. 《Arthropod Relationships》. Dordrecht: Springer Netherlands. 125–138쪽. doi:10.1007/978-94-011-4904-4_11. ISBN 0-412-75420-7.
- Caron, Jean-Bernard; Aria, Cédric (2020). Xi-Guang Zhang (ed.). “The Collins' monster, a spinous suspension-feeding lobopodian from the Cambrian Burgess Shale of British Columbia”. 《Palaeontology》 63 (6): 979–994. Bibcode:2020Palgy..63..979C. doi:10.1111/pala.12499. eISSN 1475-4983. ISSN 0031-0239. S2CID 225593728.
- Dzik, Jerzy (2011년 7월 1일). “The xenusian-to-anomalocaridid transition within the lobopodians” (PDF). 《Bollettino della Società Paleontologica Italiana》 50 (1): 65–74.
- Howard, Richard J.; Hou, Xianguang; Edgecombe, Gregory D.; Salge, Tobias; Shi, Xiaomei; Ma, Xiaoya (2020). “A tube-dwelling Early Cambrian lobopodian”. 《Current Biology》 30 (8): 1529–1536.e2. Bibcode:2020CBio...30E1529H. doi:10.1016/j.cub.2020.01.075. ISSN 0960-9822. PMID 32109391. S2CID 211542458.
- Ortega-Hernández, Javier (2016). “Making sense of 'lower' and 'upper' stem-group Euarthropoda, with comments on the strict use of the name Arthropoda von Siebold, 1848”. 《Biological Reviews》 91 (1): 255–273. doi:10.1111/brv.12168. ISSN 1464-7931. PMID 25528950. S2CID 7751936.
- Ortega-Hernández, Javier; Budd, Graham E. (2016). “The nature of non-appendicular anterior paired projections in Palaeozoic total-group Euarthropoda”. 《Arthropod Structure & Development》 45 (2): 185–199. Bibcode:2016ArtSD..45..185O. doi:10.1016/j.asd.2016.01.006. ISSN 1467-8039. PMID 26802876.
- Vannier, Jean; Liu, Jianni; Lerosey-Aubril, Rudy; Vinther, Jakob; Daley, Allison C. (2014년 5월 2일). “Sophisticated digestive systems in early arthropods”. 《Nature Communications》 5 (1): 3641. Bibcode:2014NatCo...5.3641V. doi:10.1038/ncomms4641. ISSN 2041-1723. PMID 24785191.
- Vinther, Jakob; Porras, Luis; Young, Fletcher J.; Budd, Graham E.; Edgecombe, Gregory D. (2016). “The mouth apparatus of the Cambrian gilled lobopodian Pambdelurion whittingtoni”. 《Palaeontology》 59 (6): 841–849. Bibcode:2016Palgy..59..841V. doi:10.1111/pala.12256. hdl:1983/16da11f1-5231-4d6c-9968-69ddc5633a8a. ISSN 0031-0239. S2CID 88758267.
- Young, Fletcher J.; Vinther, Jakob (2017). “Onychophoran-like myoanatomy of the Cambrian gilled lobopodian Pambdelurion whittingtoni”. 《Palaeontology》 60 (1): 27–54. Bibcode:2017Palgy..60...27Y. doi:10.1111/pala.12269. hdl:1983/92180ef0-2205-4c65-9a70-90d59cfea2f4. ISSN 0031-0239. S2CID 55477207.
- Zeng, Han; Zhao, Fangchen; Niu, Kecheng; Zhu, Maoyan; Huang, Diying (2020년 12월 3일). “An early Cambrian euarthropod with radiodont-like raptorial appendages”. 《Nature》 588 (7836): 101–105. Bibcode:2020Natur.588..101Z. doi:10.1038/s41586-020-2883-7. eISSN 1476-4687. ISSN 0028-0836. PMID 33149303. S2CID 226248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