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할감
파할감
Pahalgam / Pahalgom | |
---|---|
좌표: 북위 34° 01′ 동경 75° 11′ / 북위 34.01° 동경 75.19° | |
국가 | 인도 |
연방 직할지 | 잠무 카슈미르 |
구 | 아난트나그구 |
정부 | |
• 기관 | 파할감 시의회 |
면적 | |
• 총 면적 | 18.02 km2 (6.96 sq mi) |
해발 | 2,200 m (7,200 ft) |
인구 (2011)[2] | |
• 총 인구 | 9,264 |
• 밀도 | 510명/km2 (1,300명/sq mi) |
언어 | |
• 공용어 | 카슈미르어, 우르두어, 힌디어, 도그리어, 영어[3][4] |
시간대 | UTC+5:30 (IST) |
PIN[5] | 192126[5] |
STD Code | +91-01936 |
차량 등록 | JK-03 |
웹사이트 | anantnag |
파할감(Pahalgam) 또는 파할곰(Pahalgom)은 인도의 연방 직할지인 잠무 카슈미르의 아난트나그구에 위치한 도시이다. 리데르강(Lidder River) 유역에 있으며 카슈미르 계곡의 해발 2,200m의 산지에 위치해 있다. 아난트나그구의 11개 테실(tehsil, 구의 하위 행정구역) 가운데 하나를 이루고 있다.
구 중심도시 아난트나그에서 약 45km 떨어진 지점에 있으며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휴양지이자 트래킹 코스로 유명하다. 특히 매년 7월~8월 힌두교도들이 아마르나트 사원(Amarnath Temple)으로 향하는 순례길의 시작지점으로도 알려져있다.
지리
[편집]'파할감' (Pahalgam)은 카슈미르어로 '양치기의 마을'이란 뜻으로, 양치기를 뜻하는 '푸헤일' (Puheyl)과 마을을 뜻하는 '고암' (goam)이 합쳐진 지명이다.[6][7] 힌디 문학에서는 '발리가온' (baligaon)이란 이름으로 언급되는데 힌두교의 신 시바가 아마르나트로 향하는 길에 황소를 둔 곳으로 알려져 있다.[8][9]
파할감은 인도 연방 직할지인 잠무 카슈미르의 아난트나그구에 위치해 있다.[10] 카슈미르 계곡의 젤룸강 동쪽 방면으로 펼쳐진 리데르계곡의 해발고도 2,200m 지점에 자리해 있다.[6][11] 리데르강의 동서 지류가 파할감 근처에서 합류하여 좁은 계곡으로 이어지는 풍경이다.[11] 파할감에서 계곡이 두 갈래로 나뉘는데, 하나는 북동쪽 방면의 아마르나트 (Amarnath)로 향하고 다른 하나는 북서쪽 방면의 아루 (Aru)로 향한다.[6] 이 지역의 지질은 화산암과 석회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비대칭형 빙식암,[6] 식생은 전나무 등의 상록수와 소나무, 가문비나무 같은 침엽수가 지배적이다.[11]
파할감은 잠무 카슈미르의 다른 지역과 도로를 통해 접근이 가능하다.[12] 국가고속도로 제501호선 (NH 501)을 통해 파할감과 아난트나그가 연결된다.[13] 국영 버스와 사설버스가 아난트나그, 잠무, 스리나가르와 노선을 개설하고 있다.[12] 가장 가까운 철도역은 우담푸르 (Udhampur)와 잠무에 위치해 있으며, 각각 217km, 285km 떨어진 위치해 있다. 가장 가까운 공항은 스리나가르 공항으로 파할감에서 약 95km 거리에 있다.[12]
파할감의 기후는 온대 기후로서 여름에는 온화하고 겨울에는 춥다.[11] 겨울철인 12월~2월에는 당일 기온변화가 최저를 기록한다. 겨울철 야간에는 차가운 바람으로 기온이 영하로 급격히 떨어질 수 있으며,[11] 최대 4m에 달하는 폭설이 내리기도 한다.[11] 여름은 6월부터 10월까지이며 이 시기에 최고기온을 기록한다. 11월 이후 늦겨울부터 여름이 시작되기 전인 5월까지 대부분의 강수량이 내린다.[11]
파할감 (일반: 1991년~2020년, 최극단: 1978년~2020년 통계)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역대 최고 기온 °C (°F) | 13.8 (56.8) |
17.6 (63.7) |
23.9 (75.0) |
27.4 (81.3) |
30.8 (87.4) |
32.0 (89.6) |
31.5 (88.7) |
32.2 (90.0) |
30.0 (86.0) |
27.7 (81.9) |
23.0 (73.4) |
15.6 (60.1) |
32.2 (90.0)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4.9 (40.8) |
7.2 (45.0) |
12.5 (54.5) |
17.6 (63.7) |
21.3 (70.3) |
24.2 (75.6) |
25.5 (77.9) |
25.4 (77.7) |
23.7 (74.7) |
19.9 (67.8) |
13.1 (55.6) |
7.9 (46.2) |
17.0 (62.6)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6.1 (21.0) |
−3.9 (25.0) |
−0.3 (31.5) |
3.3 (37.9) |
5.8 (42.4) |
8.9 (48.0) |
12.9 (55.2) |
13.0 (55.4) |
8.7 (47.7) |
2.6 (36.7) |
−1.4 (29.5) |
−4.2 (24.4) |
3.5 (38.3) |
역대 최저 기온 °C (°F) | −18.6 (−1.5) |
−17.3 (0.9) |
−13.0 (8.6) |
−4.0 (24.8) |
−1.0 (30.2) |
1.5 (34.7) |
2.0 (35.6) |
4.0 (39.2) |
0.6 (33.1) |
−5.1 (22.8) |
−10.8 (12.6) |
−15.7 (3.7) |
−18.6 (−1.5) |
평균 강우량 mm (인치) | 136.0 (5.35) |
144.5 (5.69) |
171.2 (6.74) |
144.2 (5.68) |
120.1 (4.73) |
91.2 (3.59) |
107.1 (4.22) |
114.9 (4.52) |
95.1 (3.74) |
38.2 (1.50) |
51.3 (2.02) |
59.7 (2.35) |
1,273.5 (50.14) |
평균 강우일수 | 8.1 | 9.3 | 10.3 | 10.0 | 9.8 | 8.3 | 8.8 | 9.0 | 7.0 | 3.3 | 3.0 | 3.9 | 90.8 |
평균 상대 습도 (%) (17:30 IST) | 80 | 76 | 66 | 60 | 57 | 58 | 64 | 68 | 65 | 59 | 68 | 75 | 66 |
출처: 인도 기상부[14][15][16] |
사회
[편집]2011년 총 인구는 9,200여명으로 남성은 59.8%, 여성은 40.2%를 차지하고 있다. 파할감 마을의 문해율은 64.9%로 집계되며, 대상연령대의 약 48%가 정규직으로, 10%가 비정규직인 것으로 집계된다. 지정 카스트와 지정 부족(이른바 불가촉천민)의 비중은 약 10%에 달한다. 주요 종교는 이슬람교로 전체 인구의 80%를 차지하며, 두번째는 힌두교로 17.6%를 차지하고 있다.
파할감은 파할감 시의회 (Pahalgam Municipal Committee)를 두고 있으며,[17][18] 수도공급과 위생, 폐기물 관리 등 기본적인 기반시설과 정부정책을 관할하고 있다.[19] 파할감은 총 13개 구역 (ward)로 나뉘며, 각 구역마다 시의원을 선출한다.[17]
관광
[편집]파할감은 리데르계곡의 고원에 위치하여 온화한 기후를 보이고 있으며, 산책로가 잘 정비되어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높다.[20][21] 2015년 기준 파할감의 숙박시설 수용 규모는 약 7,020명에 달한다.[22]

가장 유명한 관광명소로 아마르나트 사원 (Amarnath Temple)이 있는데 파할감 계곡 위에 위치한 힌두교의 순례지이다. 파할감 마을은 매년 7월~8월에 열리는 순례행사의 태초마을 역할을 하며, 계절에 따라 순례객이 유입된다.[12][23] 힌두 신화에서 시바신이 아마르나트 동굴에 들어가기 전에 파할감에 자신이 타고 다니는 난디를, 찬단와리에 머리에 이고 있는 달을, 셰슈나그호에는 목에 걸던 뱀을, 판치타르니 (Panchtarni)에는 자연 오대 요소를 남겼다고 전해진다.[24] 마을에서 약 16km 떨어진 찬단와리 (Chandanwari)에서 순례길이 시작되며, 파할감에서 셰슈나그호와 판치타르니를 거쳐 아마르나트까지 이어진다.[25]
콜라호이 빙하는 콜라호이봉 바로 아래, 리데르계곡에 위치한 빙하로 유명하다. 파할감에서 아루(Aru)를 거쳐가는 산책로를 따라 찾아갈 수 있다.[26] 바이사란계곡과 베타브계곡은 파할감 인근에 위치한 초원지대로서 산과 숲으로 둘러쌓여 관광객이 많이 찾는다.[27][28] 2011년에는 파할감 골프장(Pahalgam Golf Course)이 18홀 규모로 개장하였다.[29]
계절 단위 관광객의 급증으로 지역 내에서는 고형 폐기물이 대량으로 발생하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는 현지 폐기물 관리체계에 부담이 되며, 마을 곳곳에 폐기물을 투기하는 결과를 낳는다. 전체 도시 폐기물의 약 74%가 관광업으로 인한 것으로 추산하며, 무분뷸한 투기로 리데르강 하류에서 수인성 질병과 기타 건강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졌다.[30]
2025년 4월 22일, 테러조직 저항전선(TRF)의 무장세력이 파할감 인근 바이사란 계곡에서 관광객에 총기를 난사해 최소 28명이 사망하고 20명이 부상당하는 테러 사건이 벌어졌다.[31]
같이 보기
[편집]출처
[편집]- ↑ “Pahalgam”. 《citypopulation.de》. 2023년 12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6월 1일에 확인함.
- ↑ “Basic Population Figures of India, States, Districts, Sub-District and Village, 2011”. 《Census Commission of India》. 2023년 3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6월 1일에 확인함.
- ↑ “The Jammu and Kashmir Official Languages Act, 2020” (PDF). The Gazette of India. 2020년 9월 27일. 2020년 10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27일에 확인함.
- ↑ “Parliament passes JK Official Languages Bill, 2020”. 《Rising Kashmir》. 2020년 9월 23일. 2020년 9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23일에 확인함.
- ↑ 가 나 “Pincodes and STD codes”. 《잠무 카슈미르 정부》. 2024년 5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6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Ahmad 2003.
- ↑ Betts & McCulloch 2014.
- ↑ Raina 2014.
- ↑ Hazra 2003.
- ↑ “Rain Genomics – Pahalgam”. 《Galling Rain》. 2012년 10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5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Kaul 1990.
- ↑ 가 나 다 라 “Pahalgam”. 《Government of Jammu and Kashmir》. 2024년 7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6월 1일에 확인함.
- ↑ “New highways notification dated September, 2012” (PDF). 《Ministry of Road Transport and Highways》. 2018년 8월 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8월 4일에 확인함.
- ↑ “Climatological Tables of Observatories in India 1991-2020” (PDF). India Meteorological Department. 2024년 11월 10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4월 8일에 확인함.
- ↑ “Station: Pahalgam Climatological Table 1981–2010” (PDF). 《Climatological Normals 1981–2010》. India Meteorological Department. January 2015. 605–606쪽. 2020년 2월 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3월 15일에 확인함.
- ↑ “Extremes of Temperature & Rainfall for Indian Stations (Up to 2012)” (PDF). India Meteorological Department. December 2016. M78쪽. 2020년 2월 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3월 15일에 확인함.
- ↑ 가 나 “Pahalgam MC”. 《Census 2011》. 2023년 10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6월 1일에 확인함.
- ↑ “Cooperatives in Anantnag district”. 《Government of Jammu and Kashmir》. 2024년 6월 1일에 확인함.
- ↑ “Services and amenities”. 《Government of Jammu and Kashmir》. 2024년 6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6월 1일에 확인함.
- ↑ “Pahalgam”. 《Government of Jammu and Kashmir》. 2024년 7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6월 1일에 확인함.
- ↑ “Pahalgam: Valley of paradise”. 《Bangalore Mirror》. 2010년 6월 24일. 2013년 5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Bashir, Subzar; Goswami, Subhrangsu (January 2016). “Tourism Induced Challenges in Municipal Solid Waste Management in Hill Towns: Case of Pahalgam”. 《Procedia Environmental Sciences》. Waste Management for Resource Utilisation (영어) 35: 77–89. Bibcode:2016PrEnS..35...77B. doi:10.1016/j.proenv.2016.07.048. ISSN 1878-0296.
- ↑ “Amarnath Yatra: Fresh batch of pilgrims leaves under heightened security”. 《Business Standard》. 2024년 7월 15일. 2025년 4월 1일에 확인함.
- ↑ Sunita Pant Bansal (2012년 11월 15일). 《Hindu pilgrimage;a journey through the holy places of Hindus all over India》. V & S Publishers. 121쪽. ISBN 978-93-5057-251-1. OCLC 930451370.
- ↑ “Traditional route, Amarnath Yatra”. 《Amarnath Yatra board》. 2024년 7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6월 1일에 확인함.
- ↑ N. Ahmed and N. H. Hashimi (1974). “Glacial History of Kolahoi Glacier, Kashmir, India” (PDF). 《Journal of Glaciology》 13 (68): 279. Bibcode:1974JGlac..13..279A. doi:10.1017/S002214300002308X. 2013년 12월 1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4월 16일에 확인함.
- ↑ “Bollywood returns to Kashmir, its original home”. 《NDTV》. 2011년 7월 11일. 2025년 4월 1일에 확인함.
- ↑ “All About Pahalgam's Baisaran: From India’s ‘Mini Switzerland’ To The Valley Of Horror”. 《News18》.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3일에 확인함.
- ↑ “Pahalgam’s Lidder Valley Golf Course struggles with maintenance, ‘mismanagement’”. 《Greater Kashmir》. 2024년 11월 12일. 2021년 1월 19일에 확인함.
- ↑ Bashir, Subzar; Goswami, Subhrangsu (January 2016). “Tourism Induced Challenges in Municipal Solid Waste Management in Hill Towns: Case of Pahalgam”. 《Procedia Environmental Sciences》. Waste Management for Resource Utilisation (영어) 35: 77–89. Bibcode:2016PrEnS..35...77B. doi:10.1016/j.proenv.2016.07.048. ISSN 1878-0296.
- ↑ “LeT Affiliate "Resistance Front" Claims Pahalgam Attack: All About It”. 《NDTV》. 2025년 4월 23일. 2025년 4월 23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
[편집]- Ahmad, Bashir (2003). 《Jammu and Kashmir State: Kashmir region》. State Gazetteers Unit, Government of Jammu and Kashmir.
- Betts, Vanessa; McCulloch, Victoria (2014). 《Indian Himalaya Handbook》. Footprint. ISBN 978-1-907-26388-0.
- Hazra, Rajendra Chandra (2003). 《Rise of Epic and Purāṇic Rudra-Śiva Or Śiva Maheśvara》. Sri Balaram Prakashani.
- Kaul, Manmohan Nath (1990). 《Glacial and Fluvial Geomorphology of Western Himalaya Liddar Valley》. Concept Publishing. ISBN 978-8-170-22244-6.
- Raina, Mohini Qasba (2014). 《Kashur The Kashmiri Speaking People: Analytical Perspective》. Partridge Publishing. ISBN 978-1-482-89945-0.